Monday, September 22, 2025

The spread of the North Korean culture in Poland | by Nicolas Levi

(2) The spread of the North Korean culture in Poland | Facebook

Details



Event by UiO - East Asian Lunch Seminars


Niels Henrik Abels vei 36 , 0315

Duration: 1 hr 45 min

Public · Anyone on or off Facebook

Dear all,
You are invited to East Asia Lunch Seminar event/guest lecture for KOR2510,
 "The spread of North Korean culture in Poland", 

on Wednesday, 24.10.2025, at 14.15-16.00, SB Aud 1, by Nicolas Levi, a French-Polish scholar.
These unable to participate in this special lecture physically may join us via ZOOM:
https://uio.zoom.us/j/66035680446Lenker til en ekstern side.
Meeting ID: 660 3568 0446

Summary:

 The lecture investigates the dissemination of North Korean culture in Poland, situating it within the context of Cold War alliances and socialist bloc cultural diplomacy. 

It traced the ways in which art exhibitions, film screenings, and official delegations were employed to promote an idealized image of North Korean society, emphasizing the role of visual arts and cinema as key vehicles of ideological messaging. 

Polish receptions of these cultural imports were complex, combining recognition of their propagandistic aims with a certain curiosity toward their aesthetic and exotic qualities. 

While the political transformations of 1989 curtailed official channels of exchange, the legacy of these encounters persists through scholarly inquiry, private collecting, and selective artistic engagement. 

The lecture underscored how Polish fascination with North Korean socialist realism reflects broader tensions between art and ideology, memory and propaganda, ultimately framing Poland as a distinctive case study in the global reach of North Korea’s cultural soft power.

Bio: 

Nicolas Levi is a French-Polish political scientist and researcher at the Institute of Mediterranean and Oriental Cultures of the Polish Academy of Sciences, specializing in North Korean studies. 

His work focuses on three main projects: 
  • the study of religious life in North Korea, 
  • the analysis of the country’s cultural assets, and 
  • research on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selected european countries (France, Germany, Central European countries). 
He has published widely on these topics and is the co-author of J’étais diplomate nord-coréen, written with former North Korean diplomat Han Jin-myung, which provides rare insights into the regime’s inner workings and diplomatic strategies.

===
Why Poland could play a key role in efforts to engage North Korea
Former communist bloc state maintains ties with DPRK, but EU membership and bilateral disputes complicate cooperation

Nicolas Levi September 5, 2022

Why Poland could play a key role in efforts to engage North Korea
Statues of former North Korean leaders Kim Il Sung and Kim Jong Il in Pyongyang | Image: NK Pro (2018)

Poland’s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date back to the very beginning of the DPRK in 1948, and for decades, their ties were defined by their joint membership in the international communist order.

But bilateral relations began to shift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bloc, and they have evolved further since Poland joined the European Union in 2004. In particular, the activation of the Lisbon Treaty signed by EU member states in Dec. 2007 has required Poland to follow EU directives on issues like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violations.

[pRead More
==
Nicolas Levi
Nicolas Levi
Assistant Professor, Institute of Mediterranean and Oriental Cultures of the Polish Academy of
Verified email at iksio.pan.pl - Homepage
Religions in North KoreaReligious studies in North KoreaBoth Koreas-Poland relations
ArticlesCited byCo-authors
Title
Cited by
Year
Confucianism in South Korea and Japan:Similarities and Differences
N Levi
Acta Asiatica Varsoviensia 26, 185-195
58* 2013
System polityczny Korei Północnej: aspekty kulturowe
N Levi
Wydawnictwo Naukowe Askon
16 2013
Korea Północna: poszukując prawdy
N Levi
Kwiaty Orientu
11 2012
Buddha under Control. Buddhism’s Legacy in North Korea
N Levi, R Husarski
Acta Asiatica Varsoviensia, 79-96
7 2021
Applying game theory to North Korea-China relations
N Levi
Journal of Modern Science 33 (2), 355-366
7 2017
Kim Jong Il: a film director who ran a country.
N Levi
Journal of Modern Science 25 (2), 155-166
6 2015
Can North Korea Exist Without Unification with South Korea?
N Levi
Foreign Policy
5 2010
Zarys stosunków między Polską Republiką Ludową, a Koreańską Republiką Ludowo-Demokratyczną
N Levi
Świat i Polska wobec globalnych wyzwań, Warszawa: Instytut Studiów …
5 2009
Kto rządzi w Korei Północnej?
N Levi
Dialog
4 2014
A Biography of Kim Pyong Il: A Second Dauphin?
N Levi
https://nicolaslevi.files.wordpress.com/2015/05/biography-of-kim-pyong-il …
4 2010
Nic nie Wiem o Korei Północnej
N Levi
Wydawnictwo Asian Century, Warszawa.
3 2018
Zarys historii stosunków między Polską a Koreańską Republiką Ludowo-Demokratyczną (1948–1974)
N Levi
Kwartalnik Historyczny 4, 733-752
3 2017
Korea Północna. Zarys ewolucji systemu politycznego
N Levi
3 2016
Correlations between the contemporary ideology of the North Korean and chosen Confucianism values
N Levi
Krakowskie Studia Międzynarodowe 12 (3), 119-130
3 2015
Legalistic Thought in North Korean Ideology
N Levi
Hemispheres. Studies on Cultures and Societies 35, 79-91
2 2020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leadership of the Organisation and Guidance Department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N Levi
Acta Asiatica Varsoviensia 32, 99-117
2 2019
Adapt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of North Korean Elite Defectors
N Levi
Studia Humana 6 (4), 62-73
2 2017
The community of North Korean elites and defectors in Eastern European Countries
N Levi
Gdańskie Studia Azji Wschodniej, 152-164
2 2017
Scenarios regarding the future of North Korea
N Levi
Asia in the 21st century: conflicts and disputes
2 2014
The importance of Confucian values to Kim Jong Il’s system: A comparison with Kim Il Sung’s system.
N Levi
http://sinonk.files.wordpress.com/2012/08/levi-on-kim-jongil-confucianism …
2 2012
Articles 1–20

==

니콜라스 레비 
==
니콜라스 레비(왼쪽)
생년월일 및 출생지
1981년 12월 20일
파리

직업, 직업
정치학자

위키미디어 커먼즈의 미디어
기입
니콜라 레비 ( 1981년 12월 20일 파리 출생 ) – 폴란드 출신 프랑스 정치학자. 리세 몽테뉴를 졸업했으며 , 한반도 문제 , 폴란드와 프랑스 경제를 전문으로 연구했다 .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 정치학 연구소에서 사회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

이력서
그는 2004년 파리 서부 대학교를 졸업했습니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학업과 더불어 Deloitte, Kulczyk Investment House, 프랑스-폴란드 상공회의소에서 근무하며 사업 활동을 했습니다. 2007년부터는 바르샤바에 있는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 정치학 연구소 아시아 태평양 연구 센터에서 상임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8년에는 ESSEC Paris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2012년 5월에는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 정치학 연구소 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 그는 주로 남북한에 관한 저서와 논문을 집필했습니다.

유럽지역경제대학교와 비스툴라대학교 에서 오랜 기간 강사로 재직했습니다. 통일부가 시행한 통일 청년 국제 전문가 프로그램 졸업생입니다 . 폴란드-아시아 연구 센터 재단의 선임 연구원입니다. 민간 ​​및 정부 기관의 컨설턴트입니다. 그는 Acta Asiatica Varsoviensia의 편집장입니다 . 유럽지역경제대학교와 비스툴라대학교, 슈테판 비신스키 추기경 대학교, 외국 대학( 튀빙겐대학교 , SOAS , 다수의 UTW ​​포함)에서 오랜 기간 강사로 재직했습니다. 통일부가 시행한 통일 청년 국제 전문가 프로그램 졸업생입니다. 미하우 보임 아시아 글로벌 연구소 회원입니다.

출판물
2012 : 니콜라 레비: 북한 - 진실을 찾아서 . 바르샤바: 동양의 꽃. ISBN  978-83-932534-6-3 .;
2013 : 니콜라스 레비: 북한의 정치 체제: 문화적 측면 . 바르샤바: 악손. ISBN  978-83-7452-067-6 .;
2014년 : 니콜라스 레비: 누가 북한을 통치하는가? . 바르샤바: Wydawnictwo 대화. ISBN  978-83-8002-100-6 .;
2015 : 니콜라 레비: 김정은은 누구인가? (김정은은 누구인가?) . 바르샤바: 동양의 꽃들. ISBN  978-83-932534-6-3 .;
2016 : 니콜라 레비: 『북한: 정치 체제의 진화 개요』 . 바르샤바: 지중해 및 동양 문화 연구소. ISBN  978-83-943570-2-3 .;
2018 : 니콜라 레비: 나는 북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 . 바르샤바: 아시아의 세기. ISBN  978-83-950424-0-9 .
2018 : 니콜라스 레비: 2000-2017년 폴란드 내 북한 해외 노동자 통계 분석: 현황과 전망. 바르샤바: 아시아의 세기. ISBN  978-83-950424-3-0 .
2021 : 니콜라스 레비: 폴란드-북한 관계 70년의 유형적·무형적 유산 . 바르샤바: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 지중해 및 동양 문화 연구소. ISBN  978-83-952189-3-4 .
2025 : 니콜라스 레비: J'étais 외교관 nord-coreen . 바르샤바.
서지
Nicolas Levi 박사 , [in:] Nauka Polska 포털( OPI PIB ) 의 보관 데이터베이스 "People of Science" [2018-08-04 접속] .
Pukhan.pl 포털
==

==

==

Thursday, September 11, 2025

다시 그 강가에 서다 The Ginseng Hunter 제프 탈라리고 | 알라딘 2009

다시 그 강가에 서다 |  제프 탈라리고 | 알라딘



다시 그 강가에 서다 | 나에게 필요한 책 840 영문학 장서 1
제프 탈라리고 (지은이),정연희 (옮긴이)소수출판사2009-08-15

원제 : The Ginseng Hunter

다음






































미리보기



책소개
이국 작가가 그린 우리 이야기. 천국의 국경, 두만강 유역에서 벌어지는 생존을 위한 분투와 인간애를 조선족의 눈으로 감성적이고도 통렬하게 그린 작품. 중국 쪽 국경 지대에 한 조선족 심마니가 밭을 일구며 조용히 살고 있다. 봄이면 참새가 학살되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산에 오르고, 한 달에 한 번은 생필품을 구입하고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옌지 시로 향한다.

어느 날, 강을 건너와 창녀가 된 젊은 여인과 하룻밤을 보낸다. 여인을 도울 방법은 오직 돈을 주고 그녀를 사서 집으로 데려오는 것뿐이다. 어려운 결정을 했건만 그녀를 만날 수 없다. 밭에서 옥수수를 훔치던, 그녀의 눈망울을 빼닮은 아이도 보이지 않는다. 그는 산삼을 망치게 한 굶주린 탈북자를 공안 당국에 팔아넘기는데…


목차


다시 그 강가에 서다
감사의 말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 제프 탈라리고
옮긴이의 말 - 정연희


책속에서


P. 48 “(……) 그자들을 잡아다 지방 당국에 넘겨주기만 하면 돈을 챙길 수 있단 말이지. 한 사람당 200위안씩, 남자든 여자든 어린애든 상관없이. 그자들은 누구를 믿어야 할지 모르니까 먹을 것을 조금만 주면 어디든 따라온다고. 길 잃은 고양이처럼.”
P. 62 그녀의 다른 손이 바지 앞부분에 와 닿는데, 그 손을 밀어낸다. 서두르는 건 싫다. 아마도 그녀 자신을 은연중에 드러내는 그 텅 빈 눈동자, 그 안에 담긴 불신 때문일 것이다. 그녀가 이곳 사람이 아님을 나는 알아차린다. 무심코 조선말을 한다.
P. 203 당신은 유토피아 시에서 더욱 멀리 몽유병자처럼 다니면서 초주검이 됩니다. 강을 건너는 것 말고는 다른 수가 없어요. 하지만 당신을 기다리는 자유는 딸아이가 반대쪽 뒤편 어딘가에 있다는 깨달음의 감옥이지요.
P. 225 “난 아님다. 적어도 내가 쏜 총이 그 애를 죽인 건 아니었슴다. 하지만 그걸 막기 위해 딱히 한 것도 없지요. 거저 일이 일어나게 놔둔 검다. 만약 내가 그 에미나이를 쐈다면, 아마, 이곳에 와서는 안 되었겠지요. 사람 죽이는 것이 어떤 때는 그걸 막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도 더 쉬운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 한겨레 신문 2009년 9월 11일 문학 새책
(주)학교도서관저널
- 학교도서관저널 도서추천위원회가 선정한 2010 추천도서 '청소년 문학'



줄거리
두만강 유역 중국 쪽 국경 지대에 한 조선족 심마니가 밭을 일구며 조용히 살고 있다. 봄이면 참새가 학살되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산에 오르고, 한 달에 한 번은 생필품을 구입하고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옌지 시로 향한다. 어느 날, 강을 건너와 창녀가 된 젊은 여인과 하룻밤을 보낸다. 여인을 도울 방법은 오직 돈을 주고 그녀를 사서 집으로 데려오는 것뿐이다.
어려운 결정을 했건만 그녀를 만날 수 없다. 밭에서 옥수수를 훔치던, 그녀의 눈망울을 빼닮은 아이도 보이지 않는다. 그는 산삼을 망치게 한 굶주린 탈북자를 공안 당국에...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제프 탈라리고 (Jeff Talarigo)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1961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14년 가까이 살며 영어를 가르치고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이것은 두 번째 소설이다. 첫 작품 <진주잡이>(The Pearl Diver, 2004)는 미국문예아카데미에서 로젠탈 재단 문학상을 수상하고 기리야마 환태평양 도서상의 ‘주목할 만한 책’으로 선정되었다. 뉴욕공립도서관에서 ‘도로시 앤드 루이스 비 컬먼 학예 센터’ 기금을 수여받았다. 1990년과 1993년 가자 지구의 자발리야 난민촌에 거주했고, 2006년 귀국 후 현재 이 지역을 팔레스타인 여인의 시각으로 바... 더보기

최근작 : <다시 그 강가에 서다 (큰 글씨 소리 책)>,<다시 그 강가에 서다> … 총 16종 (모두보기)

정연희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옮긴 책으로 『한낮의 열기』, 『바닷가의 루시』, 『오, 윌리엄!』, 『다시, 올리브』, 『내 이름은 루시 바턴』, 『디어 라이프』, 『착한 여자의 사랑』, 『소녀와 여자들의 삶』, 『매트릭스』, 『운명과 분노』, 『엘리너 올리펀트는 완전 괜찮아』, 『그 겨울의 일주일』, 『헬프』, 『정육점 주인들의 노래클럽』 등이 있다.




Friday, September 5, 2025

런던에서 온 평양 여자 | 오혜선 | 알라딘

런던에서 온 평양 여자 | 오혜선 | 알라딘
런던에서 온 평양 여자 
오혜선 (지은이)더미라클2023-01-05























Sales Point : 1,519

9.2 100자평(5)리뷰(11)


기본정보
320쪽

책소개
‘북한’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이 책은 북한에 대한 관념적인 추상화가 아닌, 그 속의 전경을 섬세하게 묘사한 풍경화다. 수기이면서 동시에 한 평양 시민의 여정과 애환을 담은 편지이다. 담백해서 더 처절하다. 아내로서, 엄마로서 치열했던 한 여성의 삶은 김일성부터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거대한 북한 사회의 사각지대를 비추어주는 작은 거울이 되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