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대성백화점에 버젓이 진열된 고가 술∙화장품 — RFA 자유아시아방송
북 대성백화점에 버젓이 진열된 고가 술∙화장품
워싱턴-김지수 kimjis@rfa.org
2024.12.17
평양에 위치한 대성백화점.
/북한 유학생 SNS(샤오홍슈)
앵커: 북한에서 수학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평양 백화점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고급 주류를 팔고 미국 상표가 입점해 있는 모습을 촬영해 사회관계망서비스에 게시했습니다. 이들은 마치 일본에 온 것 같다며 놀라워했습니다. 김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양에 위치한 대성백화점.
샤넬, 코치, SK-II, 발렌타인 등 유명한 외국 상표들이 나란히 입점해있습니다.
이달 초, 북한에서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평양에 위치한 대성 백화점 내부 모습이 노출됐습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시된 사진에는 ‘고급술’이라고 적힌 글 아래로 세계적인 위스키 상표인 발렌타인 30년산 등 각종 주류 제품이 진열되어 있고, 고급 상표인 샤넬 매장 안에 있는 다양한 향수와 화장품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양에 위치한 대성백화점. 출처/북한 유학생 SNS(샤오홍슈)
뿐만 아니라 유명 브랜드인 지미추 구두와 코치 가방도 한 구역 안에 진열되어 있습니다.
이 사진을 올린 중국인 유학생들은 “북한 사람도 나이키와 SK-II를 사용하는지 몰랐다” “마치 일본에 와 있는 것 같다”며 신기해하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샤넬, 코치사는 북한으로 해당 상품들을 수출한 사실이 있는지 여부 등에 관한 RFA의 관련 질의에 17일 오후까지 답하지 않았습니다.
<관련 기사>
“북, 올 상반기 중국서 3800만 달러 상당 사치품 수입”
북 골프 애호가 대회서 ‘나이키’ 제품 수두룩
RFA 주간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북한 노동당 39호실 고위 관리 출신 리정호 코리아번영개발센터 대표는 17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백화점 진열 제품들은 주로 싱가포르나 중국으로부터 제품을 들여오는데 뇌물을 주면 어렵지 않게 세관을 통과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발렌타인 같은 주류 제품은 베이징 공항, 심양 공항 등에 있는 중국 면세점에서 구입해오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현재는 북한이 다방면에서 밀착하고 있는 러시아를 통해 제품을 들여올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추측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 2006년 10월 북한의 1차 핵실험에 대응해 채택한 대북제재 결의 1718호는 고가 사치품을 북한에 공급, 판매, 이전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2013년 안보리 결의 2094호는 고급승용차와 요트, 고가의 시계, 보석 등을 금수 품목으로 지정했고, 이후 그 범위가 주류와 담배로까지 확대되기도 했습니다.
한편 중국 세관인 해관총서의 올 상반기 통계에 따르면, 북한이 올해 상반기 중국으로부터 3천800만 달러 상당의 사치품을 사들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품목별로 보면 화장품 수입액이 1천180만 달러, 시계 수입액이 1천72만 달러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편집 이경하
Engage North Korea
Tuesday, December 17, 2024
Monday, December 9, 2024
Suffering and Smiling: Daily Life in North Korea (Asian Voices) eBook : Chung, Byung-Ho: Amazon.com.au: Kindle Store
Suffering and Smiling: Daily Life in North Korea (Asian Voices) eBook : Chung, Byung-Ho: Amazon.com.au: Kindle Store
Kindle
$49.46
Hardcover
$58.99
Suffering and Smiling: Daily Life in North Korea (Asian Voices) Kindle Edition
by Byung-Ho Chung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Suffering and Smiling: Daily Life in North Korea, is a field report of North Korean culture based on two decades of the author’s personal observation and contact with people. The dichotomy of suffering and smiling becomes a lens through which the author observes the transformation and resilience of North Korean life. The book delves into historical struggles, such as the Arduous March against Imperial Japan and the 1990s famine, juxtaposed with the persistent theme of smiling propagated by the regime.
The author also weaves in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s, highlighting their ability to find humor and maintain humanity despite oppressive conditions. Anecdotes, such as spontaneous comments from refugees, showcase the resilience and subversive humor ingrained in North Korean culture. Despite its isolation and nuclear ambitions, the country is undergoing rapid social changes with informal connections to the global capitalist system.
The book provides readers with empathetic glasses to view North Korea while considering its historical trauma and the enduring impact of Korean War. It promises a rich exploration of North Korean life, offering readers a compelling narrative that combines personal experiences, political insights, and cultural analysis. It sets the stage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 nation often shrouded in mystery and misunderstood by the outside world.
Read less
Print length
237 pages
Product description
Review
Anthropologist, educator, humanitarian and activist, Byung-Ho Chung has written a book distilling decades of close observation of, and deep empathy for, the evident suffering and the enigmatic smiles of the North Korean people. Suffering and Smiling: Daily Life in North Korea examines the live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those who have resettled in South Korea, and those inside the still isolated country, bearing witness to their protracted march through hardship and famine and their powerful will to survive and draw pleasure where they can find it. In a divided world and across the divided Koreas, Byung-Ho Chung's book seeks to build a bridge of understanding.--W. Courtland Robinson, Johns Hopkins
This remarkable, insightful and intimate account of North Korea breaks through the stereotypes to reveal the complexity and contradictions of North Korean life. Byung-Ho Chung's sensitive analysis of North Korea's cultural politics is a poignant reminder of the continuing tragedy of the division of Korea along Cold War lines, and is essential reading for anyone who seeks to make sense of that tragedy.
--Tessa Morris-Suzuki,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This text refers to the hardcover edition.
About the Author
Byung-Ho Chung is professor of cultural anthropology and director of the Institute for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tudies at Hanyang University, South Korea. He has visited North Korea as well as China's borders with North Korea on numerous occasions for humanitarian purposes. He also has conducted research into issues and concerns relating to the educational and social integr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He is the co-author of North Korea: Beyond Charismatic Politics, R&L, 2012. --This text refers to the hardcover edition.
Product details
ASIN : B0D956W3KG
Publisher :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 October 2024)
Language : English
File size : 13426 KB
Text-to-Speech : Enabled
Screen Reader : Supported
Enhanced typesetting : Enabled
X-Ray : Not Enabled
Word Wise : Enabled
Print length : 237 pages
Kindle
$49.46
Hardcover
$58.99
Suffering and Smiling: Daily Life in North Korea (Asian Voices) Kindle Edition
by Byung-Ho Chung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Suffering and Smiling: Daily Life in North Korea, is a field report of North Korean culture based on two decades of the author’s personal observation and contact with people. The dichotomy of suffering and smiling becomes a lens through which the author observes the transformation and resilience of North Korean life. The book delves into historical struggles, such as the Arduous March against Imperial Japan and the 1990s famine, juxtaposed with the persistent theme of smiling propagated by the regime.
The author also weaves in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s, highlighting their ability to find humor and maintain humanity despite oppressive conditions. Anecdotes, such as spontaneous comments from refugees, showcase the resilience and subversive humor ingrained in North Korean culture. Despite its isolation and nuclear ambitions, the country is undergoing rapid social changes with informal connections to the global capitalist system.
The book provides readers with empathetic glasses to view North Korea while considering its historical trauma and the enduring impact of Korean War. It promises a rich exploration of North Korean life, offering readers a compelling narrative that combines personal experiences, political insights, and cultural analysis. It sets the stage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 nation often shrouded in mystery and misunderstood by the outside world.
Read less
Print length
237 pages
Product description
Review
Anthropologist, educator, humanitarian and activist, Byung-Ho Chung has written a book distilling decades of close observation of, and deep empathy for, the evident suffering and the enigmatic smiles of the North Korean people. Suffering and Smiling: Daily Life in North Korea examines the live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those who have resettled in South Korea, and those inside the still isolated country, bearing witness to their protracted march through hardship and famine and their powerful will to survive and draw pleasure where they can find it. In a divided world and across the divided Koreas, Byung-Ho Chung's book seeks to build a bridge of understanding.--W. Courtland Robinson, Johns Hopkins
This remarkable, insightful and intimate account of North Korea breaks through the stereotypes to reveal the complexity and contradictions of North Korean life. Byung-Ho Chung's sensitive analysis of North Korea's cultural politics is a poignant reminder of the continuing tragedy of the division of Korea along Cold War lines, and is essential reading for anyone who seeks to make sense of that tragedy.
--Tessa Morris-Suzuki,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This text refers to the hardcover edition.
About the Author
Byung-Ho Chung is professor of cultural anthropology and director of the Institute for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tudies at Hanyang University, South Korea. He has visited North Korea as well as China's borders with North Korea on numerous occasions for humanitarian purposes. He also has conducted research into issues and concerns relating to the educational and social integr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He is the co-author of North Korea: Beyond Charismatic Politics, R&L, 2012. --This text refers to the hardcover edition.
Product details
ASIN : B0D956W3KG
Publisher :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 October 2024)
Language : English
File size : 13426 KB
Text-to-Speech : Enabled
Screen Reader : Supported
Enhanced typesetting : Enabled
X-Ray : Not Enabled
Word Wise : Enabled
Print length : 237 pages
====
알라딘: [전자책] 고난과 웃음의 나라
알라딘: [전자책] 고난과 웃음의 나라
[eBook] 고난과 웃음의 나라
정병호 (지은이)창비2020-02-13
다음
종이책의
미리보기
입니다.
전자책종이책 16,200원
전자책정가
12,600원
Sales Point : 156
9.2 100자평(3)리뷰(22)
종이책 페이지수 : 376쪽
책소개
문화이해를 통해 분단시대 남북 문화교류의 발판을 제공하는 책이다. 문화인류학자이자 구호활동가, 탈북 청소년 교육자이기도 한 저자 정병호(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약 20년 동안 10여 차례 방북해 기근 구호활동을 펼치고 조-중 접경지역에서 탈북민과 교류하는 등 활동가로 활약하며 현장연구를 진행해왔다. 이 책은 이러한 저자의 풍부한 대북접촉 경험을 기반으로 북한주민의 삶을 다채롭게 풀어냄과 동시에 북한체제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균형 있게 서술한 책이다.
김정은체제의 변화와 전망을 타진하면서도 권력체제에 포함되지 않는 주민의 일상과 의식까지 담아낸 생생한 현장기록이다. 책은 작금의 북한주민의 삶과 내면이 어떻게 형성되어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그에 따라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할 것인가를 설명해준다. 궁극적으로는 남과 북이 문화적 이질성을 극복하고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데 꼭 필요한 상호이해의 밀알을 제공하는 저작이다.
목차
여는 글
1장 청년장군
1. 아무리 공화국이 어려워도: 핵폭탄과 협상전략
단숨에!: 미사일과 식량구호 |심리를 리해 못 하십니까?: 협상의 문화패턴
2. 척척척 발걸음: 세습과 변화
꼭 같으셔요 | “그깟놈”에서 “좋은 친구”로
3. 외화벌이 일꾼들: 이념에서 발전으로
철없이 돌아온다고 하면 안 되겠다 | 민족보다 국민
4. 사회주의 문명국: 좌절과 도약
발전국가 모델 | 마식령속도로 앞으로! | 기술혁명과 도약발전 |
시도와 좌절의 역사 | 과거, 현재, 미래
2장 행복을 교시하는 나라
1. 우리는 행복해요: 관계와 소속감
세상에 부럼 없어라 | 선물의 아주 특별한 의미 |
언 감귤과 병든 소 | 장군님의 생일선물 |활짝 웃어라: 자랑스러운 공연
2. 어린이는 나라의 왕입니다: 아이들의 영양식
콩우유차는 왕차 | 콩우유는 두유가 아니다
3. 그리운 장군님: 연모의 찬송
낮아진 밥상: 덕성실화 | 장군님 식솔: 가족국가의 표어 |
충성동이 효성동이 마음껏 커요
3장 아버지 나라의 교육
1. 혁명의 으뜸종자: 고아들의 아버지
만경대혁명학원 | 아버지 사진을 모신 이유 | 대를 이은 혁명가족
2. 이역에서 자라는 아들딸: 입양의 정치
동유럽 조선인민학교 | 냉전과 입양의 정치 | 재일 조선학교
3. 세쌍둥이는 나라의 보물: 사회공학실험
복받은 세쌍둥이 | 멋진 신세계
4. 교수 아들은 교수로, 농부 아들은 농부로: 교육과 계급재생산
평양의 교육열성파 엄마들 | 평양 SKY캐슬과 대안교육 | 예술공연과 납치
4장 태양민족의 탄생
1. 해님과 해바라기: 수령과 인민
고향의 봄 | 만경대 고향집
2. 고향집에서 궁전까지: 신화와 순례
민족의 태양 | 태양기념건축 |시조왕릉: 단군릉, 동명왕릉, 왕건왕릉 |
거대 동상과 동상공원
3. 수령님은 영원히 우리와 함께 계신다: 영생과 부활
락원의 꽃밭 | 금수산기념궁전 전설
4. 세 장군 전설: 백두혈통의 탄생
정일봉 탄생설화 | 혁명의 성산, 백두산
5. 아리랑공연: 극장국가의 축제
움직이지 않는 중심 움직이다 | 금수산기념궁전과 호찌민묘
5장 빨치산과 고난의 행군
1. 미국놈들 콧대를 꺾어놓았죠: 저항의 역사
악한 것을 물리친 역사 | 원쑤놈들을 미워하는 마음
2. 조선이 없으면 세계도 없다: 선군정치
총 든 사람 말 들어야지 | 총폭탄 결사옹위 | 꽃 파는 처녀 |
여기서 서울이 멀지 않습니다
3. 넓고, 깊고, 조용한 굶주림: 대기근의 상처
사회주의 기근: 분단체제의 대응 | 탈북난민: 탈냉전시대의 유랑민 |
비겁한 자여 갈 테면 가라
4. 고난의 행군: 재앙의 미화
가는 길 험난해도 웃으며 가자: 기근과 웃음 |
키 크기 운동과 키 크는 약: 정신주의의 한계 |
닭알 폭포가 쏟아져 내리는 것처럼: 과시적 강박
5. 구충제와 영양증진제: 기근 구호와 관료주의의 벽
함경도 아이들에게 남해의 미역을 | 요오드화 소금과 국제기구 |
민족이란 게 뭐인가?
6장 차별과 처벌
1. 지방진출 파견장이 떨어졌다: 중심과 주변
평양과 지방 | 평양 것들 | 중심지향
2. 지주였나?: 계급과 성분
차별의 역전: 연좌제와 세습 | 신분상승 전략: 교육과 결혼
3. 성분이 깨끗해서: 순수와 오염
다문화는 민족말살론: 인종차별 | 평양은 나라의 얼굴: 장애차별
4. 혁명의 두 수레바퀴: 남성과 여성
녀성은 꽃이라네 | 남남북녀
5. 녹음하는 소리 안 들려요?: 감시와 처벌
혁명화와 수령님의 은사 | 아직 끝나지 않았네
7장 저변의 흐름
1. 필요한 길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비공식경제
단둥의 식량창고 | 길이 없으면 함께 만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
얘네들은 돈맛을 좀 들여야 돼
2. 조선이 더 자본주의 같아요: 공식과 비공식
돈주와 대방: 밀수와 뇌물 | 장마당과 시장: 여성들의 공간
3. 이팝에 고기국, 비단옷에 기와집: 이루지 못한 꿈
풀과 고기를 바꾸자: 식생활 | 바지 입은 녀성 출입금지: 복장검열 |
려명거리와 하모니카집: 주거공간
4. 저리 놀면 정말 재밌지: 놀이와 웃음
중세의 가을: 놀이의 세계 | 시간 훔치기: 웃음과 저항
5. 우리는 교양을 잘해서: 조직생활과 역할극
생활총화: 고백의 문화 | 사회적 교양과 통과의례 |
말밥에 오르지 않게 하라: 겉과 속 | 늬들이 혁명을 알아?: 역할극 |
그래도 변하는 것
닫는 글
감사의 글
주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동무들, 이제는 고생 끝에 락을 보게 되었소. 우리에게 려명이 밝아오고 있단 말이오."
- 무기를 내려놓게 하려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주어야 할 것이다. 13쪽 - nanan16
˝(핵)전쟁을 불사하겠다거나, 배때기를 갈라버리겠다는 말은 위협이기도 하지만, 비명이기도 하다. 우리를 인정해달라, 그리고 이해해달라는 절박한 사람들의 말법이고 몸짓이다. 무기를 내려놓게 하려면, 또 그 죽음의 춤을 멈추게 하려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 주어야 할 것이다.˝ - 슈가소울
도덕주의적(도덕적이란 뜻이 아니고) 주장과 단숨에 뜻을 이루고자 하는태도, 자존심과 결사항전의 의지, 결연한 입장과 유연한 연기력은 협상에임하는 북한의 지도자나 엘리뜨 집단에만 국한된 행동패턴이 아니다. 나이와 계층을 초월해서 많은 북한 사람들이 공유하는 문화적 ‘아비투스‘ habitus, 몸과 마음에 내면화된 습관적 행동패턴이자 사회적 생존전략이라고 할수 있다. 베이징에서 만났던 프로협상가들과 비슷한 패턴으로 자존심을지키려고 하던 탈북아동과의 갈등과 협상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떼를 쓰는 것이든 비명이든 억지든 그것이 통하도록하는 것 전략이 때로 무섭다. 거대한 사이비 종교집단같은 면모가 보이기에 이해가 안되고 거부감이 들지만 무시할 수는 없는 존재들이기에 협상을 잘 하려면 심리를 잘 파악해야 한다. ‘미쳐서 보이지 않는 무리에게 처참하고 웅대한 멸망의 서사시야말로 황홀한 꿈의 세계‘라는 박경리 시인의 말대로 북한 그들의 절박한 몸짓에 대응하려면 그 마음을 읽을수 있어야한다 접기 - 가을
그러나 남한단체의 이름을 찍어서 보급하지 않으면 장군님이 보내주신콩우유라고 여길 것이니 그것은 북쪽체제를 이롭게 하는 것이라는 문제제기를 무시하긴 어려웠다. 피난시절 원조물자에 새겨졌던 성조기를 기억하던 정치가들은 ‘대한민국‘ 마크를 뚜렷하게 새긴 구호품을 보내서 체제를 흔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었다.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북한 당국도 남한 구호물품에 쓰인 상표와 글씨에 민감했다. 그러나 현장에서 구호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장군님의 이름‘ 으로 ‘왕차‘를 탄 콩우유가 부정한 손을 덜 타고 더 확실하게 배급되리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p88
그들에게도 자존심이 있으니까 그 심정을 이해하게 된다 비록 가난해서 원조는 받지만 지키고 싶은 것이다 어쨌든 그들에게 무사히 지원이 가야한다면 그것만을 생각해서 남한이 보냈다는 것까지 감추는 것도 감수해야한다는 것을 들으니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그리고 그 고마운 마음은 나중에 다른 방식으로 갚으려 한다고 하니 그 마음은 다 통하는 것을 알게된다 그들이 장군님 아버지에 대한 숭배가 어리석어 보이나 그 또한 순수한 마음으로 읽히니 더 불쌍한 생각에 마음이 아프다. 접기 - 가을
P. 125 분단 70년 동안 남북한은 다른 역사적 경로를 걸어왔다. 양쪽의 다른 정치체제와 경제구조만큼이나 양쪽이 믿는 이념과 가치관의 차이가 현저하게 달라진 두 사회를 만들었다. 앞으로 그 둘이 각각 또는 함께 어느 방향으로 갈지를 결정하는 데 각 사회구성원들이 지어내고 믿는 ‘이야기(허구적 믿음)’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greensea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정병호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일본문화에 대한 현장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인도적 구호활동의 일환으로 여러차례 방북했고, 조·중 접경지역에서도 북한 기근 피해상황을 연구했다. 탈북청소년을 위해서 하나원의 ‘하나둘학교’를 설립했고, 다문화이주청소년을 위해서 ‘무지개청소년센터’를 세웠다. 장기간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운동을 이끌고 있으며, 남북문화통합을 주제로 공동연구를 진행하여 『웰컴 투 코리아: 북조선 사람들의 남한살이』 『한국의 다문화공간』 등을 펴냈다. 공저서로 『극장국가 북한: 카리스마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가』가 있다. 접기
최근작 : <[큰글자도서] 공감대화>,<공감대화>,<[큰글자도서] 고난과 웃음의 나라 1 > … 총 9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지구상 가장 고립된 나라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그들의 일상과 내면을 생생하고 다채롭게 풀어내는
실천적 문화인류학자의 북한문화 심층탐구
문화이해를 통해 분단시대 남북 문화교류의 발판을 제공하는 책 『고난과 웃음의 나라: 문화인류학자의 북한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문화인류학자이자 구호활동가, 탈북 청소년 교육자이기도 한 저자 정병호(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약 20년 동안 10여 차례 방북해 기근 구호활동을 펼치고 조-중 접경지역에서 탈북민과 교류하는 등 활동가로 활약하며 현장연구를 진행해왔다. 이 책은 이러한 저자의 풍부한 대북접촉 경험을 기반으로 북한주민의 삶을 다채롭게 풀어냄과 동시에 북한체제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균형 있게 서술한 책이다. 2013년 출간되어 국내외에서 화제를 일으킨 저자의 전작 『극장국가 북한: 카리스마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가』가 주로 김일성-김정일체제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분석으로 권력의 작동방식을 다룬 학술서라면, 이번 책은 김정은체제의 변화와 전망을 타진하면서도 권력체제에 포함되지 않는 주민의 일상과 의식까지 담아낸 생생한 현장기록이다. 책은 작금의 북한주민의 삶과 내면이 어떻게 형성되어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그에 따라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할 것인가를 설명해준다. 궁극적으로는 남과 북이 문화적 이질성을 극복하고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데 꼭 필요한 상호이해의 밀알을 제공하는 저작이다.
이념국가에서 발전국가로
김정은 시대 사회주의 문명국의 꿈과 현실
김정은 시대의 권력연출과 국가경영은 ‘반복과 변화의 메시지’를 통한 ‘사회주의 문명국’ 건설로 설명할 수 있다. 국제적 고립과 오래 기근으로 배급제를 비롯한 국가제도가 사실상 무너진 상황에서 김정은은 개방과 경제부흥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압력에 직면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위계질서와 체제안정의 기반 위에서 진행되어야 했다. 이에 따라 김정은은 선대 지도자들의 통치 방식을 계승함과 동시에 그 내용과 양식에는 시대상황의 변화를 반영해 현대적‧물질적 욕망을 담기 시작했다. 할아버지 김일성을 쏙 빼닮은 외모와 스타일, 장엄한 예술공연, 산업현장 현지지도 등 기존의 권력연출 방식을 재현하면서도 팝 음악과 모란봉악단 등 파격적인 공연, 스키장과 놀이공원 같은 화려한 오락시설, 서양음식점과 종합백화점, 고층건물과 네온사인이 즐비한 도시경관이 쏟아져 나오는 데에는 이러한 정치적‧문화적 배경이 자리한다. 사회주의 문명국이라는 목표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사회주의 문명국은 이념국가의 용어(사회주의)로 발전국가로의 국가목표(문명국) 전환을 명시한 것이다. 저자는 성공적인 권력세습을 통해 체제방어에 성공한 김정은이 본격적인 발전국가로의 전환에 착수했다고 분석한다. 또한 여러 차례 실패를 거듭했던 북한의 발전국가 노선들을 되짚으며 앞으로의 변화를 타진하기 위해서는 북한이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나올 것인지, 북한의 ‘사람들’을 이해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한다.
그들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
공화국의 내면과 핵협상의 심리구조
실제로 북한 사람들의 심리와 문화를 이해하면 핵폭탄이라는 극단적인 카드를 놓지 않는 북한체제의 의도와 전략을 파악할 수 있다. 저자는 기근 구호활동을 위해 실제 실무자들과 직접 협상테이블에 앉아 지난한 밀고 당기기를 반복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 사람들의 협상의 문화패턴을 발견해냈다. 당장 구호물품이 필요한 북한이 아쉬운 입장이지만, ‘당혹스럽게도’ 그들은 ‘효율’과 ‘합리성’과는 거리가 먼 태도를 취한다. 덕담을 나누다가도 돌연 도덕적 우위에 서서 트집을 잡으며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려 하고, 뜻대로 되지 않으면 감정적으로 대화를 끝내버린다. 이 모든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그들은 협상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자신들의 도덕적인 원칙과 자존심을 지켜낸다. 저자는 이렇게 빈한한 사정에도 도움의 손길을 구걸하지 않겠다는 결기와 도덕주의적 주장, ‘단숨에’ 뜻을 이루고자 하는 태도, 자존심과 결사항전의 의지가 북한 당국과 엘리트집단뿐 아니라 주민들의 의식에도 담겨 있는 문화적 ‘아비투스’라고 분석하며, 이 연장선상에서 핵폭탄은 상대를 위협할 만한 무기를 쥔 채 국제무대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당당하게 관철시키겠다는 사회적 생존전략이라고 말한다. 결국 핵폭탄은 북한체제가 우리를 인정해달라는 절박한 외침인 것이다. 저자는 북한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 속내를 헤아려야 한다고 조언한다.
교시된 행복과 가족국가의 소속감
북한의 문화예술 공연에서 일사불란한 모습으로 숨가쁘게 활짝 웃는 아이들의 미소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어린 아이들에게 가혹한 훈련을 강요하고 지도자에 대한 충성을 세뇌한다는 식의 냉전적 사고틀을 넘어서면 그 미소의 문화적 배경을 한층 깊게 파악할 수 있다. 저자는 방북 당시 여러 유치원과 탁아소, 학교를 둘러보며 만났던 아이들과 교육환경 이야기를 들려주며 아이들과 인민의 웃음을 문화인류학적으로 분석한다. “우리는 행복해요” 슬로건이 걸린 유치원에서 ‘세상에 부럼 없어라’ 노래를 부르는 굶주린 원생들을 보며 저자는 놀랍게도 아이들이 진심으로 행복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참혹한 현실과 동떨어진 표어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지만 그들이 느끼는 행복은 단순한 세뇌의 산물이나 연출된 모습이 아니다. 북한사회는 치밀한 상징작업과 권력연출을 통해 ‘행복을 교시하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북한 사람들은 ‘아버지’ 지도자의 시혜에 감읍하며 공동체적 행복을 공유한다. ‘어린이는 나라의 왕입니다’라는 김일성의 교시와 아이들 간식 콩우유(두유) 공급에 총력을 펼치는 장군님의 온정, 아이들을 위해 밥상 높이를 낮추도록 명령했다는 ‘낮아진 밥상’ 덕성실화, 집집마다 걸어두는 ‘장군님 식솔’ 족자 등 인민의 일상 곳곳에서 가족국가의 관계와 소속감을 발견할 수 있다. 온 인민이 지도자를 어버이로 의식하고 그의 보살핌 속에 살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이런 의미연결 체계는 오랜 시간 역사적‧사회적‧문화적으로 거듭 다져져온 표현이다. 북한 특유의 과장된 극장국가적 연출과 가족국가적 국민의식이 결합되어 지도자는 ‘신 없는 나라의 신’이 되었고 수령을 사모하고 찬양하는 음악은 찬송가로 울려퍼진다. 남과 북이 함께 웃기 위해서는 이처럼 서로가 느끼는 행복이 전혀 다른 층위에 있음을 먼저 알아야 한다. 물질적 풍요가 아닌, 정서적 풍요와 소속감에서 오는 북한 사람들의 웃음을 이해하고,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지금 북한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시장경제의 대두와 과학기술의 강조, 불평등의 심화
저자는 북한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실제로 만나며 문화인류학자 특유의 기민한 감각으로 디테일한 문화적 현상과 일상의 변화를 감지해낸다. “교수 아들은 교수가, 농부 아들은 농부”가 되는 것이 좋지 않겠냐는 말은 뜻밖에도 저자가 북한에서 만난 김일성종합대학 출신 당일꾼의 입에서 나온 말이다. 지도자의 권력세습 덕분에 북한에서는 다양한 직종의 세습과 계급의 재생산이 장려되고 있다. 이념적으로 ‘사회주의’와 ‘혁명’을 표방하면서도 실제로 북한은 자본주의사회와는 다른 방식의 불평등한 사회주의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서울의 강남 8학군 엄마들의 치맛바람 못지않은 평양 엄마들의 교육열, 김일성종합대학과 김책공업대학 교수들과 과학자들이 입주한 평양판 ‘SKY캐슬’은 계층구조의 심화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지역차별도 빼놓을 수 없다. 평양-지방의 철저한 구분과 차별은 북한 사람들의 중심지향성을 강화하고 중심과 주변의 격차는 계속해서 벌어지고 있다. 조부모 또는 증조부모의 사회적 계급성분에 따라 출신성분이 서열화되고 핵심-동요-적대계층이라는 정치적인 계급구분도 존재한다. 우생학을 바탕으로 인종적 우월성을 강조하며 배타적인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같은 맥락에서 ‘평양은 나라의 얼굴’이라는 기치 아래 장애를 가진 평양시민을 평양 밖으로 내쫓는 등 장애차별도 노골적이다. 가부장적 가족국가 질서 속에 여성과 남성 간의 위계서열과 성역할 고정관념 또한 고착화되었다.
변화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남과 북이 하나되는 그날을 꿈꾸며
하지만 사회 전반에 스며든 불평등과 차별의 틈바구니에서는 억눌려왔던 목소리가 흘러나오며 새로운 문화가 탄생하기도 한다. ‘고난의 행군’시기 이래 주민들은 강인한 생명력으로 살길을 모색해왔다. 공식적인 배급체계가 무너지고 비공식경제가 이를 대체하면서 ‘남한보다 더 자본주의 같은’ 면모가 싹트기 시작했다. 저자는 조-중 접경지역에서의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파견노동자의 삶, 밀수와 뇌물이 횡행하며 역동적으로 진행되는 무역 현장을 생생하게 그리고, 장마당과 시장이 확장되면서 여성들이 생활경제의 주역으로 활약함에 따라 가부장적 성별 위계질서에 생기고 있는 균열에도 주목한다. 그러나 저자는 다양한 북한사회의 변화를 체제붕괴의 조짐으로 성급하게 해석하거나 아예 무시하는 태도를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공식적인 제도와 비공식적인 일상 간의 괴리는 지금도 커지고 있지만 두 흐름 모두 현실이고 그 둘이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공존하며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분단체제를 극복하는 데에도 같은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오랜 세월 서로 다른 길을 걸어온 남과 북은 서로의 경험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감수성을 연마해야 진정한 공존을 꿈꿀 수 있다. 북한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의 안개를 걷어내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이 책이 분단의 상처를 치유하는 작은 한걸음이 되리라 기대한다. 접기
평점
분포
9.2
구매자 (2)
전체 (3)
공감순
극장국가로서 북한 체제의 특성, 북한 지도자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징의례를 활용하는 방식, 북한에 사는 이들의 심성지도, 외교적으로 북한을 대하는 법 등 중요한 내용을 담은 책.
Redman 2023-06-25 공감 (16) 댓글 (0)
북한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를 담고 있는 책
alestelle 2020-05-30 공감 (0) 댓글 (0)
마이리뷰
구매자 (8)
전체 (22)
문화인류학자의 북한 이해기
다람쥐 쳇바퀴 돌듯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남북 관계다. 잘 굴러가서 많이 진척된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제자리다. 그냥 열심히 움직이기만 했다. 결과는 또 제자리. 다람쥐가 돌다 돌다 지쳐 나가 떨어지면 그나마 움직임도 없다.
그런데 다람쥐 쳇바퀴 돌듯 하는 것은 한쪽만이 일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양쪽의 행동이 맞아떨어지지 않았을 때 다람쥐 쳇바퀴 돌듯 한다. 반대로 양쪽이 맞아떨어지면 앞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거친 역류를 거슬러 올라가는 배를 노젓는 사공들처럼, 그렇게 협동하면 어려운 환경에서도 진전이 있다. 이게 남북관계다.
양쪽이 맞지 않으면 어떤 일도 성사되지 않고, 양쪽이 맞아떨어지면 무언가 얻는 것이 있는 관계.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을 한다는 문제를 가지고도 이런 일이 반복된다. 그래서 남북관계는 눈에 보이는 진척을 거두기가 힘들다.
눈에 확 띄는 성과는 없을지라도 조금씩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물밑에서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북한과 사이가 확 좋아지는 것처럼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졌지만, 그 다음부터는 또 지지부진이다.
그렇다고 완전히 단절이 되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지속적으로 무언가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다. 비록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지는 못하지만.
이 책은 문화인류학자가 북한을 원조하는 일을 하면서 그동안 만나왔던 북한 사람들, 북한 체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정치적, 경제적인 면을 떠나서 문화적인 면에서 북한을 바라보려 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일방적인 관점에서 서술하지 않는다. 가능하면 문화적 다양성의 관점에서 북한을 바라보려 하고 있다.
그들도 분단이 된 지 7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자신들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니, 그 이유가 분명 있을테고, 그냥 현상만 보고서 북한이 붕괴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라는 말을 하고 있다. 고난의 행군이라고 많은 북한 주민들이 굶주림에 시달리다 죽어갔지만, 그럼에도 그들에게는 놀이와 웃음이 있다는 것.
물질적 궁핍을 정신적인 노력으로 승화시키려는 체제의 모습이라는 것을 여러 면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북한 사회가 지니고 있는 폐쇄성, 그럼에도 그 폐쇄성 속에서도 균열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
김정일은 경제위기를 선군사상으로 돌파하려 했지만, 그 후계자인 김정은은 경제 발전으로 돌파하려 하고 있다는 것, 그들의 세습체제가 정당화될 수는 없지만, 그 사회에서는 그것을 장자계승, 또 백두혈통이라는 것으로 의식화하고 있다는 것.
따라서 백두혈통과 관련지어 항일빨치산 운동을 했던 사람들의 후손을 대우하면서 그들을 자신들의 지지자로 만드는 것. 우리가 우려했던 것처럼 원조물자를 군대에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도 그들 나름대로 보급체계를 만들어 굶주리는 사람들에게 전달하려 하고 있다는 것.
국민을 동원하는 체제이지만, 그 속에서 국민들이 개인적인 활동들을 한다는 것. 이것이 최근에 북한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장마당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집단주의에 개인주의가 스며들기 시작했다는 것. 그런 시류를 북한에서는 공식적으로는 부정하지만 비공식적으로는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 이를 최고지도자의 모습이나 말을 통해서 은연중에 보여주고 있다는 것 등등.
겉으로 드러난 북한의 모습과 그들이 원하는 것이 꼭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 협상 과정에서 돌발상황들이 많이 벌어졌는데, 원조를 받는 그들의 자세를 이해하면서 실질적인 원조를 할 수 있게 된 과정들...
그럼에도 굶주림에 죽어가는 사람들을 어떻게 하지 못하는 정권에 대한 비판. 도와주려고 해도 남한이나 북한이나 관료주의로 똘똘 뭉쳐 있는 관료집단들, 국제기구들의 관료주의들 때문에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한 경우도 이야기하고 있어서 북한에 관해서 다양한 면들을 알게 해주고 있다.
북한은 여전히 고립되어 있다. 이는 그들이 아직도 고난의 나라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들은 웃음을 잃지 않았다는 것. 그 웃음이 행복에서 나오지 않았더라도 정신으로라도 이 고난을 극복하려고 한다는 것. 그 점을 우리가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이 책은 잘 보여주고 있다.
다름을 인정하고 그 다름에서부터 시작하면 남북관계가 다람쥐 쳇바퀴 돌듯 제자리를 맴돌지 않고 역류를 거슬러 올라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한 책이다.
저자와 같은 사람들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남북관계는 좋아지고, 그것이 우리를 평화롭게 살도록 도움을 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우리와는 많이 달라진 북한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책이다.
- 접기
kinye91 2020-06-04 공감(12) 댓글(0)
Thanks to
공감
고난과 웃음의 나라 / 정병호
1장 청년장군
"협의과정에서 북측이 취하는 전형성을 단순화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의의 공식성을 중시해서 격식을 갖춰 웃으며 악수하고, 덕담을 주고받는다. 상대방의 설명을 먼저 잘 듣고 메모하다가 실무적인 내용보다 원칙적인 문제를 찾아서 거론한다. 도덕적 우위에 서서 비판하고 꾸짖기도 하면서 상대방을 위축시킨다. 자기편 주장을 강하게 말하면서 상대방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갈등을 고조시키고 격앙된 감정을 표현하면서 그 상태로 회의를 끝내기도 하고, 다시 만나서 논의하기로도 한다. 다시 회의가 시작되면 다시 웃고 덕담하고 원칙과 도덕으로 비판하고··· 똑같은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자기 주장을 관철하거나, 상대방의 제안을 조정하도록 해서 최대한 자신들의 입장과 체면을 지킨다. 결국은 받을 것이었는데 자존심 하나를 지키려고 그 어려운 과정을 반복한 것이다. 그동안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대북 협상 과정에서 겪었던 일이고, 앞으로의 협상에서도 패턴은 비슷할 것이다."(22)
"미사일 발사 같은 도발의 원리도 조금씩 이해되기 시작했다. 하기는 국제사회의 동정이나 연민으로 얻을 수 있는 지원이 얼마나 되겠는가? 국제 구호대상으로 자주 거론되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실제로 어떤 지원을 받았고 지금 어떻게 살고 있는지 살펴보면 바로 알 수 있는 일이다. 북한은 아무리 어려워도 그런 방식으로 국제사회의 동정을 구하는 가난한 나라 취급을 받지 않겠다는 의지가 뚜렷했다. 개인적 자선과 마찬가지로 국제원조도 대상국의 상태와 실력에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아무리 참혹한 모습으로 도움을 청해도 가난한 걸인에게는 동전을 던져줄 뿐이다. 입성이 반듯하고 갚을 능력이 있어 보이는 사람에게는 도움을 주는 단위나 지원방식이 달라진다. 실력과 배짱이 있는 상대가 '나'를 해칠 수 있는 힘까지 가지고 당당하게 요구를 한다면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가 된다. 대기근상황에서 발사한 미사일 광명성은 바로 그런 길을 가기로 했다는 선언으로 들렸다."(24)
2장 행복을 교시하는 나라
"〈행복 넘쳐요〉라고 노래하는 유치원 아이들의 '행복'과 '장군님'은 도대체 무슨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장군님'을 왜 '아버지'라고 하는지 궁금했다." "주체사상의 논리에서 보면 이들은 스스로를 항일 유격대의 전통을 이은 존재로 여기고 있다. 따라서 아직도 완전히 독립하지 못한 민족을 해방시키려는 투쟁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령을 중심으로 굳게 뭉쳐 고난을 견디며 바른 편에 서서 바른길을 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지금은 압도적인 외세에 의해 완전히 포위되어 가난하고 괴롭지만, 올바른 길을 가는 자신들이 언젠가는 승리해서 통일을 이루고 민족을 해방시킬 영광스러운 존재라고 여기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아이들의 노래하는 〈행복〉은 우리가 생각하듯 물질적인 것은 아닐 것이다. 〈세상에 부럼 없어라〉나 〈우리식대로 살자〉든가 〈조선이 없으면 세계도 없다〉라는 표어도 남한식으로 해석해서는 이해할 수 없는 말이다. 그들 나름의 도덕원리에 바탕을 둔 정신주의적 표현이기 때문이다."(62-3)
"남아프리카 부시맨 문화에서는 선물을 받고 감사하거나 칭찬하는 법이 없다. 평등사회의 문화원리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예를 들어 사냥꾼이 큰 짐승을 잡아 온 동네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면 모두 둘러앉아 맛있게 먹으면서 고기가 질기다고 불평을 한다는 것이다. 성공한 사냥꾼의 뜨거워진 가슴을 식히기 위해서라고 한다." "'고마움'은 선물을 주고받는 그 자리에서 바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시간이 지난 후에 그와 같거나 더 큰 선물로 확실하게 갚는다." "북한 당국도 소떼를 몰고 온 정주영 회장에게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개발권으로, 감귤을 보내온 제주도민들은 전세기편으로 직접 평양에 오게 하는 식으로 그때의 고마움을 나중에 다른 방식으로 '계산'했다." "〈우리 손으로 직접 나누어 주고, 아이들이 먹는 것을 우리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 못하면 줄 수 없다〉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그런 꼬리표가 붙는 '선물'은 안 받겠다는 것이 북쪽의 일관된 입장이다. '선물'은 장군님만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69-70)
"대기근 발생 초기에 국제사회의 구호를 기대하며 공개한 육아원과 아동병원에서 외부 사람들이 찍은 아이들의 참혹한 영양실조 사진은 모금 활동에 일부 활용되기도 했지만, 그보다 더 폭넓게 북한정권의 실패와 인권상황을 고발하는 이미지로 확산되었다. 그후 북한 당국은 그런 현장에 더이상 외부의 눈길이 닿지 않도록 관리했지만, 이미 널리 퍼진 이미지들은 '지워지지 않는 낙인'이 되어 아직도 수많은 반북 정치집회에 동원되고 있다. 그래서인지 그후에도 여러차례 평양에 갔었지만 다시는 그곳에 가보지 못했다. 지난 20세기 중반부터 아프리카의 비아프라,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등 여러 나라에서 전쟁과 자연재해로 수많은 아이들이 영양실조로 죽어갔다. 그 아이들의 참혹한 사진들은 오늘날까지 지워지지 않는 아프리카의 이미지로 선명하게 남아 있다. 그렇게 많은 끔찍한 사진들을 돌려 보면서 국제사회는 그 아이들을 얼마나 구했을까? 깡마른 북쪽 아이들의 사진을 보며 우리는 과연 얼마나 도왔을까?"(79-80)
3장 아버지 나라의 교육
"혁명투쟁 중에 희생된 동지의 자식들을 자기 자식처럼 거두어 키워주는 수령의 '어버이'로서의 이미지는 국가 전체로 확대된 가족 개념의 출발점이 되었다. 혁명학원과 정치적 양부모 관계의 의미에 대해서는 탁아소와 유치원부터 모든 교육기관에서 반복학습을 통해 가르친다. 세대가 거듭되면서 혁명학원은 상징적 의미뿐만 아니라 '가족국가'의 확대종가로서의 모습을 실제로 보여주고 있다." "북한에서는 혁명을 (기득권 세력에 맞선) 사회 내부의 평등보다는 외세로부터의 해방으로 개념화했다. 외부와의 혁명투쟁이 길어지다보니 '대를 이어' 혁명을 해야 한다. 그 혁명의 효율을 위해 선택과 집중은 불가피하고, 선택의 기준은 개인의 능력보다 신뢰를 우선한다는 논리다. 특별히 신뢰받는 혁명가족의 아이들은 국가적으로 특별한 지원을 받으며 성장한다." "여러 세대에 걸쳐 장기화된 혁명의 현실은 처음에 추구하던 혁명의 이념과는 달리 특권 의식으로 나타났다."(107-8)
"북한의 전쟁고아들은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총 4천 명 이상이 교육받았다. 중국이 가장 많은 수를 돌보았고, 몽골과 소련으로 보낸 고아들까지 포함하면 최소 2만 5천명 이상을 '사회주의 형제' 국가들이 돌봐주었다고 한다."(110-1) "동구권 국가에서 교육받은 북한의 전쟁고아들은 1960년대 초중반까지 모두 북한으로 돌아왔다. 그 무렵 조금씩 변화되기 시작한 동구권 사회의 영향을 두려워했기 때문이었다. 귀국 직후 이들은 집중적인 사상 재교육을 받았다. 심각한 문화충격으로 재적응에 실패한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귀국 전쟁고아들은 '어버이 수령'의 특별한 사랑을 증명하는 존재들로서 외교 및 통역 분야는 물론, 과학기술 분야에서 전문가 집단을 형성하고 지도적 역할을 했다. 평양과 해외에서 그들과 교류해본 전 루마니아 대사는 전쟁고아들처럼 '어버이 수령'과 특별한 관계가 있는 집단들이 국제적 고립과 위기상황에서도 체제의 전복을 막아주는 '평형수' 역할을 하고 있다고 했다."(114-5)
4장 태양민족의 탄생
"김일성의 삶 이야기는 대부분의 신화에서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문화영웅'의 통과의례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평범한 출생배경을 가진 어린 영웅은 소년기에 집을 떠나 머나먼 이국땅에서 갖은 고생을 하며 훌륭하게 성장한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성물聖物, 두자루 권총'을 물려받고, 성스러운 산(백두산) 속으로 들어가 생사의 고비를 넘나드는 시련을 겪으며 민족을 노예로 삼은 외적을 물리치고, 마침내 고향(만경대)에 돌아와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 스스로 만든 '해방조국(지상낙원)'의 태양이 되어 영생한다는 서사구조다." "영웅의 '통과의례'처럼 소년 김일성은 두 번의 천리길 여행을 통해 청년이 된다. 그리고 '밖'에서 '안'으로 돌아오는 개선장군으로서의 '귀국', '밑'에서 '위'로 올라가는 수령으로서의 '건국'이 장년이 되는 과정이다. 그의 노년은 '민족의 태양'으로 추앙받으며 사랑과 이적을 보여주는 삶이었고, 그는 죽어서도 '삶과 죽음'을 연결하는 '조상신'으로서 '영생'한다."(150-1)
"김정일의 탄생으로 북한의 신화는 세 명의 대성인(김일성, 김정숙, 김정일), 성스러운 삼위三位의 신격을 갖게 되었다." "김정일의 탄생설화는 예수 탄생을 둘러싼 다양한 전설과 성서적 표현을 번안한 형태로 전개된다. 그의 탄생은 성스러운 백두산의 겨울밤, 눈덮인 소나무 가지 사이로 이상한 별이 빛날 때, '정일봉' 아래 통나무집에서 〈룡마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온〉 아기가 태어났다는 전설적 이야기로 시작된다. 하늘에는 날개 달린 천사들이 노래하고, 구세주의 탄생을 알리는 별을 따라 동방박사들이 찾아온 것처럼, 김정일의 탄생은 먼저 민족의 향도성인 〈광명성〉이란 새 별이 솟아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고 한다. 땅에서는 마구간에 태어난 아기 예수에게 동방박사들이 선물을 바친 것처럼, 백두산 밀영 통나무집에서 태어난 〈어리신 장군님〉에게 충성스러운 빨치산 '경위대원(호위대원)'들이 소박한 장난감을 바쳤다고 한다."(169-70)
"극장국가의 권력은 영토나 물리적 강제력을 확대하는 것보다 주로 사람의 마음을 잡는 일에 주력했다. 또한 극장국가의 정치와 행정체계는 국가의례의 준비와 집행을 다른 어떤 복지적, 경제적 심지어 군사적 이해보다도 앞세웠다. 그렇다면 (아직 기근의 상처가 아물지 않은 상황에서 부시 행정부에게 '악의 축'으로 낙인 찍힌 2002년에 처음 개최된) 「아리랑공연」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국가적 장중함과 긍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국가가 초라하게 위축된 상황일 때 더욱 스스로의 존재감을 안팎 모두에게 과시적으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그것을 문화적으로 익숙한 예술창작 방식을 총동원하여 종합적으로 표현한 것이 「아리랑공연」이다. 즉, 김일성으로 상징화되는 반제국주의 투쟁의 정치적 정통성을 재확인하고, 주체적 삶을 지키기 위한 김정일의 선군정치의 힘을 보여주고, 미래의 유토피아 통일조국에서 〈태양민족〉, 〈김일성민족〉이 세계적으로 영원히 중심에 선다는 이미지를 투영하고 있다."(177-8)
5장 빨치산과 고난의 행군
"'유격대국가'로서의 역사는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강요한 자기중심적 권력서사만은 아니다. 주체적 해방서사에 목마른 탈식민국가의 여러 집단들이 이런 이야기를 서로 만들고 유통하면서 스스로 하나의 문화적 논리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모두가 그랬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서 만든 이야기에서 구체적 사실 자체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교훈적 이야기의 설득력 있는 의미구성이 중요하다. 그 이야기를 통해 그 사회의 어른들과 아이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지 가치관 교욱으로서의 효과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 수령과 국가권력에 관련된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교육 효과가 있는 다양한 영웅적 미담들도 꼭 사실 그대로일 필요는 없다. 황당할 정도로 많은 신화나 영웅담 형식의 과장된 이야기가 항상 보급된다. 통제된 정보매체 속에서 '이야기'에 굶주린 어른들과 아이들은 같은 주제지만 늘 새롭게 창작되고 있는 변주곡들을 반복해서 소비하고 있다."(195)
"외부세계는 북한이 핵과 미사일에 매달려서 경제적 파탄을 겪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들은 군대를 앞세운 선군정치의 힘으로 체제를 유지하고 '자주성'을 지켰다고 주장한다. 소련과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은 군대가 〈총 한번 쏴보지 못하는 무력한 집단〉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결국은 사회주의 제도가 붕괴되고 인민들은 전쟁과 약탈, 민족분쟁으로 인하여 자기의 정든 보금자리마저 빼앗기고 다른 나라로 류랑의 길을 떠나고 있지만〉, 조선은 그런 파국을 막았다는 것이다." "김정일이 택한 '군사우선 사회주의', 즉 '선군정치'는 사회주의 종주국 소련의 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고, 이웃한 사회주의 패권국 중국의 변질된 '경제우선 사회주의'와 대비되는 정통성 있는 방안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선군정치는 사회주의 체제의 근본적 국가운영 원리이 '당'과 '군'의 서열관계를 역전시킨 것이다. 합당한 물적 토대를 혁명의 원동력으로 강조하는 정통 맑스주의의 전제도 뒤집은 것이다."(204-5)
"흔히 북한을 '벼랑끝 외교'를 펼치는 나라라고 한다. 늘 외부세계의 예상과는 다른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 때문이다. 허세를 부리는 것이라고 여기기에는 정말 벼랑끝에서 몸을 던질 각오가 아니면 하기 어려운 정책결정을 되풀이하고 있다. 실제로 그럴 수 있을 것인가?"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극장국가 내부에서 그들 자신이 스스로 연기를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그것은 문화적 '연기'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받아들일 만한 계기만 있으면 한순간에 대본이 바뀐 듯이 입장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은 늘 있다. 실제로 일본 천황의 항복선언은 하루아침에 모든 전선의 일본 군인들이 무기를 놓게 하였다. 마지막 한사람까지 죽창을 들고 싸우고자 했던 일본 국민들도 그의 한마디에 주술에서 풀린 듯 개인적 복수심까지 접고 점령군으로 진주한 미군을 환영했다. 천황이란 상징체계의 중심이 움직임으로써 극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210-1)
"북한 기근피해가 가장 혹심했던 1995~98년간에 남한사회가 당시의 경제력에 비해 터무니없이 소극적으로 대응한 배경에는 기근으로 인해 북한체제가 조기에 붕괴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참혹한 기근이 진행되고 있다 해도 그 기근을 발생시킨 체제가 있는 한 구호활동은 그 비극을 연장시킬 뿐이니, 그 체제가 붕괴하기를 기다려(혹은 적극적으로 붕괴시켜) 일거에 구원하자는 논리였다. 돌이켜보면 이는 '기근'현상에 대한 무지 때문이기도 했다. 아무리 혹독한 기근이라도 기근 자체는 체제를 붕괴시키지 않는다. 배고픈 사람들은 권력에 저항할 힘도 여유도 없기 때문이다. 세계 여러 사회에서 발생한 '기근'에 대한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밝히고 있는 사실이다." "최근에 비로소 피해규모가 드러난 중국의 대약진운동 시기 대기근의 경우 사망자만 약 3천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정치체제는 물론이고 권력구조에조차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220-1)
"당시 북한 주민들이 국경을 넘는다는 것은 단순히 좀더 잘살아보겠다는 행위가 아니었다. 자살만큼이나 극단적인 저항행위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미 반세기 이상 북한은 국민들을 극도로 군사적인 빨치산국가의 구성원으로 사회화시켰다. 그 국가공동체를 이탈하는 것은 비겁한 배반이고 반역적인 범죄로까지 여기도록 했다. 발각되면 그 처벌은 개인 차원에 머물지 않고 가족과 친척에게까지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탈북난민들은 항상 붙잡혀서 송환되는 것에 대해 극단적인 공포심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송환된 후 자기 자신의 운명만이 아니라 가족과 친척들에 대한 염려 때문이기도 했다. 이러한 종류의 공포심은 극단적인 죄책감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위험한 고비를 넘겨서 일단 안전한 곳에서 쉬고 잘 먹으면 곧 심한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았다. 북한에 남기고 온 가족 때문이었다. 국경을 넘은 자신의 행동이 비겁한 배반이라는 생각을 오래도록 지우지 못했다."(228)
# 기근의 3단계 진행과정
1. 경계 : 기근 초기에는 공동체적 이타성이 높지만 결핍이 심각해지고 사회적 통제가 이완되면서 점차 유대감이 사라진다.
2. 저항 : 심한 결핍으로 활동이 감소하고 사회관계도 침식되면서 공공재 파괴현상이 나타나고 가족단위의 유대만이 남는다.
3. 탈진 : 가족마저 붕괴되어 스스로 자기를 지켜야 하기 때문에 식량자원을 통제하는 권력에 복종하는 현상이 뚜렷하다.
6장 차별과 처벌
"평양과 지방은 확실히 달랐다. 그냥 다른 것이 아니라 현격한 질적 차이가 느껴졌다. 도로와 건물 상태만이 아니라, 사람들의 복장, 표정, 걸음걸이와 자세까지 차이가 있었다. 물질적 생활수준만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복지수준도 격차가 큰 듯했다. 당연히 많은 사람들이 평양으로 들어와 살고 싶어 한다." "평양은 도시 슬럼 같은 문제도 없다. 경계관리의 차원이 다르기 때문이다. 심지어 평양시민들은 지방민들이 소지한 '공민증(남한의 주민등록증)'과 다른 '평양시민증'을 소지한다. 평양시민증은 1997년 기근이 한참 심해질 때 새로 만들었다. 식량배급이 먼저 끊긴 지방에서 마지막까지 식량이 배급되고 있던 평양으로 들어오려는 사람들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그때부터 평양 이주는 물론 방문까지 철저하게 관리했다. 평양 방문허가증은 국경을 넘는 비자와 같은 기능을 했다. 국가 안에 또 하나의 국경이 만들어진 셈이었다. 기근시기의 끝자락에 내가 본 평양 경계선에는 메마르고 스산한 기운이 감돌았다."(256-7)
"탈북한 사람들은 대부분 출신성분이 나빴거나 가족과 친척 중에 정치적 과오가 있다는 이유로 차별받았다고 했다. 상당수는 바로 그 반대의 이유로 우대받고 당당하게 살았다. 그때 나오는 표현이 〈깨끗하다〉 〈더럽다〉 〈썩었다〉 〈순수하다〉 〈오점〉 〈전염〉 같은 말이다." "이런 문화체제에서는 '오염되었다'고 지목당한 사람뿐만 아니라, 그 주변 사람도 혈연적 친밀도에 따라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위험시한다. 그들은 남들보다 낮은 위치에서 남들이 싫어하는 일을 하며 살아야 했다." "출신성분이나 과오로 사회적 낙인이 찍힌 사람들을 다시 '깨끗하게' 해줄 수 있는 존재는 오직 수령뿐이다. 김일성과 김정일의 덕성실화는 각 곳에서 능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위험시되던 오염된 성분의 인재들을 바로 현장에서 사면하고 구원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그러나 차별제도 자체를 없애는 조치는 결코 취하지 않았다. 그래서 개별적인 그의 '은사'는 예외적이고 특별한 것이 된다."(270-1)
# 사회적 낙인stigma의 세 가지 유형(어빙 고프먼)
1. 신체적 흠이나 장애로 인한 낙인
2. 반역적인 믿음, 부자연스러운 감정, 정신질환, 의지박약 같은 성격적 결함에 따른 낙인
3. 인종, 민족, 종교처럼 가계에 따라 전달되면서 가족 모두를 오염시킬 수 있는 부족적(집단적) 낙인
"북한에서는 건국 초기부터 여성을 〈혁명의 한쪽 수레바퀴〉라고 하면서 전통가족을 〈붉은 가정〉으로 바꿨다고 공식적으로 밝혀왔다. 그러나 실제 가족관계를 비롯한 일상생활은 가부장적 가족주의에서 별로 벗어나지 못했다." "요즘 북한사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가부장적 가족생활 문화는 1972년 수령 중심 '유일사상체계' 확립과 관계가 있다. '조선식 사회주의'는 서구식 사회주의와 다르다는 주장과 함께 전통적인 가정생활 방식이 되살아났다." "1980년대 이후 북한경제가 침체기에 들어서고 김정일 후계체제가 공식화되면서 이른바 '사회주의 대가정'이란 개념이 나타났다. 생물학적 혈연관계인 부모자식 관계처럼 정치적 생명을 준 수령을 아버지로 당을 어머니로 '섬기는' 인민이 되라는 것이다. 이런 이념을 가정에서도 매일 생활의례를 통해서 되새기도록 했다. 수령과 당에 대한 충성과 효성을 강조하면서 전통적인 가부장적 질서가 다시 강화됐다."(278-80)
7장 저변의 흐름
"(대기근의 여파로 공식 배급체계가 무너지고 식량과 에너지를 포함한) 국내 자원이 고갈된 상황에서 중요한 문제는 필요한 물자를 외부에서 확보하는 일이었다. 때마침 물질적 풍요를 누리기 시작한 중국은 생존의 열쇠였다. 식량과 생필품을 구하기 위해서 불법으로 국경을 넘은 사람들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다시 돌아와서 가지고 온 물건들을 장마당에서 팔기도 했다. 그들 중에는 중국에서 팔릴 만한 물건(또는 사람)을 모아 다시 그 국경을 넘나들며 장사를 해서 점점 그 길을 넓혀나간 사람들도 있었다. 중국에서 식량과 생필품을 사 올 돈을 처음 마련한 사람들은 주로 중국이나 다른 외국(일본과 한국)에 있는 가족을 통해서 외화를 모으거나, 외부세계와의 연줄을 통해서 그쪽에서 돈이 될 만한 것들을 들고 나가 목돈을 만들었다. 그렇게 초기 교역자금을 마련하고 이윤증식 기술을 익힌 사람들을 '돈주'라고 했다. 초기 돈주들 중에는 골동품으로 큰돈을 쥔 사람도 여럿 있었다고 한다."(305)
"초기 돈주 중에서 중국과 한국 '대방'과 연줄이 있고, 또 당간부나 고위 관료들과도 인간관계를 만들 수 있었던 사람들은 직접 '와쿠(교역허가권)'를 받아서 무역사업에 나서기도 했다. 그중 능력 있는 사람들은 국가기관(당, 군, 정) 소속 기업이나 무역회사의 이름을 빌려서 공식적으로 교역하고 비공식적으로 상납하면서 이윤을 챙겼다." "진짜 돈주의 출현과 소비재의 유행을 보고 자본주의의 맹아라거나 체제붕괴의 조짐이라고 여기는 주장이 많다. 그러나 스스로 생산수단을 갖지 못하고, 임금고용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돈주들을 자본가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그들은 오히려 기존 권력체제를 이용해서 이익을 취하고, 스스로의 안전과 신분상승을 꾀하고 있다. 즉, 시장을 통해서 관료층과 상호의존관계를 맺은 돈주들이 혼인과 신분세탁을 통해서 기존의 계급체제에 새롭게 편입되는 구조다. 이런 방식의 변화는 사회계급 구성원이 바뀌더라도 사회구조 자체는 유지되게 한다."(310-1)
# 대방 : 북한에서 국경을 넘어온 물건들을 받아서 팔고, 식량이나 생필품을 준비해서 보내주는 중국 쪽 교역 상대방
"이동성이 높은 남한사회와 달리 거주이전이 자유롭지 않은 북한에서는 이웃과 동네, 즉 지역사회가 정치적 기능면에서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생활면에서도 중요한 거점이다. 대개는 평생 함께 살아야 할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인민반 등 기초 지역조직들은 상부의 명령을 주민들에게 전달하고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치적인 상호감시체제로만 알려졌다. 그러나 일상생활면에서는 지역사회에 필요한 일들을 협동해서 해결하는 기능과 주민들 간의 상부상조 네트워크 역할도 했다. 특히 공식적 배급체제가 무너진 위기상황에서는 지역단위 주민들이 전통적인 '계'나 '두레' 방식으로 비공식적인 자원과 기술을 모아서 대응했다. 실제로 장마당에 진출한 사람들 중에는 이웃들을 통해 장사기술을 배우고, 동네에서 '모음돈(모아먹기, 계)' 또는 '다니모시(모음쌀, 십시일반)' 방식으로 씨앗자금을 마련한 사례들이 많았다고 한다."(328-30)
"대기근 초기에 김정일은 역설적으로 '웃음'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가장 극적인 '지도자의 웃음'은 김일성의 영정사진으로 등장했다. 모든 가정과 공공장소에 근엄한 표정의 수령 초상을 모시고 살던 인민들은 활짝 웃는 얼굴로 나타난 거대한 초상화에 어리둥절했다. 절망적 현실 속에서 낙관적 미래를 과시하기 위해 김일성의 영정을 더욱 환하게 웃는 모습으로 그리도록 김정일이 직접 지시했다. 그 이후 계속된 비극과 고난의 시대에 김정일 자신도 파안대소하며 현지지도를 했다. 체제의 한계를 웃음을 통해 극복하려 한 것이다. 그 아들 김정은도 위기감을 높이는 미사일 발사 현장에서 주위 사람들과 함께 웃는 모습을 연출했다." "낙관적 정서를 퍼트리기 위해 국가권력이 선도한 웃음은 '관제' 영화와 TV드라마 속에서 '웃음과잉'으로 재현되기도 했다." "이렇게 공식 미디어에 나타난 웃음은 비공식 통로로 국경을 넘어서 들어온 새로운 오락문화의 강한 침투력에 대한 최소한의 대응이기도 했다."(339-40)
"생활의례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매주 한 번 하는 '생활총화'다." "생활총화는 대기근으로 사회제도가 흔들린 상황에서 뚜렷하게 형식적인 집단의례로 변질되어갔다. 생계문제로 바쁜 사람들은 생활총화가 있는 날 빠지기도 하고, 형식적으로 몇 사람만 이야기하고 넘어가기도 했다. 심지어는 참가한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딴짓을 하면서 의례의 권위와 긴장도를 떨어뜨리는 방식의 저항도 자주 나타났다. 여러가지 전술로 변질되고 있기는 해도 생활총화는 북한 사람들의 심성과 행동패턴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고백, 비판, 반성, 교정, 새 출발로 이어지는 일련의 생활총화 과정은 본질적으로 종교성이 강한 생활의례다. 자신의 잘못된 부분을 먼저 드러내 보이고, 용서받아서, 다시 깨끗해진다는 믿음을 전제로 한 정화의례이기 때문이다. 전지전능한 신에게 자신의 죄를 스스로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는 가톨릭교회의 고해성사와 비슷한 일종의 '고백의 문화'라 할 수 있다."(343-4)
- 접기
nana35 2020-10-05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그들을 만나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주어야 할 것이다
어쩌면 북한 사람들에 대해서 가장 모르는 사람들은 바로 우리, 남한 사람들일 것이다. 문화인류학자로 누구보다 가까이 북한 사람들을 만나고 북한사람들을 관찰한 저자가 쓴 북한에 대한 탐구 보고서. 이 책은 북한이라는 세계가 어떻게 굴러가는지 여러 각도로 분석하고 탐구하며 북한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 책의 미덕은 '틈새의 해학'을 보여주는 즉흥성과 유머를 겸비한 인간 존재로서의 북한 사람들은 인정하되, 체제는 미화하지 않는다는 거다. "세상에 부럼없어라","우리는 행복해요"라는 구호로 포장된 '자기중심적 믿음체계를 제도적으로 재생산하는' 연출된 극장국가 북한의 모습과 대조적인 접경지대에서 묘사되는 북한 사람들이 당하는 인권유린은 읽기만해도 마음이 쓰리고 울컥할 정도로 참혹하다.
넓고, 깊고, 조용한 굶주림의 시대 였다는 북한의 대기근에 어떻게든 그들을 도우려고 동분서주 했지만 정치적 상황에 막혀 무력해하던 저자의 안타까운 마음도 느껴진다. 그리고 남한 역시 민주화 전에 북한과 동일한 독재 수순을 밟아왔다는 사실, 비슷하게 돌아간 모습이 있다는 저자의 관찰도 놀라웠다. 무엇보다 다른 길을 걸어온 사람을 만날 때 나의 편협한 관점이 아니라 상대방이 살아온 길을 이해하는 존중과 공감의 감수성이 필요하다는 말은 내 삶에도 깊게 새길 말인 것 같다.
예전 회사에서 일할 때 김일성 대학교를 졸업하고 북한주민의 식량난을 해소하겠다고 옥수수 종자를 연구하던 북한 과학자를 만난 적이 있다. 떨리는 마음으로 무턱대고 "축하드려요 박사님!"이라고 외쳤는데 어색해하면서도 수줍게 웃으시던 그분 생각이 났다. 바로 옆에 굳은 얼굴로 김일성 뺏지를 달고 서있던 분의 서늘함에 나도 모르게 인사만 하고 뺑소니를 쳤던 기억이 있다. 다시 만난다면 "좋은 연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라고 한 마디 꼭 전해드리고 싶다.
"(핵)전쟁을 불사하겠다거나, 배때기를 갈라버리겠다는 말은 위협이기도 하지만, 비명이기도 하다. 우리를 인정해달라, 그리고 이해해달라는 절박한 사람들의 말법이고 몸짓이다. 무기를 내려놓게 하려면, 또 그 죽음의 춤을 멈추게 하려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 주어야 할 것이다."
https://www.instagram.com/abookcloset/
"(핵)전쟁을 불사하겠다거나, 배때기를 갈라버리겠다는 말은 위협이기도 하지만, 비명이기도 하다. 우리를 인정해달라, 그리고 이해해달라는 절박한 사람들의 말법이고 몸짓이다. 무기를 내려놓게 하려면, 또 그 죽음의 춤을 멈추게 하려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 주어야 할 것이다."
- 접기
슈가소울 2020-03-16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아무것도 모르고 있는 나라
동북아시아에 살고 있는 한국인들이 중국과 일본이 어떤 나라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양국의 역사에 대한 지식은 학창시절 교과서에 머물러 있다거나 현재 이들 나라들의 정치 체제나 사회 제도에 대해서 매우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거나 아니면 많이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 나라보다 더, 아니 아예 깜깜하게 모르는 나라는 북한, 그러니까 조선인민공화국일 것이다. 대체 북한 사람들은 아이들이 굶어 죽어가는데 왜 그렇게 살고 있는 걸까. 아니 지금이 어떤 시대인데 할아버지에서 손자까지 정권을 물려줄 수 있는 것일까.
북한에 대한 의미있는 지식을 얻기 어려운 이유는 정확한 정보 자체를 얻기가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라종일 교수의 <<장성택의 길>>이 북한 정치체제의 작동방식에 대한 세밀한 관찰을 통한 통찰을 보여주긴 하지만 이는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겠다. 워낙 폐쇄적인 국가라서 사실 자체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그에 대한 객관적인 해석도 기대하기 힘들다. 이런 면에서 정병호 교수의 <<고난과 웃음의 나라>>는 중국과 일본보다 훨씬 가깝지만 유럽의 여느 나라에 비해서도 아예 모르고 있다고 할 수 있는 북한에 대해 의미있는 정보를 준다.
저자는 문화인류학자이자 북한에 대한 민간 차원의 지원을 위해 북한을 여러번 방문한 학자로 스스로의 관찰과 학문적인 방법론을 결합하여 '극장국가'로서의 북한의 모습을 잘 정리하고 있다. 특히 2장부터 4장에서 북한 체제의 현실을 상세히 전달해준다. 북한은 이미 '한민족'이 아니라 스스로를 '태양민족'이라 부르고 있다는 점도 4장에서 알 수 있다. 이후 90년대 대기근이 어떻게 체제를 악화시켰는지 그리고 출신성분이 세습되는 모습되어 중세 봉건시대처럼 신분제가 철저히 관철되고 있는 상황이 5장과 6장에서 정리되며, 7장은 그럼에도 일말의 희망을 찾고자 하는 저자의 희망적인 기대를 보여준다.
북한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사실 정보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고난과 웃음의 나라>>는 매우 의미있는 책이라고 할 것이다.
- 접기
alestelle 2020-05-30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우리가 모르던 북한 이야기
2장 ‘행복을 교시하는 나라’ 에 이런 문장이 있다.
“행복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며 소유보다는 경험, 경쟁보다는 관계가 중요하다.”
⠀
미디어에서 바라보는 북한은, 가난과 고난에 가득찬 모습 뿐이다. 하지만 부유함이 행복의 척도가 아닌 것처럼 북한 사람들이 추구하는 삶을 우리의 시선에서 ‘불행하다’라고 단정짓는 건 섣부른 생각이었다. 북한의 평등주의와 장군님을 중심으로 한 국가적 가족관계가, 그들에게는 물질적 궁핍을 이겨낼 행복의 원천이다.
⠀
___
⠀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
⠀
남한 사회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문장이다. 그치만,
입시결과를 토대로 교육을 통한 계층구조가 유지되는 건 공공연한 일이고, 따라서 교육열도 심화되었다.
⠀
정말 모든 직업이 평등해, ‘교수 아들은 교수로, 농부 아들은 농부로’ 가 가능한 북한 사회가 굉장히 신기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불평등이라고 칭해질 일이, 어느 국가에서는 평등하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
⠀
___
⠀
흔히 첫인상에서 나온 판단은 틀리지 않는다고들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는 여러 단면이 존재한다. 극히 일부로 무언가를 규정짓는 게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책을 읽은 후 북한에 대한 나의 생각 변화를 통해 깨달았다. 더불어 진정한 ‘행복’ ‘평등’ ‘자유’ 의 가치를 자본주의의 관점에서만 바라볼 수는 없다는 걸, 우리가 무조건 정답이 아니라는 걸 느꼈다.
- 접기
임경민 2020-03-22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페이퍼
전체 (3)
페이퍼 쓰기
좋아요순
비슷한 표지
비슷한 느낌
유부만두 2020-03-29 공감 (4)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고난과 웃음의 나라 - 정병호
#창비교양한당 의 두 번째 책은 정병호 교수의 #고난과웃음의나라 다.
사실 나는 북한 문화 자체는 흥미 있다고 하더라도 북한 정권과 사회 시스템은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책이 가장 읽기 힘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런데 이 책은 북한의 문화를 설명하면서 북한 사회가 '왜 이럴 수
밖에 없는지'를 설명한다.
북한 김일성시대의 발전 역사부터 그들의 우상화와 가족국가화, 김정일과 그의 뒤를 따르는 김정은까지.
북한 지도자를 분석하고 설명할 뿐만 아니라 그들을 뒷받치고 있는 사회주의 북한의 국민들까지도 함께 설명한다.
그래서 읽다보면 "아, 그래 북한 사람도 우리랑 똑같은 사람이구나" 하는 전형적인 생각을 또 한 번 하게 된다.
전주차에 읽었던 #고대에서도착한생각들 은 우리가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시대를 공부한 학자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덧붙였다면,
이 책은 직접 북한을 경험하고 북한 구호활동을 하며 북한 사람들을 만났던 학자가 이 경험에 대해서 분석적으로 작성한 일기 같은 느낌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나는 북한사회를 그리 좋아하지도 않고 통일을 낙관적으로 바라보지도 않는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서 북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나자신이 어색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흥미로웠다.
심지어는 북한에 가보고싶다는 생각도 했다!
물론 북한의 빈곤한 사정이라든가 하는 부분은 큰 비중을 차지 하지 않아서 그런 것도 있겠지만,
그래도 북한=핵무기 라는 현실주의 지향 정치학도에게는 충분히 생각의 전환을 가져다 준 책이었다.
- 접기
유주 2020-03-22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eBook] 고난과 웃음의 나라
정병호 (지은이)창비2020-02-13
다음
종이책의
미리보기
입니다.
전자책종이책 16,200원
전자책정가
12,600원
Sales Point : 156
9.2 100자평(3)리뷰(22)
종이책 페이지수 : 376쪽
책소개
문화이해를 통해 분단시대 남북 문화교류의 발판을 제공하는 책이다. 문화인류학자이자 구호활동가, 탈북 청소년 교육자이기도 한 저자 정병호(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약 20년 동안 10여 차례 방북해 기근 구호활동을 펼치고 조-중 접경지역에서 탈북민과 교류하는 등 활동가로 활약하며 현장연구를 진행해왔다. 이 책은 이러한 저자의 풍부한 대북접촉 경험을 기반으로 북한주민의 삶을 다채롭게 풀어냄과 동시에 북한체제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균형 있게 서술한 책이다.
김정은체제의 변화와 전망을 타진하면서도 권력체제에 포함되지 않는 주민의 일상과 의식까지 담아낸 생생한 현장기록이다. 책은 작금의 북한주민의 삶과 내면이 어떻게 형성되어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그에 따라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할 것인가를 설명해준다. 궁극적으로는 남과 북이 문화적 이질성을 극복하고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데 꼭 필요한 상호이해의 밀알을 제공하는 저작이다.
목차
여는 글
1장 청년장군
1. 아무리 공화국이 어려워도: 핵폭탄과 협상전략
단숨에!: 미사일과 식량구호 |심리를 리해 못 하십니까?: 협상의 문화패턴
2. 척척척 발걸음: 세습과 변화
꼭 같으셔요 | “그깟놈”에서 “좋은 친구”로
3. 외화벌이 일꾼들: 이념에서 발전으로
철없이 돌아온다고 하면 안 되겠다 | 민족보다 국민
4. 사회주의 문명국: 좌절과 도약
발전국가 모델 | 마식령속도로 앞으로! | 기술혁명과 도약발전 |
시도와 좌절의 역사 | 과거, 현재, 미래
2장 행복을 교시하는 나라
1. 우리는 행복해요: 관계와 소속감
세상에 부럼 없어라 | 선물의 아주 특별한 의미 |
언 감귤과 병든 소 | 장군님의 생일선물 |활짝 웃어라: 자랑스러운 공연
2. 어린이는 나라의 왕입니다: 아이들의 영양식
콩우유차는 왕차 | 콩우유는 두유가 아니다
3. 그리운 장군님: 연모의 찬송
낮아진 밥상: 덕성실화 | 장군님 식솔: 가족국가의 표어 |
충성동이 효성동이 마음껏 커요
3장 아버지 나라의 교육
1. 혁명의 으뜸종자: 고아들의 아버지
만경대혁명학원 | 아버지 사진을 모신 이유 | 대를 이은 혁명가족
2. 이역에서 자라는 아들딸: 입양의 정치
동유럽 조선인민학교 | 냉전과 입양의 정치 | 재일 조선학교
3. 세쌍둥이는 나라의 보물: 사회공학실험
복받은 세쌍둥이 | 멋진 신세계
4. 교수 아들은 교수로, 농부 아들은 농부로: 교육과 계급재생산
평양의 교육열성파 엄마들 | 평양 SKY캐슬과 대안교육 | 예술공연과 납치
4장 태양민족의 탄생
1. 해님과 해바라기: 수령과 인민
고향의 봄 | 만경대 고향집
2. 고향집에서 궁전까지: 신화와 순례
민족의 태양 | 태양기념건축 |시조왕릉: 단군릉, 동명왕릉, 왕건왕릉 |
거대 동상과 동상공원
3. 수령님은 영원히 우리와 함께 계신다: 영생과 부활
락원의 꽃밭 | 금수산기념궁전 전설
4. 세 장군 전설: 백두혈통의 탄생
정일봉 탄생설화 | 혁명의 성산, 백두산
5. 아리랑공연: 극장국가의 축제
움직이지 않는 중심 움직이다 | 금수산기념궁전과 호찌민묘
5장 빨치산과 고난의 행군
1. 미국놈들 콧대를 꺾어놓았죠: 저항의 역사
악한 것을 물리친 역사 | 원쑤놈들을 미워하는 마음
2. 조선이 없으면 세계도 없다: 선군정치
총 든 사람 말 들어야지 | 총폭탄 결사옹위 | 꽃 파는 처녀 |
여기서 서울이 멀지 않습니다
3. 넓고, 깊고, 조용한 굶주림: 대기근의 상처
사회주의 기근: 분단체제의 대응 | 탈북난민: 탈냉전시대의 유랑민 |
비겁한 자여 갈 테면 가라
4. 고난의 행군: 재앙의 미화
가는 길 험난해도 웃으며 가자: 기근과 웃음 |
키 크기 운동과 키 크는 약: 정신주의의 한계 |
닭알 폭포가 쏟아져 내리는 것처럼: 과시적 강박
5. 구충제와 영양증진제: 기근 구호와 관료주의의 벽
함경도 아이들에게 남해의 미역을 | 요오드화 소금과 국제기구 |
민족이란 게 뭐인가?
6장 차별과 처벌
1. 지방진출 파견장이 떨어졌다: 중심과 주변
평양과 지방 | 평양 것들 | 중심지향
2. 지주였나?: 계급과 성분
차별의 역전: 연좌제와 세습 | 신분상승 전략: 교육과 결혼
3. 성분이 깨끗해서: 순수와 오염
다문화는 민족말살론: 인종차별 | 평양은 나라의 얼굴: 장애차별
4. 혁명의 두 수레바퀴: 남성과 여성
녀성은 꽃이라네 | 남남북녀
5. 녹음하는 소리 안 들려요?: 감시와 처벌
혁명화와 수령님의 은사 | 아직 끝나지 않았네
7장 저변의 흐름
1. 필요한 길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비공식경제
단둥의 식량창고 | 길이 없으면 함께 만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
얘네들은 돈맛을 좀 들여야 돼
2. 조선이 더 자본주의 같아요: 공식과 비공식
돈주와 대방: 밀수와 뇌물 | 장마당과 시장: 여성들의 공간
3. 이팝에 고기국, 비단옷에 기와집: 이루지 못한 꿈
풀과 고기를 바꾸자: 식생활 | 바지 입은 녀성 출입금지: 복장검열 |
려명거리와 하모니카집: 주거공간
4. 저리 놀면 정말 재밌지: 놀이와 웃음
중세의 가을: 놀이의 세계 | 시간 훔치기: 웃음과 저항
5. 우리는 교양을 잘해서: 조직생활과 역할극
생활총화: 고백의 문화 | 사회적 교양과 통과의례 |
말밥에 오르지 않게 하라: 겉과 속 | 늬들이 혁명을 알아?: 역할극 |
그래도 변하는 것
닫는 글
감사의 글
주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동무들, 이제는 고생 끝에 락을 보게 되었소. 우리에게 려명이 밝아오고 있단 말이오."
- 무기를 내려놓게 하려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주어야 할 것이다. 13쪽 - nanan16
˝(핵)전쟁을 불사하겠다거나, 배때기를 갈라버리겠다는 말은 위협이기도 하지만, 비명이기도 하다. 우리를 인정해달라, 그리고 이해해달라는 절박한 사람들의 말법이고 몸짓이다. 무기를 내려놓게 하려면, 또 그 죽음의 춤을 멈추게 하려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 주어야 할 것이다.˝ - 슈가소울
도덕주의적(도덕적이란 뜻이 아니고) 주장과 단숨에 뜻을 이루고자 하는태도, 자존심과 결사항전의 의지, 결연한 입장과 유연한 연기력은 협상에임하는 북한의 지도자나 엘리뜨 집단에만 국한된 행동패턴이 아니다. 나이와 계층을 초월해서 많은 북한 사람들이 공유하는 문화적 ‘아비투스‘ habitus, 몸과 마음에 내면화된 습관적 행동패턴이자 사회적 생존전략이라고 할수 있다. 베이징에서 만났던 프로협상가들과 비슷한 패턴으로 자존심을지키려고 하던 탈북아동과의 갈등과 협상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떼를 쓰는 것이든 비명이든 억지든 그것이 통하도록하는 것 전략이 때로 무섭다. 거대한 사이비 종교집단같은 면모가 보이기에 이해가 안되고 거부감이 들지만 무시할 수는 없는 존재들이기에 협상을 잘 하려면 심리를 잘 파악해야 한다. ‘미쳐서 보이지 않는 무리에게 처참하고 웅대한 멸망의 서사시야말로 황홀한 꿈의 세계‘라는 박경리 시인의 말대로 북한 그들의 절박한 몸짓에 대응하려면 그 마음을 읽을수 있어야한다 접기 - 가을
그러나 남한단체의 이름을 찍어서 보급하지 않으면 장군님이 보내주신콩우유라고 여길 것이니 그것은 북쪽체제를 이롭게 하는 것이라는 문제제기를 무시하긴 어려웠다. 피난시절 원조물자에 새겨졌던 성조기를 기억하던 정치가들은 ‘대한민국‘ 마크를 뚜렷하게 새긴 구호품을 보내서 체제를 흔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었다.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북한 당국도 남한 구호물품에 쓰인 상표와 글씨에 민감했다. 그러나 현장에서 구호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장군님의 이름‘ 으로 ‘왕차‘를 탄 콩우유가 부정한 손을 덜 타고 더 확실하게 배급되리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p88
그들에게도 자존심이 있으니까 그 심정을 이해하게 된다 비록 가난해서 원조는 받지만 지키고 싶은 것이다 어쨌든 그들에게 무사히 지원이 가야한다면 그것만을 생각해서 남한이 보냈다는 것까지 감추는 것도 감수해야한다는 것을 들으니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그리고 그 고마운 마음은 나중에 다른 방식으로 갚으려 한다고 하니 그 마음은 다 통하는 것을 알게된다 그들이 장군님 아버지에 대한 숭배가 어리석어 보이나 그 또한 순수한 마음으로 읽히니 더 불쌍한 생각에 마음이 아프다. 접기 - 가을
P. 125 분단 70년 동안 남북한은 다른 역사적 경로를 걸어왔다. 양쪽의 다른 정치체제와 경제구조만큼이나 양쪽이 믿는 이념과 가치관의 차이가 현저하게 달라진 두 사회를 만들었다. 앞으로 그 둘이 각각 또는 함께 어느 방향으로 갈지를 결정하는 데 각 사회구성원들이 지어내고 믿는 ‘이야기(허구적 믿음)’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greensea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정병호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일본문화에 대한 현장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인도적 구호활동의 일환으로 여러차례 방북했고, 조·중 접경지역에서도 북한 기근 피해상황을 연구했다. 탈북청소년을 위해서 하나원의 ‘하나둘학교’를 설립했고, 다문화이주청소년을 위해서 ‘무지개청소년센터’를 세웠다. 장기간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운동을 이끌고 있으며, 남북문화통합을 주제로 공동연구를 진행하여 『웰컴 투 코리아: 북조선 사람들의 남한살이』 『한국의 다문화공간』 등을 펴냈다. 공저서로 『극장국가 북한: 카리스마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가』가 있다. 접기
최근작 : <[큰글자도서] 공감대화>,<공감대화>,<[큰글자도서] 고난과 웃음의 나라 1 > … 총 9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지구상 가장 고립된 나라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그들의 일상과 내면을 생생하고 다채롭게 풀어내는
실천적 문화인류학자의 북한문화 심층탐구
문화이해를 통해 분단시대 남북 문화교류의 발판을 제공하는 책 『고난과 웃음의 나라: 문화인류학자의 북한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문화인류학자이자 구호활동가, 탈북 청소년 교육자이기도 한 저자 정병호(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약 20년 동안 10여 차례 방북해 기근 구호활동을 펼치고 조-중 접경지역에서 탈북민과 교류하는 등 활동가로 활약하며 현장연구를 진행해왔다. 이 책은 이러한 저자의 풍부한 대북접촉 경험을 기반으로 북한주민의 삶을 다채롭게 풀어냄과 동시에 북한체제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균형 있게 서술한 책이다. 2013년 출간되어 국내외에서 화제를 일으킨 저자의 전작 『극장국가 북한: 카리스마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가』가 주로 김일성-김정일체제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분석으로 권력의 작동방식을 다룬 학술서라면, 이번 책은 김정은체제의 변화와 전망을 타진하면서도 권력체제에 포함되지 않는 주민의 일상과 의식까지 담아낸 생생한 현장기록이다. 책은 작금의 북한주민의 삶과 내면이 어떻게 형성되어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그에 따라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할 것인가를 설명해준다. 궁극적으로는 남과 북이 문화적 이질성을 극복하고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데 꼭 필요한 상호이해의 밀알을 제공하는 저작이다.
이념국가에서 발전국가로
김정은 시대 사회주의 문명국의 꿈과 현실
김정은 시대의 권력연출과 국가경영은 ‘반복과 변화의 메시지’를 통한 ‘사회주의 문명국’ 건설로 설명할 수 있다. 국제적 고립과 오래 기근으로 배급제를 비롯한 국가제도가 사실상 무너진 상황에서 김정은은 개방과 경제부흥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압력에 직면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위계질서와 체제안정의 기반 위에서 진행되어야 했다. 이에 따라 김정은은 선대 지도자들의 통치 방식을 계승함과 동시에 그 내용과 양식에는 시대상황의 변화를 반영해 현대적‧물질적 욕망을 담기 시작했다. 할아버지 김일성을 쏙 빼닮은 외모와 스타일, 장엄한 예술공연, 산업현장 현지지도 등 기존의 권력연출 방식을 재현하면서도 팝 음악과 모란봉악단 등 파격적인 공연, 스키장과 놀이공원 같은 화려한 오락시설, 서양음식점과 종합백화점, 고층건물과 네온사인이 즐비한 도시경관이 쏟아져 나오는 데에는 이러한 정치적‧문화적 배경이 자리한다. 사회주의 문명국이라는 목표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사회주의 문명국은 이념국가의 용어(사회주의)로 발전국가로의 국가목표(문명국) 전환을 명시한 것이다. 저자는 성공적인 권력세습을 통해 체제방어에 성공한 김정은이 본격적인 발전국가로의 전환에 착수했다고 분석한다. 또한 여러 차례 실패를 거듭했던 북한의 발전국가 노선들을 되짚으며 앞으로의 변화를 타진하기 위해서는 북한이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나올 것인지, 북한의 ‘사람들’을 이해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한다.
그들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
공화국의 내면과 핵협상의 심리구조
실제로 북한 사람들의 심리와 문화를 이해하면 핵폭탄이라는 극단적인 카드를 놓지 않는 북한체제의 의도와 전략을 파악할 수 있다. 저자는 기근 구호활동을 위해 실제 실무자들과 직접 협상테이블에 앉아 지난한 밀고 당기기를 반복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 사람들의 협상의 문화패턴을 발견해냈다. 당장 구호물품이 필요한 북한이 아쉬운 입장이지만, ‘당혹스럽게도’ 그들은 ‘효율’과 ‘합리성’과는 거리가 먼 태도를 취한다. 덕담을 나누다가도 돌연 도덕적 우위에 서서 트집을 잡으며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려 하고, 뜻대로 되지 않으면 감정적으로 대화를 끝내버린다. 이 모든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그들은 협상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자신들의 도덕적인 원칙과 자존심을 지켜낸다. 저자는 이렇게 빈한한 사정에도 도움의 손길을 구걸하지 않겠다는 결기와 도덕주의적 주장, ‘단숨에’ 뜻을 이루고자 하는 태도, 자존심과 결사항전의 의지가 북한 당국과 엘리트집단뿐 아니라 주민들의 의식에도 담겨 있는 문화적 ‘아비투스’라고 분석하며, 이 연장선상에서 핵폭탄은 상대를 위협할 만한 무기를 쥔 채 국제무대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당당하게 관철시키겠다는 사회적 생존전략이라고 말한다. 결국 핵폭탄은 북한체제가 우리를 인정해달라는 절박한 외침인 것이다. 저자는 북한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 속내를 헤아려야 한다고 조언한다.
교시된 행복과 가족국가의 소속감
북한의 문화예술 공연에서 일사불란한 모습으로 숨가쁘게 활짝 웃는 아이들의 미소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어린 아이들에게 가혹한 훈련을 강요하고 지도자에 대한 충성을 세뇌한다는 식의 냉전적 사고틀을 넘어서면 그 미소의 문화적 배경을 한층 깊게 파악할 수 있다. 저자는 방북 당시 여러 유치원과 탁아소, 학교를 둘러보며 만났던 아이들과 교육환경 이야기를 들려주며 아이들과 인민의 웃음을 문화인류학적으로 분석한다. “우리는 행복해요” 슬로건이 걸린 유치원에서 ‘세상에 부럼 없어라’ 노래를 부르는 굶주린 원생들을 보며 저자는 놀랍게도 아이들이 진심으로 행복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참혹한 현실과 동떨어진 표어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지만 그들이 느끼는 행복은 단순한 세뇌의 산물이나 연출된 모습이 아니다. 북한사회는 치밀한 상징작업과 권력연출을 통해 ‘행복을 교시하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북한 사람들은 ‘아버지’ 지도자의 시혜에 감읍하며 공동체적 행복을 공유한다. ‘어린이는 나라의 왕입니다’라는 김일성의 교시와 아이들 간식 콩우유(두유) 공급에 총력을 펼치는 장군님의 온정, 아이들을 위해 밥상 높이를 낮추도록 명령했다는 ‘낮아진 밥상’ 덕성실화, 집집마다 걸어두는 ‘장군님 식솔’ 족자 등 인민의 일상 곳곳에서 가족국가의 관계와 소속감을 발견할 수 있다. 온 인민이 지도자를 어버이로 의식하고 그의 보살핌 속에 살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이런 의미연결 체계는 오랜 시간 역사적‧사회적‧문화적으로 거듭 다져져온 표현이다. 북한 특유의 과장된 극장국가적 연출과 가족국가적 국민의식이 결합되어 지도자는 ‘신 없는 나라의 신’이 되었고 수령을 사모하고 찬양하는 음악은 찬송가로 울려퍼진다. 남과 북이 함께 웃기 위해서는 이처럼 서로가 느끼는 행복이 전혀 다른 층위에 있음을 먼저 알아야 한다. 물질적 풍요가 아닌, 정서적 풍요와 소속감에서 오는 북한 사람들의 웃음을 이해하고,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지금 북한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시장경제의 대두와 과학기술의 강조, 불평등의 심화
저자는 북한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실제로 만나며 문화인류학자 특유의 기민한 감각으로 디테일한 문화적 현상과 일상의 변화를 감지해낸다. “교수 아들은 교수가, 농부 아들은 농부”가 되는 것이 좋지 않겠냐는 말은 뜻밖에도 저자가 북한에서 만난 김일성종합대학 출신 당일꾼의 입에서 나온 말이다. 지도자의 권력세습 덕분에 북한에서는 다양한 직종의 세습과 계급의 재생산이 장려되고 있다. 이념적으로 ‘사회주의’와 ‘혁명’을 표방하면서도 실제로 북한은 자본주의사회와는 다른 방식의 불평등한 사회주의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서울의 강남 8학군 엄마들의 치맛바람 못지않은 평양 엄마들의 교육열, 김일성종합대학과 김책공업대학 교수들과 과학자들이 입주한 평양판 ‘SKY캐슬’은 계층구조의 심화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지역차별도 빼놓을 수 없다. 평양-지방의 철저한 구분과 차별은 북한 사람들의 중심지향성을 강화하고 중심과 주변의 격차는 계속해서 벌어지고 있다. 조부모 또는 증조부모의 사회적 계급성분에 따라 출신성분이 서열화되고 핵심-동요-적대계층이라는 정치적인 계급구분도 존재한다. 우생학을 바탕으로 인종적 우월성을 강조하며 배타적인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같은 맥락에서 ‘평양은 나라의 얼굴’이라는 기치 아래 장애를 가진 평양시민을 평양 밖으로 내쫓는 등 장애차별도 노골적이다. 가부장적 가족국가 질서 속에 여성과 남성 간의 위계서열과 성역할 고정관념 또한 고착화되었다.
변화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남과 북이 하나되는 그날을 꿈꾸며
하지만 사회 전반에 스며든 불평등과 차별의 틈바구니에서는 억눌려왔던 목소리가 흘러나오며 새로운 문화가 탄생하기도 한다. ‘고난의 행군’시기 이래 주민들은 강인한 생명력으로 살길을 모색해왔다. 공식적인 배급체계가 무너지고 비공식경제가 이를 대체하면서 ‘남한보다 더 자본주의 같은’ 면모가 싹트기 시작했다. 저자는 조-중 접경지역에서의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파견노동자의 삶, 밀수와 뇌물이 횡행하며 역동적으로 진행되는 무역 현장을 생생하게 그리고, 장마당과 시장이 확장되면서 여성들이 생활경제의 주역으로 활약함에 따라 가부장적 성별 위계질서에 생기고 있는 균열에도 주목한다. 그러나 저자는 다양한 북한사회의 변화를 체제붕괴의 조짐으로 성급하게 해석하거나 아예 무시하는 태도를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공식적인 제도와 비공식적인 일상 간의 괴리는 지금도 커지고 있지만 두 흐름 모두 현실이고 그 둘이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공존하며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분단체제를 극복하는 데에도 같은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오랜 세월 서로 다른 길을 걸어온 남과 북은 서로의 경험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감수성을 연마해야 진정한 공존을 꿈꿀 수 있다. 북한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의 안개를 걷어내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이 책이 분단의 상처를 치유하는 작은 한걸음이 되리라 기대한다. 접기
평점
분포
9.2
구매자 (2)
전체 (3)
공감순
극장국가로서 북한 체제의 특성, 북한 지도자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징의례를 활용하는 방식, 북한에 사는 이들의 심성지도, 외교적으로 북한을 대하는 법 등 중요한 내용을 담은 책.
Redman 2023-06-25 공감 (16) 댓글 (0)
북한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를 담고 있는 책
alestelle 2020-05-30 공감 (0) 댓글 (0)
마이리뷰
구매자 (8)
전체 (22)
문화인류학자의 북한 이해기
다람쥐 쳇바퀴 돌듯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남북 관계다. 잘 굴러가서 많이 진척된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제자리다. 그냥 열심히 움직이기만 했다. 결과는 또 제자리. 다람쥐가 돌다 돌다 지쳐 나가 떨어지면 그나마 움직임도 없다.
그런데 다람쥐 쳇바퀴 돌듯 하는 것은 한쪽만이 일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양쪽의 행동이 맞아떨어지지 않았을 때 다람쥐 쳇바퀴 돌듯 한다. 반대로 양쪽이 맞아떨어지면 앞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거친 역류를 거슬러 올라가는 배를 노젓는 사공들처럼, 그렇게 협동하면 어려운 환경에서도 진전이 있다. 이게 남북관계다.
양쪽이 맞지 않으면 어떤 일도 성사되지 않고, 양쪽이 맞아떨어지면 무언가 얻는 것이 있는 관계.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을 한다는 문제를 가지고도 이런 일이 반복된다. 그래서 남북관계는 눈에 보이는 진척을 거두기가 힘들다.
눈에 확 띄는 성과는 없을지라도 조금씩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물밑에서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북한과 사이가 확 좋아지는 것처럼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졌지만, 그 다음부터는 또 지지부진이다.
그렇다고 완전히 단절이 되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지속적으로 무언가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다. 비록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지는 못하지만.
이 책은 문화인류학자가 북한을 원조하는 일을 하면서 그동안 만나왔던 북한 사람들, 북한 체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정치적, 경제적인 면을 떠나서 문화적인 면에서 북한을 바라보려 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일방적인 관점에서 서술하지 않는다. 가능하면 문화적 다양성의 관점에서 북한을 바라보려 하고 있다.
그들도 분단이 된 지 7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자신들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니, 그 이유가 분명 있을테고, 그냥 현상만 보고서 북한이 붕괴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라는 말을 하고 있다. 고난의 행군이라고 많은 북한 주민들이 굶주림에 시달리다 죽어갔지만, 그럼에도 그들에게는 놀이와 웃음이 있다는 것.
물질적 궁핍을 정신적인 노력으로 승화시키려는 체제의 모습이라는 것을 여러 면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북한 사회가 지니고 있는 폐쇄성, 그럼에도 그 폐쇄성 속에서도 균열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
김정일은 경제위기를 선군사상으로 돌파하려 했지만, 그 후계자인 김정은은 경제 발전으로 돌파하려 하고 있다는 것, 그들의 세습체제가 정당화될 수는 없지만, 그 사회에서는 그것을 장자계승, 또 백두혈통이라는 것으로 의식화하고 있다는 것.
따라서 백두혈통과 관련지어 항일빨치산 운동을 했던 사람들의 후손을 대우하면서 그들을 자신들의 지지자로 만드는 것. 우리가 우려했던 것처럼 원조물자를 군대에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도 그들 나름대로 보급체계를 만들어 굶주리는 사람들에게 전달하려 하고 있다는 것.
국민을 동원하는 체제이지만, 그 속에서 국민들이 개인적인 활동들을 한다는 것. 이것이 최근에 북한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장마당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집단주의에 개인주의가 스며들기 시작했다는 것. 그런 시류를 북한에서는 공식적으로는 부정하지만 비공식적으로는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 이를 최고지도자의 모습이나 말을 통해서 은연중에 보여주고 있다는 것 등등.
겉으로 드러난 북한의 모습과 그들이 원하는 것이 꼭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 협상 과정에서 돌발상황들이 많이 벌어졌는데, 원조를 받는 그들의 자세를 이해하면서 실질적인 원조를 할 수 있게 된 과정들...
그럼에도 굶주림에 죽어가는 사람들을 어떻게 하지 못하는 정권에 대한 비판. 도와주려고 해도 남한이나 북한이나 관료주의로 똘똘 뭉쳐 있는 관료집단들, 국제기구들의 관료주의들 때문에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한 경우도 이야기하고 있어서 북한에 관해서 다양한 면들을 알게 해주고 있다.
북한은 여전히 고립되어 있다. 이는 그들이 아직도 고난의 나라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들은 웃음을 잃지 않았다는 것. 그 웃음이 행복에서 나오지 않았더라도 정신으로라도 이 고난을 극복하려고 한다는 것. 그 점을 우리가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이 책은 잘 보여주고 있다.
다름을 인정하고 그 다름에서부터 시작하면 남북관계가 다람쥐 쳇바퀴 돌듯 제자리를 맴돌지 않고 역류를 거슬러 올라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한 책이다.
저자와 같은 사람들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남북관계는 좋아지고, 그것이 우리를 평화롭게 살도록 도움을 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우리와는 많이 달라진 북한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책이다.
- 접기
kinye91 2020-06-04 공감(12) 댓글(0)
Thanks to
공감
고난과 웃음의 나라 / 정병호
1장 청년장군
"협의과정에서 북측이 취하는 전형성을 단순화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의의 공식성을 중시해서 격식을 갖춰 웃으며 악수하고, 덕담을 주고받는다. 상대방의 설명을 먼저 잘 듣고 메모하다가 실무적인 내용보다 원칙적인 문제를 찾아서 거론한다. 도덕적 우위에 서서 비판하고 꾸짖기도 하면서 상대방을 위축시킨다. 자기편 주장을 강하게 말하면서 상대방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갈등을 고조시키고 격앙된 감정을 표현하면서 그 상태로 회의를 끝내기도 하고, 다시 만나서 논의하기로도 한다. 다시 회의가 시작되면 다시 웃고 덕담하고 원칙과 도덕으로 비판하고··· 똑같은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자기 주장을 관철하거나, 상대방의 제안을 조정하도록 해서 최대한 자신들의 입장과 체면을 지킨다. 결국은 받을 것이었는데 자존심 하나를 지키려고 그 어려운 과정을 반복한 것이다. 그동안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대북 협상 과정에서 겪었던 일이고, 앞으로의 협상에서도 패턴은 비슷할 것이다."(22)
"미사일 발사 같은 도발의 원리도 조금씩 이해되기 시작했다. 하기는 국제사회의 동정이나 연민으로 얻을 수 있는 지원이 얼마나 되겠는가? 국제 구호대상으로 자주 거론되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실제로 어떤 지원을 받았고 지금 어떻게 살고 있는지 살펴보면 바로 알 수 있는 일이다. 북한은 아무리 어려워도 그런 방식으로 국제사회의 동정을 구하는 가난한 나라 취급을 받지 않겠다는 의지가 뚜렷했다. 개인적 자선과 마찬가지로 국제원조도 대상국의 상태와 실력에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아무리 참혹한 모습으로 도움을 청해도 가난한 걸인에게는 동전을 던져줄 뿐이다. 입성이 반듯하고 갚을 능력이 있어 보이는 사람에게는 도움을 주는 단위나 지원방식이 달라진다. 실력과 배짱이 있는 상대가 '나'를 해칠 수 있는 힘까지 가지고 당당하게 요구를 한다면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가 된다. 대기근상황에서 발사한 미사일 광명성은 바로 그런 길을 가기로 했다는 선언으로 들렸다."(24)
2장 행복을 교시하는 나라
"〈행복 넘쳐요〉라고 노래하는 유치원 아이들의 '행복'과 '장군님'은 도대체 무슨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장군님'을 왜 '아버지'라고 하는지 궁금했다." "주체사상의 논리에서 보면 이들은 스스로를 항일 유격대의 전통을 이은 존재로 여기고 있다. 따라서 아직도 완전히 독립하지 못한 민족을 해방시키려는 투쟁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령을 중심으로 굳게 뭉쳐 고난을 견디며 바른 편에 서서 바른길을 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지금은 압도적인 외세에 의해 완전히 포위되어 가난하고 괴롭지만, 올바른 길을 가는 자신들이 언젠가는 승리해서 통일을 이루고 민족을 해방시킬 영광스러운 존재라고 여기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아이들의 노래하는 〈행복〉은 우리가 생각하듯 물질적인 것은 아닐 것이다. 〈세상에 부럼 없어라〉나 〈우리식대로 살자〉든가 〈조선이 없으면 세계도 없다〉라는 표어도 남한식으로 해석해서는 이해할 수 없는 말이다. 그들 나름의 도덕원리에 바탕을 둔 정신주의적 표현이기 때문이다."(62-3)
"남아프리카 부시맨 문화에서는 선물을 받고 감사하거나 칭찬하는 법이 없다. 평등사회의 문화원리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예를 들어 사냥꾼이 큰 짐승을 잡아 온 동네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면 모두 둘러앉아 맛있게 먹으면서 고기가 질기다고 불평을 한다는 것이다. 성공한 사냥꾼의 뜨거워진 가슴을 식히기 위해서라고 한다." "'고마움'은 선물을 주고받는 그 자리에서 바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시간이 지난 후에 그와 같거나 더 큰 선물로 확실하게 갚는다." "북한 당국도 소떼를 몰고 온 정주영 회장에게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개발권으로, 감귤을 보내온 제주도민들은 전세기편으로 직접 평양에 오게 하는 식으로 그때의 고마움을 나중에 다른 방식으로 '계산'했다." "〈우리 손으로 직접 나누어 주고, 아이들이 먹는 것을 우리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 못하면 줄 수 없다〉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그런 꼬리표가 붙는 '선물'은 안 받겠다는 것이 북쪽의 일관된 입장이다. '선물'은 장군님만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69-70)
"대기근 발생 초기에 국제사회의 구호를 기대하며 공개한 육아원과 아동병원에서 외부 사람들이 찍은 아이들의 참혹한 영양실조 사진은 모금 활동에 일부 활용되기도 했지만, 그보다 더 폭넓게 북한정권의 실패와 인권상황을 고발하는 이미지로 확산되었다. 그후 북한 당국은 그런 현장에 더이상 외부의 눈길이 닿지 않도록 관리했지만, 이미 널리 퍼진 이미지들은 '지워지지 않는 낙인'이 되어 아직도 수많은 반북 정치집회에 동원되고 있다. 그래서인지 그후에도 여러차례 평양에 갔었지만 다시는 그곳에 가보지 못했다. 지난 20세기 중반부터 아프리카의 비아프라,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등 여러 나라에서 전쟁과 자연재해로 수많은 아이들이 영양실조로 죽어갔다. 그 아이들의 참혹한 사진들은 오늘날까지 지워지지 않는 아프리카의 이미지로 선명하게 남아 있다. 그렇게 많은 끔찍한 사진들을 돌려 보면서 국제사회는 그 아이들을 얼마나 구했을까? 깡마른 북쪽 아이들의 사진을 보며 우리는 과연 얼마나 도왔을까?"(79-80)
3장 아버지 나라의 교육
"혁명투쟁 중에 희생된 동지의 자식들을 자기 자식처럼 거두어 키워주는 수령의 '어버이'로서의 이미지는 국가 전체로 확대된 가족 개념의 출발점이 되었다. 혁명학원과 정치적 양부모 관계의 의미에 대해서는 탁아소와 유치원부터 모든 교육기관에서 반복학습을 통해 가르친다. 세대가 거듭되면서 혁명학원은 상징적 의미뿐만 아니라 '가족국가'의 확대종가로서의 모습을 실제로 보여주고 있다." "북한에서는 혁명을 (기득권 세력에 맞선) 사회 내부의 평등보다는 외세로부터의 해방으로 개념화했다. 외부와의 혁명투쟁이 길어지다보니 '대를 이어' 혁명을 해야 한다. 그 혁명의 효율을 위해 선택과 집중은 불가피하고, 선택의 기준은 개인의 능력보다 신뢰를 우선한다는 논리다. 특별히 신뢰받는 혁명가족의 아이들은 국가적으로 특별한 지원을 받으며 성장한다." "여러 세대에 걸쳐 장기화된 혁명의 현실은 처음에 추구하던 혁명의 이념과는 달리 특권 의식으로 나타났다."(107-8)
"북한의 전쟁고아들은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총 4천 명 이상이 교육받았다. 중국이 가장 많은 수를 돌보았고, 몽골과 소련으로 보낸 고아들까지 포함하면 최소 2만 5천명 이상을 '사회주의 형제' 국가들이 돌봐주었다고 한다."(110-1) "동구권 국가에서 교육받은 북한의 전쟁고아들은 1960년대 초중반까지 모두 북한으로 돌아왔다. 그 무렵 조금씩 변화되기 시작한 동구권 사회의 영향을 두려워했기 때문이었다. 귀국 직후 이들은 집중적인 사상 재교육을 받았다. 심각한 문화충격으로 재적응에 실패한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귀국 전쟁고아들은 '어버이 수령'의 특별한 사랑을 증명하는 존재들로서 외교 및 통역 분야는 물론, 과학기술 분야에서 전문가 집단을 형성하고 지도적 역할을 했다. 평양과 해외에서 그들과 교류해본 전 루마니아 대사는 전쟁고아들처럼 '어버이 수령'과 특별한 관계가 있는 집단들이 국제적 고립과 위기상황에서도 체제의 전복을 막아주는 '평형수' 역할을 하고 있다고 했다."(114-5)
4장 태양민족의 탄생
"김일성의 삶 이야기는 대부분의 신화에서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문화영웅'의 통과의례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평범한 출생배경을 가진 어린 영웅은 소년기에 집을 떠나 머나먼 이국땅에서 갖은 고생을 하며 훌륭하게 성장한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성물聖物, 두자루 권총'을 물려받고, 성스러운 산(백두산) 속으로 들어가 생사의 고비를 넘나드는 시련을 겪으며 민족을 노예로 삼은 외적을 물리치고, 마침내 고향(만경대)에 돌아와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 스스로 만든 '해방조국(지상낙원)'의 태양이 되어 영생한다는 서사구조다." "영웅의 '통과의례'처럼 소년 김일성은 두 번의 천리길 여행을 통해 청년이 된다. 그리고 '밖'에서 '안'으로 돌아오는 개선장군으로서의 '귀국', '밑'에서 '위'로 올라가는 수령으로서의 '건국'이 장년이 되는 과정이다. 그의 노년은 '민족의 태양'으로 추앙받으며 사랑과 이적을 보여주는 삶이었고, 그는 죽어서도 '삶과 죽음'을 연결하는 '조상신'으로서 '영생'한다."(150-1)
"김정일의 탄생으로 북한의 신화는 세 명의 대성인(김일성, 김정숙, 김정일), 성스러운 삼위三位의 신격을 갖게 되었다." "김정일의 탄생설화는 예수 탄생을 둘러싼 다양한 전설과 성서적 표현을 번안한 형태로 전개된다. 그의 탄생은 성스러운 백두산의 겨울밤, 눈덮인 소나무 가지 사이로 이상한 별이 빛날 때, '정일봉' 아래 통나무집에서 〈룡마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온〉 아기가 태어났다는 전설적 이야기로 시작된다. 하늘에는 날개 달린 천사들이 노래하고, 구세주의 탄생을 알리는 별을 따라 동방박사들이 찾아온 것처럼, 김정일의 탄생은 먼저 민족의 향도성인 〈광명성〉이란 새 별이 솟아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고 한다. 땅에서는 마구간에 태어난 아기 예수에게 동방박사들이 선물을 바친 것처럼, 백두산 밀영 통나무집에서 태어난 〈어리신 장군님〉에게 충성스러운 빨치산 '경위대원(호위대원)'들이 소박한 장난감을 바쳤다고 한다."(169-70)
"극장국가의 권력은 영토나 물리적 강제력을 확대하는 것보다 주로 사람의 마음을 잡는 일에 주력했다. 또한 극장국가의 정치와 행정체계는 국가의례의 준비와 집행을 다른 어떤 복지적, 경제적 심지어 군사적 이해보다도 앞세웠다. 그렇다면 (아직 기근의 상처가 아물지 않은 상황에서 부시 행정부에게 '악의 축'으로 낙인 찍힌 2002년에 처음 개최된) 「아리랑공연」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국가적 장중함과 긍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국가가 초라하게 위축된 상황일 때 더욱 스스로의 존재감을 안팎 모두에게 과시적으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그것을 문화적으로 익숙한 예술창작 방식을 총동원하여 종합적으로 표현한 것이 「아리랑공연」이다. 즉, 김일성으로 상징화되는 반제국주의 투쟁의 정치적 정통성을 재확인하고, 주체적 삶을 지키기 위한 김정일의 선군정치의 힘을 보여주고, 미래의 유토피아 통일조국에서 〈태양민족〉, 〈김일성민족〉이 세계적으로 영원히 중심에 선다는 이미지를 투영하고 있다."(177-8)
5장 빨치산과 고난의 행군
"'유격대국가'로서의 역사는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강요한 자기중심적 권력서사만은 아니다. 주체적 해방서사에 목마른 탈식민국가의 여러 집단들이 이런 이야기를 서로 만들고 유통하면서 스스로 하나의 문화적 논리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모두가 그랬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서 만든 이야기에서 구체적 사실 자체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교훈적 이야기의 설득력 있는 의미구성이 중요하다. 그 이야기를 통해 그 사회의 어른들과 아이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지 가치관 교욱으로서의 효과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 수령과 국가권력에 관련된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교육 효과가 있는 다양한 영웅적 미담들도 꼭 사실 그대로일 필요는 없다. 황당할 정도로 많은 신화나 영웅담 형식의 과장된 이야기가 항상 보급된다. 통제된 정보매체 속에서 '이야기'에 굶주린 어른들과 아이들은 같은 주제지만 늘 새롭게 창작되고 있는 변주곡들을 반복해서 소비하고 있다."(195)
"외부세계는 북한이 핵과 미사일에 매달려서 경제적 파탄을 겪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들은 군대를 앞세운 선군정치의 힘으로 체제를 유지하고 '자주성'을 지켰다고 주장한다. 소련과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은 군대가 〈총 한번 쏴보지 못하는 무력한 집단〉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결국은 사회주의 제도가 붕괴되고 인민들은 전쟁과 약탈, 민족분쟁으로 인하여 자기의 정든 보금자리마저 빼앗기고 다른 나라로 류랑의 길을 떠나고 있지만〉, 조선은 그런 파국을 막았다는 것이다." "김정일이 택한 '군사우선 사회주의', 즉 '선군정치'는 사회주의 종주국 소련의 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고, 이웃한 사회주의 패권국 중국의 변질된 '경제우선 사회주의'와 대비되는 정통성 있는 방안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선군정치는 사회주의 체제의 근본적 국가운영 원리이 '당'과 '군'의 서열관계를 역전시킨 것이다. 합당한 물적 토대를 혁명의 원동력으로 강조하는 정통 맑스주의의 전제도 뒤집은 것이다."(204-5)
"흔히 북한을 '벼랑끝 외교'를 펼치는 나라라고 한다. 늘 외부세계의 예상과는 다른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 때문이다. 허세를 부리는 것이라고 여기기에는 정말 벼랑끝에서 몸을 던질 각오가 아니면 하기 어려운 정책결정을 되풀이하고 있다. 실제로 그럴 수 있을 것인가?"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극장국가 내부에서 그들 자신이 스스로 연기를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그것은 문화적 '연기'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받아들일 만한 계기만 있으면 한순간에 대본이 바뀐 듯이 입장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은 늘 있다. 실제로 일본 천황의 항복선언은 하루아침에 모든 전선의 일본 군인들이 무기를 놓게 하였다. 마지막 한사람까지 죽창을 들고 싸우고자 했던 일본 국민들도 그의 한마디에 주술에서 풀린 듯 개인적 복수심까지 접고 점령군으로 진주한 미군을 환영했다. 천황이란 상징체계의 중심이 움직임으로써 극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210-1)
"북한 기근피해가 가장 혹심했던 1995~98년간에 남한사회가 당시의 경제력에 비해 터무니없이 소극적으로 대응한 배경에는 기근으로 인해 북한체제가 조기에 붕괴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참혹한 기근이 진행되고 있다 해도 그 기근을 발생시킨 체제가 있는 한 구호활동은 그 비극을 연장시킬 뿐이니, 그 체제가 붕괴하기를 기다려(혹은 적극적으로 붕괴시켜) 일거에 구원하자는 논리였다. 돌이켜보면 이는 '기근'현상에 대한 무지 때문이기도 했다. 아무리 혹독한 기근이라도 기근 자체는 체제를 붕괴시키지 않는다. 배고픈 사람들은 권력에 저항할 힘도 여유도 없기 때문이다. 세계 여러 사회에서 발생한 '기근'에 대한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밝히고 있는 사실이다." "최근에 비로소 피해규모가 드러난 중국의 대약진운동 시기 대기근의 경우 사망자만 약 3천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정치체제는 물론이고 권력구조에조차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220-1)
"당시 북한 주민들이 국경을 넘는다는 것은 단순히 좀더 잘살아보겠다는 행위가 아니었다. 자살만큼이나 극단적인 저항행위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미 반세기 이상 북한은 국민들을 극도로 군사적인 빨치산국가의 구성원으로 사회화시켰다. 그 국가공동체를 이탈하는 것은 비겁한 배반이고 반역적인 범죄로까지 여기도록 했다. 발각되면 그 처벌은 개인 차원에 머물지 않고 가족과 친척에게까지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탈북난민들은 항상 붙잡혀서 송환되는 것에 대해 극단적인 공포심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송환된 후 자기 자신의 운명만이 아니라 가족과 친척들에 대한 염려 때문이기도 했다. 이러한 종류의 공포심은 극단적인 죄책감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위험한 고비를 넘겨서 일단 안전한 곳에서 쉬고 잘 먹으면 곧 심한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았다. 북한에 남기고 온 가족 때문이었다. 국경을 넘은 자신의 행동이 비겁한 배반이라는 생각을 오래도록 지우지 못했다."(228)
# 기근의 3단계 진행과정
1. 경계 : 기근 초기에는 공동체적 이타성이 높지만 결핍이 심각해지고 사회적 통제가 이완되면서 점차 유대감이 사라진다.
2. 저항 : 심한 결핍으로 활동이 감소하고 사회관계도 침식되면서 공공재 파괴현상이 나타나고 가족단위의 유대만이 남는다.
3. 탈진 : 가족마저 붕괴되어 스스로 자기를 지켜야 하기 때문에 식량자원을 통제하는 권력에 복종하는 현상이 뚜렷하다.
6장 차별과 처벌
"평양과 지방은 확실히 달랐다. 그냥 다른 것이 아니라 현격한 질적 차이가 느껴졌다. 도로와 건물 상태만이 아니라, 사람들의 복장, 표정, 걸음걸이와 자세까지 차이가 있었다. 물질적 생활수준만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복지수준도 격차가 큰 듯했다. 당연히 많은 사람들이 평양으로 들어와 살고 싶어 한다." "평양은 도시 슬럼 같은 문제도 없다. 경계관리의 차원이 다르기 때문이다. 심지어 평양시민들은 지방민들이 소지한 '공민증(남한의 주민등록증)'과 다른 '평양시민증'을 소지한다. 평양시민증은 1997년 기근이 한참 심해질 때 새로 만들었다. 식량배급이 먼저 끊긴 지방에서 마지막까지 식량이 배급되고 있던 평양으로 들어오려는 사람들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그때부터 평양 이주는 물론 방문까지 철저하게 관리했다. 평양 방문허가증은 국경을 넘는 비자와 같은 기능을 했다. 국가 안에 또 하나의 국경이 만들어진 셈이었다. 기근시기의 끝자락에 내가 본 평양 경계선에는 메마르고 스산한 기운이 감돌았다."(256-7)
"탈북한 사람들은 대부분 출신성분이 나빴거나 가족과 친척 중에 정치적 과오가 있다는 이유로 차별받았다고 했다. 상당수는 바로 그 반대의 이유로 우대받고 당당하게 살았다. 그때 나오는 표현이 〈깨끗하다〉 〈더럽다〉 〈썩었다〉 〈순수하다〉 〈오점〉 〈전염〉 같은 말이다." "이런 문화체제에서는 '오염되었다'고 지목당한 사람뿐만 아니라, 그 주변 사람도 혈연적 친밀도에 따라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위험시한다. 그들은 남들보다 낮은 위치에서 남들이 싫어하는 일을 하며 살아야 했다." "출신성분이나 과오로 사회적 낙인이 찍힌 사람들을 다시 '깨끗하게' 해줄 수 있는 존재는 오직 수령뿐이다. 김일성과 김정일의 덕성실화는 각 곳에서 능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위험시되던 오염된 성분의 인재들을 바로 현장에서 사면하고 구원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그러나 차별제도 자체를 없애는 조치는 결코 취하지 않았다. 그래서 개별적인 그의 '은사'는 예외적이고 특별한 것이 된다."(270-1)
# 사회적 낙인stigma의 세 가지 유형(어빙 고프먼)
1. 신체적 흠이나 장애로 인한 낙인
2. 반역적인 믿음, 부자연스러운 감정, 정신질환, 의지박약 같은 성격적 결함에 따른 낙인
3. 인종, 민족, 종교처럼 가계에 따라 전달되면서 가족 모두를 오염시킬 수 있는 부족적(집단적) 낙인
"북한에서는 건국 초기부터 여성을 〈혁명의 한쪽 수레바퀴〉라고 하면서 전통가족을 〈붉은 가정〉으로 바꿨다고 공식적으로 밝혀왔다. 그러나 실제 가족관계를 비롯한 일상생활은 가부장적 가족주의에서 별로 벗어나지 못했다." "요즘 북한사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가부장적 가족생활 문화는 1972년 수령 중심 '유일사상체계' 확립과 관계가 있다. '조선식 사회주의'는 서구식 사회주의와 다르다는 주장과 함께 전통적인 가정생활 방식이 되살아났다." "1980년대 이후 북한경제가 침체기에 들어서고 김정일 후계체제가 공식화되면서 이른바 '사회주의 대가정'이란 개념이 나타났다. 생물학적 혈연관계인 부모자식 관계처럼 정치적 생명을 준 수령을 아버지로 당을 어머니로 '섬기는' 인민이 되라는 것이다. 이런 이념을 가정에서도 매일 생활의례를 통해서 되새기도록 했다. 수령과 당에 대한 충성과 효성을 강조하면서 전통적인 가부장적 질서가 다시 강화됐다."(278-80)
7장 저변의 흐름
"(대기근의 여파로 공식 배급체계가 무너지고 식량과 에너지를 포함한) 국내 자원이 고갈된 상황에서 중요한 문제는 필요한 물자를 외부에서 확보하는 일이었다. 때마침 물질적 풍요를 누리기 시작한 중국은 생존의 열쇠였다. 식량과 생필품을 구하기 위해서 불법으로 국경을 넘은 사람들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다시 돌아와서 가지고 온 물건들을 장마당에서 팔기도 했다. 그들 중에는 중국에서 팔릴 만한 물건(또는 사람)을 모아 다시 그 국경을 넘나들며 장사를 해서 점점 그 길을 넓혀나간 사람들도 있었다. 중국에서 식량과 생필품을 사 올 돈을 처음 마련한 사람들은 주로 중국이나 다른 외국(일본과 한국)에 있는 가족을 통해서 외화를 모으거나, 외부세계와의 연줄을 통해서 그쪽에서 돈이 될 만한 것들을 들고 나가 목돈을 만들었다. 그렇게 초기 교역자금을 마련하고 이윤증식 기술을 익힌 사람들을 '돈주'라고 했다. 초기 돈주들 중에는 골동품으로 큰돈을 쥔 사람도 여럿 있었다고 한다."(305)
"초기 돈주 중에서 중국과 한국 '대방'과 연줄이 있고, 또 당간부나 고위 관료들과도 인간관계를 만들 수 있었던 사람들은 직접 '와쿠(교역허가권)'를 받아서 무역사업에 나서기도 했다. 그중 능력 있는 사람들은 국가기관(당, 군, 정) 소속 기업이나 무역회사의 이름을 빌려서 공식적으로 교역하고 비공식적으로 상납하면서 이윤을 챙겼다." "진짜 돈주의 출현과 소비재의 유행을 보고 자본주의의 맹아라거나 체제붕괴의 조짐이라고 여기는 주장이 많다. 그러나 스스로 생산수단을 갖지 못하고, 임금고용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돈주들을 자본가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그들은 오히려 기존 권력체제를 이용해서 이익을 취하고, 스스로의 안전과 신분상승을 꾀하고 있다. 즉, 시장을 통해서 관료층과 상호의존관계를 맺은 돈주들이 혼인과 신분세탁을 통해서 기존의 계급체제에 새롭게 편입되는 구조다. 이런 방식의 변화는 사회계급 구성원이 바뀌더라도 사회구조 자체는 유지되게 한다."(310-1)
# 대방 : 북한에서 국경을 넘어온 물건들을 받아서 팔고, 식량이나 생필품을 준비해서 보내주는 중국 쪽 교역 상대방
"이동성이 높은 남한사회와 달리 거주이전이 자유롭지 않은 북한에서는 이웃과 동네, 즉 지역사회가 정치적 기능면에서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생활면에서도 중요한 거점이다. 대개는 평생 함께 살아야 할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인민반 등 기초 지역조직들은 상부의 명령을 주민들에게 전달하고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치적인 상호감시체제로만 알려졌다. 그러나 일상생활면에서는 지역사회에 필요한 일들을 협동해서 해결하는 기능과 주민들 간의 상부상조 네트워크 역할도 했다. 특히 공식적 배급체제가 무너진 위기상황에서는 지역단위 주민들이 전통적인 '계'나 '두레' 방식으로 비공식적인 자원과 기술을 모아서 대응했다. 실제로 장마당에 진출한 사람들 중에는 이웃들을 통해 장사기술을 배우고, 동네에서 '모음돈(모아먹기, 계)' 또는 '다니모시(모음쌀, 십시일반)' 방식으로 씨앗자금을 마련한 사례들이 많았다고 한다."(328-30)
"대기근 초기에 김정일은 역설적으로 '웃음'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가장 극적인 '지도자의 웃음'은 김일성의 영정사진으로 등장했다. 모든 가정과 공공장소에 근엄한 표정의 수령 초상을 모시고 살던 인민들은 활짝 웃는 얼굴로 나타난 거대한 초상화에 어리둥절했다. 절망적 현실 속에서 낙관적 미래를 과시하기 위해 김일성의 영정을 더욱 환하게 웃는 모습으로 그리도록 김정일이 직접 지시했다. 그 이후 계속된 비극과 고난의 시대에 김정일 자신도 파안대소하며 현지지도를 했다. 체제의 한계를 웃음을 통해 극복하려 한 것이다. 그 아들 김정은도 위기감을 높이는 미사일 발사 현장에서 주위 사람들과 함께 웃는 모습을 연출했다." "낙관적 정서를 퍼트리기 위해 국가권력이 선도한 웃음은 '관제' 영화와 TV드라마 속에서 '웃음과잉'으로 재현되기도 했다." "이렇게 공식 미디어에 나타난 웃음은 비공식 통로로 국경을 넘어서 들어온 새로운 오락문화의 강한 침투력에 대한 최소한의 대응이기도 했다."(339-40)
"생활의례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매주 한 번 하는 '생활총화'다." "생활총화는 대기근으로 사회제도가 흔들린 상황에서 뚜렷하게 형식적인 집단의례로 변질되어갔다. 생계문제로 바쁜 사람들은 생활총화가 있는 날 빠지기도 하고, 형식적으로 몇 사람만 이야기하고 넘어가기도 했다. 심지어는 참가한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딴짓을 하면서 의례의 권위와 긴장도를 떨어뜨리는 방식의 저항도 자주 나타났다. 여러가지 전술로 변질되고 있기는 해도 생활총화는 북한 사람들의 심성과 행동패턴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고백, 비판, 반성, 교정, 새 출발로 이어지는 일련의 생활총화 과정은 본질적으로 종교성이 강한 생활의례다. 자신의 잘못된 부분을 먼저 드러내 보이고, 용서받아서, 다시 깨끗해진다는 믿음을 전제로 한 정화의례이기 때문이다. 전지전능한 신에게 자신의 죄를 스스로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는 가톨릭교회의 고해성사와 비슷한 일종의 '고백의 문화'라 할 수 있다."(343-4)
- 접기
nana35 2020-10-05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그들을 만나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주어야 할 것이다
어쩌면 북한 사람들에 대해서 가장 모르는 사람들은 바로 우리, 남한 사람들일 것이다. 문화인류학자로 누구보다 가까이 북한 사람들을 만나고 북한사람들을 관찰한 저자가 쓴 북한에 대한 탐구 보고서. 이 책은 북한이라는 세계가 어떻게 굴러가는지 여러 각도로 분석하고 탐구하며 북한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 책의 미덕은 '틈새의 해학'을 보여주는 즉흥성과 유머를 겸비한 인간 존재로서의 북한 사람들은 인정하되, 체제는 미화하지 않는다는 거다. "세상에 부럼없어라","우리는 행복해요"라는 구호로 포장된 '자기중심적 믿음체계를 제도적으로 재생산하는' 연출된 극장국가 북한의 모습과 대조적인 접경지대에서 묘사되는 북한 사람들이 당하는 인권유린은 읽기만해도 마음이 쓰리고 울컥할 정도로 참혹하다.
넓고, 깊고, 조용한 굶주림의 시대 였다는 북한의 대기근에 어떻게든 그들을 도우려고 동분서주 했지만 정치적 상황에 막혀 무력해하던 저자의 안타까운 마음도 느껴진다. 그리고 남한 역시 민주화 전에 북한과 동일한 독재 수순을 밟아왔다는 사실, 비슷하게 돌아간 모습이 있다는 저자의 관찰도 놀라웠다. 무엇보다 다른 길을 걸어온 사람을 만날 때 나의 편협한 관점이 아니라 상대방이 살아온 길을 이해하는 존중과 공감의 감수성이 필요하다는 말은 내 삶에도 깊게 새길 말인 것 같다.
예전 회사에서 일할 때 김일성 대학교를 졸업하고 북한주민의 식량난을 해소하겠다고 옥수수 종자를 연구하던 북한 과학자를 만난 적이 있다. 떨리는 마음으로 무턱대고 "축하드려요 박사님!"이라고 외쳤는데 어색해하면서도 수줍게 웃으시던 그분 생각이 났다. 바로 옆에 굳은 얼굴로 김일성 뺏지를 달고 서있던 분의 서늘함에 나도 모르게 인사만 하고 뺑소니를 쳤던 기억이 있다. 다시 만난다면 "좋은 연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라고 한 마디 꼭 전해드리고 싶다.
"(핵)전쟁을 불사하겠다거나, 배때기를 갈라버리겠다는 말은 위협이기도 하지만, 비명이기도 하다. 우리를 인정해달라, 그리고 이해해달라는 절박한 사람들의 말법이고 몸짓이다. 무기를 내려놓게 하려면, 또 그 죽음의 춤을 멈추게 하려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 주어야 할 것이다."
https://www.instagram.com/abookcloset/
"(핵)전쟁을 불사하겠다거나, 배때기를 갈라버리겠다는 말은 위협이기도 하지만, 비명이기도 하다. 우리를 인정해달라, 그리고 이해해달라는 절박한 사람들의 말법이고 몸짓이다. 무기를 내려놓게 하려면, 또 그 죽음의 춤을 멈추게 하려면 우선 그 마음을 알아 주어야 할 것이다."
- 접기
슈가소울 2020-03-16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아무것도 모르고 있는 나라
동북아시아에 살고 있는 한국인들이 중국과 일본이 어떤 나라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양국의 역사에 대한 지식은 학창시절 교과서에 머물러 있다거나 현재 이들 나라들의 정치 체제나 사회 제도에 대해서 매우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거나 아니면 많이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 나라보다 더, 아니 아예 깜깜하게 모르는 나라는 북한, 그러니까 조선인민공화국일 것이다. 대체 북한 사람들은 아이들이 굶어 죽어가는데 왜 그렇게 살고 있는 걸까. 아니 지금이 어떤 시대인데 할아버지에서 손자까지 정권을 물려줄 수 있는 것일까.
북한에 대한 의미있는 지식을 얻기 어려운 이유는 정확한 정보 자체를 얻기가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라종일 교수의 <<장성택의 길>>이 북한 정치체제의 작동방식에 대한 세밀한 관찰을 통한 통찰을 보여주긴 하지만 이는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겠다. 워낙 폐쇄적인 국가라서 사실 자체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그에 대한 객관적인 해석도 기대하기 힘들다. 이런 면에서 정병호 교수의 <<고난과 웃음의 나라>>는 중국과 일본보다 훨씬 가깝지만 유럽의 여느 나라에 비해서도 아예 모르고 있다고 할 수 있는 북한에 대해 의미있는 정보를 준다.
저자는 문화인류학자이자 북한에 대한 민간 차원의 지원을 위해 북한을 여러번 방문한 학자로 스스로의 관찰과 학문적인 방법론을 결합하여 '극장국가'로서의 북한의 모습을 잘 정리하고 있다. 특히 2장부터 4장에서 북한 체제의 현실을 상세히 전달해준다. 북한은 이미 '한민족'이 아니라 스스로를 '태양민족'이라 부르고 있다는 점도 4장에서 알 수 있다. 이후 90년대 대기근이 어떻게 체제를 악화시켰는지 그리고 출신성분이 세습되는 모습되어 중세 봉건시대처럼 신분제가 철저히 관철되고 있는 상황이 5장과 6장에서 정리되며, 7장은 그럼에도 일말의 희망을 찾고자 하는 저자의 희망적인 기대를 보여준다.
북한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사실 정보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고난과 웃음의 나라>>는 매우 의미있는 책이라고 할 것이다.
- 접기
alestelle 2020-05-30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우리가 모르던 북한 이야기
2장 ‘행복을 교시하는 나라’ 에 이런 문장이 있다.
“행복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며 소유보다는 경험, 경쟁보다는 관계가 중요하다.”
⠀
미디어에서 바라보는 북한은, 가난과 고난에 가득찬 모습 뿐이다. 하지만 부유함이 행복의 척도가 아닌 것처럼 북한 사람들이 추구하는 삶을 우리의 시선에서 ‘불행하다’라고 단정짓는 건 섣부른 생각이었다. 북한의 평등주의와 장군님을 중심으로 한 국가적 가족관계가, 그들에게는 물질적 궁핍을 이겨낼 행복의 원천이다.
⠀
___
⠀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
⠀
남한 사회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문장이다. 그치만,
입시결과를 토대로 교육을 통한 계층구조가 유지되는 건 공공연한 일이고, 따라서 교육열도 심화되었다.
⠀
정말 모든 직업이 평등해, ‘교수 아들은 교수로, 농부 아들은 농부로’ 가 가능한 북한 사회가 굉장히 신기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불평등이라고 칭해질 일이, 어느 국가에서는 평등하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
⠀
___
⠀
흔히 첫인상에서 나온 판단은 틀리지 않는다고들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는 여러 단면이 존재한다. 극히 일부로 무언가를 규정짓는 게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책을 읽은 후 북한에 대한 나의 생각 변화를 통해 깨달았다. 더불어 진정한 ‘행복’ ‘평등’ ‘자유’ 의 가치를 자본주의의 관점에서만 바라볼 수는 없다는 걸, 우리가 무조건 정답이 아니라는 걸 느꼈다.
- 접기
임경민 2020-03-22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페이퍼
전체 (3)
페이퍼 쓰기
좋아요순
비슷한 표지
비슷한 느낌
유부만두 2020-03-29 공감 (4)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고난과 웃음의 나라 - 정병호
#창비교양한당 의 두 번째 책은 정병호 교수의 #고난과웃음의나라 다.
사실 나는 북한 문화 자체는 흥미 있다고 하더라도 북한 정권과 사회 시스템은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책이 가장 읽기 힘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런데 이 책은 북한의 문화를 설명하면서 북한 사회가 '왜 이럴 수
밖에 없는지'를 설명한다.
북한 김일성시대의 발전 역사부터 그들의 우상화와 가족국가화, 김정일과 그의 뒤를 따르는 김정은까지.
북한 지도자를 분석하고 설명할 뿐만 아니라 그들을 뒷받치고 있는 사회주의 북한의 국민들까지도 함께 설명한다.
그래서 읽다보면 "아, 그래 북한 사람도 우리랑 똑같은 사람이구나" 하는 전형적인 생각을 또 한 번 하게 된다.
전주차에 읽었던 #고대에서도착한생각들 은 우리가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시대를 공부한 학자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덧붙였다면,
이 책은 직접 북한을 경험하고 북한 구호활동을 하며 북한 사람들을 만났던 학자가 이 경험에 대해서 분석적으로 작성한 일기 같은 느낌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나는 북한사회를 그리 좋아하지도 않고 통일을 낙관적으로 바라보지도 않는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서 북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나자신이 어색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흥미로웠다.
심지어는 북한에 가보고싶다는 생각도 했다!
물론 북한의 빈곤한 사정이라든가 하는 부분은 큰 비중을 차지 하지 않아서 그런 것도 있겠지만,
그래도 북한=핵무기 라는 현실주의 지향 정치학도에게는 충분히 생각의 전환을 가져다 준 책이었다.
- 접기
유주 2020-03-22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