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age North Korea

Sunday, August 28, 2022

Meditation-Consciousness-Spirituality | A SUMMARY OF THE SITE AND CORE PRACTICE | Facebook

(1) Meditation-Consciousness-Spirituality | A SUMMARY OF THE SITE AND CORE PRACTICE | Facebook

L Ron Gardner

Admin
  · rentpdosoScl8697tafhu81122amg0fa8t088n0yt74rg1h 6hlt5Ju 2a51  · 


A SUMMARY OF THE SITE AND CORE PRACTICE

[Note: I accidentally deleted this pinned post, which had about 180 comments, and reposted it on 01/21/2018.]

Welcome to Meditation-Consciousness-Spirituality. 

This Facebook group is primarily about – what else – meditation, consciousness, and spirituality. 
Although the emphasis of this site is on Divine Yoga (a.k.a. the mystical Christian Eucharist, Tibetan Buddhist Dzogchen, Kashmir Shaivism Shaktipat Yoga, Adi Da Samraj’s Divine Communion) and the Divine Yoga meditation method I teach -- Plugged-in Presence -- posts on other types of meditation and subjects pertaining to consciousness, awakening, and spiritual philosophy are welcome.
The Plugged-in Presence practice that I teach is elaborated in my texts 
“Electrical Christianity: A Revolutionary Guide to Jesus’ Teachings and Spiritual Enlightenment” and Beyond the Power of Now: A Guide to, and Beyond, Eckhart Tolle’s Teachings.”
 In short, the goal of Plugged-in Presence meditation is to plug into the Now (Divine Presence), draw down the Power of Now (Divine Power), and unite one’s consciousness (or soul) with this Power, or Clear-Light Energy. The Christian term “Holy Spirit,” the Hindu term “Shakti,” and the Buddhist term “Sambhogakaya” are synonyms for Divine Power and are used interchangeably in my teachings. The Plugged-in Presence Instructions that follow are from my book “Electrical Christianity,” and they provides basic instructions for those wishing to practice this method. Although the instructions are numbered, be advised that they overlap and intertwine and do not have to be practic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presented.
PLUGGED-IN PRESENCE INSTRUCTIONS

1) Sit upright, but relaxed, on a chair, bench, or meditation cushion.
2) Establish what the Buddha called ‘self-possession.’ In other words, feel yourself as the whole body, and then be consciously present as the whole body, the whole psycho-physical being. Randomly focusing your attention on your third-eye area and hands will enable you to coincide with your body, and thereby heal the body-mind split. When you consciously inhabit your whole body — and are wholly, or integrally, present to the whole (the totality of existence) — you are in proper position to receive and conduct the Holy Spirit, the Force-flow from above.
3) ‘Gaze’ into empty space. If you are ‘self-possessed,’ this ‘gaze’ will amount to being whole-bodily present to (or in direct relationship to) the void. As soon as you become aware that you have retracted from your ‘position’ of conscious connectedness to (or single-pointed focus on) the void, simply reassume, or attempt to reassume, your ‘stance’ of holistic at-one-ment. To this end, you can randomly use an enquiry (such as ‘Avoiding relationship?’) to instigate your resumption of communion with the void. When the void begins to ‘shine,’ it is experienced as Divine Presence. When the Power of the Presence pours down upon you, then ‘emptiness’ has morphed into Spirit, and your ‘gaze into space’ has transmuted into empowered Divine Communion.
4) Randomly focus your attention on your breath by being in direct relationship to your breathing cycle. When the breath ‘comes alive’ as prana-shakti, or palpable intensified life-energy, simply remain present to it. Your communion with the breath cycle will transmute into true, or infused, Divine Communion when the prana-shakti morphs into the Holy Spirit — the great Shakti poured down from above.
5) Totally relax your body (including your head) and utterly let go of your mind. Once you are able to connect to the Shakti, you will directly experience that letting go intensifies the force-flow (or pressure) of the Spirit-current. Be an empty cup, ready to be filled with Holy Water from above. When you experience the Benediction, the Divine downpour, remain motivelessly present to it. Your searchless beholding of the Shakti will enable you to spontaneously merge with it.
These technical meditation instructions are all about facilitating communion, and then union, with the Divine. It is up to you to test them out and determine how useful they are for your spiritual practice. Truly speaking, no spiritual practice, in and of itself, is holy or sacred. The only ‘Thing’ holy or sacred is the Holy One Himself (including His Holy Spirit). Therefore, whatever practices bring you into communion with the Holy One are the ones that you should employ.

===Electrical Christianity: A Revolutionary Guide to Jesus' Teachings and Spiritual Enlightenment Paperback – 23 July 2013by L. Ron Gardner  (Author)4.4 out of 5 stars    23 ratingsSee all formats and editionsKindle$11.99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12.64 7 New from $12.64
Electrical Christianity is a revolutionary guide to Jesus' teachings and spiritual en-Light-enment. It provides clear-cut, in-depth instructions on how to directly "plug into" the Divine Being, the Holy One, and literally "pull down" His Power. Grace is not an abstract principle; it is the palpable experience of God's Spirit-power--and anyone who religiously (or devotedly and intensely) practices the discipline of true Holy Communion presented in this book can experience the descent of Divine Power, the Holy Spirit. The true Eucharist, the practice of Holy Communion (which in its "awakened" form implies reception of the Holy Spirit), is the very heart of real Christianity, and the foremost method for attaining salvation (spiritual en-Light-enment). Electrical Christianity not only details the radical (or gone-to-the-root) practice of Holy Communion, but also analogizes it to an electrical circuit. The Eucharist is simply Ohm's Law applied to spirituality, and once you grasp the Eucharist-Ohm's Law connection, which is explicated in this book, you'll become like Jesus: a spiritual revolutionary. In addition to explicating the Eucharist-Ohm's Law connection, the book also sheds penetrating light on psychology, politics, and sociology. It presents a vision of integral psychology that differs markedly from Ken Wilber's, considers Jesus' politics in a modern context, and examines the history and future of Christianity in the New (or Aquarian) Age.
172 pagesPublication date23 July 2013
L. Ron GardnerI am a mystic-philosopher and spiritual teacher and have authored three books – “Beyond the Power of Now: A Guide to, and Beyond, Eckhart Tolle’s Teachings,” “Electrical Christianity: A Revolutionary Guide to Jesus’ Teachings,” and “Kill Jesus: The Shocking Return of the Chosen One.” The first two books are nonfiction, while the third is a novel.
When I’m not writing I regularly abide in a state of blissful at-one-ment with the Spirit. Over the past forty years, I have practiced Transcendental Meditation, Self-Realization Fellowship meditation, Buddhist Vipassana Meditation, Zen Meditation, Tibetan Buddhist meditation (Mahamudra and Dzogchen), J. Krishnamuti's "choiceless awareness," Ramana Maharshi's Self-enquiry, Adi Da's radical understanding, Kashmir Shaivist Shaktipat, and hermetic Holy Communion. I now teach my my own method of meditation: Plugged-in Presence.
Because I specialize in sociopolitical philosophy as well as spiritual mysticism, I enjoy mixing in sociopolitical insights with spiritual ones in my books.
I have a B.A. in sociology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and currently reside in Tijuana, Mexico. Beyond meditation, philosophy, and writing, my interests include working out, tennis, and travel.
Jerry3.0 out of 5 stars Painful, missed opportunity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7 February 2018Verified PurchasePainful, missed opportunity
The core idea in this book is interesting and does warrant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it's marred by the mountain of unqualified, subjective, absolutist statements made by the author (so and so is the "greatest mystic ever", "serious practitioners don't bother trying to raise Kundalini", such and such is "the best spiritual school", etc). I'd have loved to have known why many serious practitioners are wasting their time trying to raise Kundalini, but no explanation is given. It all comes over rather like one of those kids in school who just wanted to boast about following obscure bands before they were famous, and later abandoning them once they become popular. It's rather juvenile and becomes painfully repetitive. It appears the author suffers from a large degree of confirmation bias and has something of a saviour complex ("I'm not ready for martyrdom yet so I'm not going to say what I really think about this or they'll lock me up"). Jeez. This is especially surprising coming from someone who is such a scathing critic of other books on Amazon - I'd expected a higher degree of logical rigour. But, alas, none was to be found.
The core idea is interesting. The author is clearly widely read, is knowledgeable about several different spiritual traditions and has noticed commonalities. This makes it particularly puzzling therefore why he would choose to write a book so heavily steeped in Christian terminology, a tradtion with a poorly defined taxonomy of terms open to misinterpretation, or certainly multiple interpretations.
I believe this could have been a much more powerful book if he'd gone one step further and written a book on "Electrical Spirituality" that highlighted the shared core of several disparate practices without being wedded to any in particular. I can only imagine it's a marketing device, or his personal hobby (again, perhaps because Christian mysticism is far less common?).
Several idiosyncracies that struck me in the text are the several pages devoted to discussing psychology and astrology to work out the "state" of a person, which is concluded by something like "regardless of a subject's state, the psychologist will prescribe doing the practices I've presented". It all seems rather besides-the-point then, doesn't it, what someone's "chemistry" or "state" is?
The author interprets parables and metaphors in the Bible without considering or presenting alternative interpretations. He advocates "converting" other people into disciples, a rather obnoxious pastime of diehard Christians. Finally, there's the last fifth of the book which degenerates into an irrelevant rant about Marxism, the New World Order and other equally out-of-place stuff in a book of this genre. It's not *radical*, simply irrelevant.
So overall, the author appears to have become carried away writing a self-congratulatory book about how he's "cracked the cosmic code". This subject, stripped of the author's ego and all the irrelevancies has potential. There *is* a common core at the heart of many religions, but sadly this book falls far short of eludicating it.Read moreReport abuse Rich Lee4.0 out of 5 stars Don't shoot the piano player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4 November 2014Verified PurchaseI like the challenge to self-satisfied and shallow "spiritual" types here to really penetrate the mystery and not remain sitting in a comfortable place. My own experience/insight too resonates very strongly with the author's own focus on cutting the heart knot and I'm grateful to him for that emphasis.
I don't much like the author's personality though - IMO he comes across as grandiose and hectoring: qualities which often arise from kundalini activation, but maybe indicate he's not entirely cooked yet and (if I may be so bold as to suggest) a little compassionate re-entry might help get the powerful message across.5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abuse Jack Richards5.0 out of 5 stars A lifetime of experience and learning; condensed.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20 August 2018Verified PurchaseGardner doesn't beat around the bush and quite straightforwardly puts across what he believes all spirituality is really about. There is a great no-nonsense approach, in which Gardner never seems to write to show off his literary skills; only to get a point across. I found this book massively useful and the reading lists found inside are excellent too. Gardner's synthesis of religions and spiritual practices is something I've never come across before but it does make a lot of sense. This book has influenced my meditation practice a great deal but also cemented many aspects of true meditation that previously I only presumed to be true. Great book all in all, suitable for anyone.Report abuse simply spiritualist church5.0 out of 5 stars simply spiritualist church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2 March 2014Verified PurchaseCongratulations on providing humanity with this fine book. Many people will benefit from its content, and assist them in self realisation and of the greater Reality. Well doneReport abuse Dr. Andreas Ullrich5.0 out of 5 stars The Ultimate MeditationReviewed in Germany on 3 November 2013Verified PurchaseI bought this book as a supplement to “Beyond The Power of Now” (see my review there). It takes up the topics raised there and explains the exact method of meditation. Ron Gardner makes a very meaningful analogy between Ohm's law on electricity and the flow of spiritual energy into the human body/mind system. The Trinity in Christianity, Buddhism and Hinduism is discussed. I found the explanation of the heart centre particularly revealing, and this does not mean the heart chakra, but an area that is felt in the body at the level of the heart slightly to the right of the sternum. His explanations are completely in line with those of Ramana Maharshis. It also makes reference to the “lower” kundalini at the lower end of the spine and to the chakra system.
This book will be a classic in a few years, I'm sure!Report abuseTranslated from German by AmazonSee original ·Report translation


===
Posted by Sejin at 7:09 PM No comments: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北 김여정, 담대한구상 거부 "우리 국체인 핵을 경제협력과 바꾸겠는가?" - 노컷뉴스

北 김여정, 담대한구상 거부 "우리 국체인 핵을 경제협력과 바꾸겠는가?" - 노컷뉴스

北 김여정, 담대한구상 거부 "우리 국체인 핵을 경제협력과 바꾸겠는가?"CBS노컷뉴스 김학일 기자 메일보내기
2022-08-19

노동신문 김여정 담화 '허망한 꿈을 꾸지마라' 게재
윤 대통령 8.15경축사 "궤변과 체제 대결 고취에 몰념"
"담대한 구상, 대양을 말려 뽕밭을 만들겠다는 어리석음"
"북이 비핵화 조치를 취한다면이라는 가정부터가 잘못"
"우리는 절대로 상대해주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밝혀"
순항 미사일 발사지점 언급하며 위협 "南 매우 겁날 것"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연합뉴스​
북한은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이 8.15경축사에서 제시한 '담대한 구상'에 대해 "우리의 국체인 핵을 경제협력과 같은 물건 짝과 바꾸어보겠다는 발상"으로 "비핵 개방 3000의 복사판에 불과하다"며, "절대로 상대해주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고 거부 의사를 밝혔다.


북한의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9일 김여정 부부장 명의의 '허망한 꿈을 꾸지 말라'는 제목의 담화를 신문 5면에 게재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동생인 김 부부장은 담화에서 윤 대통령의 8.15 경축사에 대해 "온통 '공산 세력과 맞서 자유국가를 건국하는 과정', '공산침략에 맞서 자유세계를 지키기 위한' 것 따위의 궤변과 체제 대결을 고취하는데만 몰념했다"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제안한 담대한 구상에 대해 "그 허망성을 한마디로 대답해주겠다"며, "윤석열의 '담대한 구상'이라는 것은 검푸른 대양을 말리 워 뽕밭을 만들어보겠다는 것만큼이나 실현과 동떨어진 어리석음의 극치"라고 비난했다.

김여정은 이어 "'담대한 구상'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10여 년 전 이명박 역도가 내들었다가 세인의 주목은커녕 동족대결의 산물로 버림받은 '비핵 개방 3000'의 복사판에 불과하다"며, "역사의 오물통에 처박힌 대북정책을 옮겨 베껴 놓은 것도 가관이지만 거기에 제식대로 '담대하다'는 표현까지 붙여 놓은 것을 보면 진짜 바보스럽기 짝이 없다"고 강변했다.

연합뉴스​
김여정은 "우선 '북이 비핵화조치를 취한다면'이라는 가정부터가 잘못된 전제이라는 것을 알기나 하는지 모르겠다"며, "세상에는 흥정할 것이 따로 있는 법, 우리의 국체인 핵을 '경제협력'과 같은 물건 짝과 바꾸어보겠다는 발상이 윤석열의 푸르청청한 꿈이고 희망이고 구상이라고 생각하니 정말 천진스럽고 아직은 어리기는 어리구나 하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

김 부부장은 "어느 누가 자기 운명을 강낭떡 따위와 바꾸자고 하겠는가"라고 반문한 뒤, "아직 판돈을 더 대면 우리의 핵을 어째볼 수 있지 않겠는가 하는 부질없는 망상에 사로잡혀 있는 자들에게 보내줄 것은 쓰거운 경멸뿐"이라고 비핵화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김 부부장은 아울러 "우리 경내에 아직도 더러운 오물들을 계속 들여보내며 우리의 안전 환경을 엄중히 침해하는 악한들이 북 주민들에 대한 '식량공급'과 '의료지원'따위를 줴쳐대는 것이야말로 우리 인민의 격렬한 증오와 분격을 더욱 무섭게 폭발시킬 뿐"이라며, 담대한 구상의 경제협력 제안에 대한 거부 의사를 명확히 했다.

김 부부장은 "오늘은 담대한 구상을 운운하고 내일은 북침전쟁연습을 강행하는 파렴치한 이가 다름아닌 윤석열 그 위인이다"라면서, 현재 사전연습이 진행 중인 한미연합연습훈련에 대한 거부감도 드러냈다.

김 부부장은 특히 "남조선 당국의 '대북정책'을 평하기에 앞서 우리는 윤석열 그 인간자체가 싫다"면서, "'담대한 구상'으로도 안 된다고 앞으로 또 무슨 요란한 구상을 해가지고 문을 두드리겠는지는 모르겠으나 우리는 절대로 상대해주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째인 17일 시민들이 서울역 대합실에서 북한 미사일 발사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
김 부부장은 윤 대통령 취임 100일이 되는 지난 17일 실시된 순항 미사일 발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여정은 "참으로 안됐지만 하루 전 진행된 우리의 무기시험 발사지점은 남조선 당국이 서투르고 입빠르게 발표한 온천일대가 아니라 평안남도 안주시의 금성다리"라고 밝혔다.

김여정은 그러면서 "늘쌍 한미사이의 긴밀한 공조 하에 추적감시와 확고한 대비태세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외우던 사람들이 어째서 발사시간과 지점 하나 제대로 밝히지 못하는지, 무기체계의 제원은 왜서 공개하지 못하는지 참으로 궁금해진다"며, "제원과 비행자리 길이 알려지면 남쪽이 매우 당황스럽고 겁스럽겠는데 이제 저들 국민들 앞에 어떻게 변명해나갈지 정말 기대할만한 볼거리"라고 조롱섞인 위협을 하기도 했다.

김 부부장의 이번 담화는 지난달 27일 정전협정체결일을 맞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실명 비난을 가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대남기조를 그대로 이어간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 주민들이 모두 보는 노동신문에 담화를 게재했다는 점에서 담대한 구상에 대한 거부의사를 재고의 여지없이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
Posted by Sejin at 6:48 PM No comments: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Seeking Good Luck” in North Korea | The Asia-Pacific Journal: Japan Focus

“Seeking Good Luck” in North Korea | The Asia-Pacific Journal: Japan Focus

Heonik Kwon is a Senior Research Fellow of Social Anthropology at Trinity College, University of Cambridge, and an APJ contributing editor. Currently he is part of the Mega Asia research group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sia Center. Author of North Korea: Beyond Charismatic Politics (2012, together with Byung-Ho Chung) and After the Korean War: An Intimate History (2020). His forthcoming book is Spirit Power: Politics and Religion in Korea’s American Century (Fordham University Press, 2022, together with Jun Hwan Park). The research for this work received generous support fro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KS-2016-LAB-2250005).


“Seeking Good Luck” in North Korea
Heonik Kwon
May 1, 2022
Volume 20 | Issue 9 | Number 2
Article ID 5694


Abstract: Sinjŏm or spirit fortune-telling is now an intimate part of everyday life among many North Koreans. Extremely popular at the grassroots level, the rise of this traditional religious culture since the late 1990s, if properly understood, can provide an interesting looking glass into North Korea’s society and politics in transition. This report is one small step to that end.



Keywords: Spirit fortune-telling, North Korea, religion, marketization, informal economy



North Korea today is not the same place as the North Korea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 formal structure of its state system remains largely unchanged—notably, the centrality of the paramount leadership.1 This is irrespective of the fact that some shift has taken place since the current third-generation leadership took power in 2011, especially in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party and the army. Great changes are observed rather in relations between state and society. Most obvious is the general collapse of the social economic order, especially that of the state-distribution system of food and other basic subsistence good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baegŭp system. Today Korean society north of the 38th Parallel is no longer dependent on the state for its physical survival. The state has long stopped being the paternalistic caretaker of its citizens’ material survival and wellbeing, although in the rhetorical sphere, it has never been anything short of an all-encompassing political pater familias throughout its seventy years of existence. Prominent observers explain the situation in terms of a precarious marketization of socio-economic lives.2 The marketization in this context is a somewhat unique process, distinct from what is familiar to us in Asia’s other existing socialist nations. The process in North Korea began primarily as a bottom-up reaction to the economic-systemic meltdown in the second half of the 1990s, following the disintegr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alist politico-economic order early in that decade. It is distinct from the initially top-down, state-driven economic reform as in China or Vietnam. A number of observers have examined North Korea’s transition from the state- commanded political economy to the so-called era of non-baegŭp (bi-baegŭp sidae). Some deal with the painful reality of extreme economic hardship of the late 1990s, whereas many others concentrate on the subsequent market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and related contest of power between the state and the market. The then widely circulated popular adage, “The market-place is our new Party!”, speaks of the spirit of the time. Most of these observers also take note of some simultaneous social changes, such as in gender relations, as women have been by far the most active participants in North Korea’s new informal economy. Generational relations also appear to be an important parameter. It is argued that people who were born and raised in the era of non-baegŭp have different attitudes to the state’s authority and its relevance to their lives, from those held by earlier generations. Owing nothing to the state, as it were, they do not feel obliged to show loyalty to the political pater familias (i.e., an extension of the logic of political filial piety that has been central to North Korea’s state ideology since the 1970s).

One notable outcome of the precarious marketization of North Korean socioeconomic life, however, has not received the attention that it deserves. This is the return of a genre of traditional popular religion—in particular, the explosive growth of fortune-telling (sinjŏm) and related cultural practices in citizens’ everyday lives since the late 1990s and especially since the early 2000s. Nominally an outlawed practice and punished (sometimes severely) if discovered, fortune-telling is, nevertheless, a familiar aspect of everyday life decision-making and life-cycle rituals in today’s North Korea. Information on this phenomenon is limited as religion and religious culture continue to be a strictly guarded and sanctioned subject; hence, this report is nothing more than a preliminary inquiry into North Korea’s popular religiosity based on scattered and fragmentary evidence.





Rice-grain divination, popular in North Korea



Long-distance traders consult local fortune-tellers before deciding on the date and direction of their journeys, often employing other modest improvised ritualistic gestures such as throwing a handful of salt behind one’s back in the hope of avoiding bad luck. Some carry a pouch containing a handful of dried black beans for the same purpose. People who plan to visit relatives in northeast China seek help from fortune-tellers—to determine the most auspicious date and to conduct small rituals in the hope of augmenting the chance for a successful visit, which usually involves some form of business activity or short-term overseas employment.

One middle-aged woman went to see a fortune-teller in her town along North Korea’s border with China shortly after her husband passed away and while her family was facing severe economic hardship. She was told that should she move to a land in the south, new economic prosperity and personal security would be found. She eventually decided to try a new life in South Korea, after consulting again with the fortune-teller about her two children, who would actually benefit, she was told, from their mother’s being away in the southern land. A number of these local fortune-telling actors themselves took the difficult decision to move to South Korea, hoping to practice their trade openly and without fearing punishment. In deciding to do so, some were driven by the advice of their guardian or tutelary spirits. According to an informant now settled in a northern suburb of Seoul, her helper-spirits wished “to play in the open space”—that is, to exhibit their power and efficacy, rather than in secretive divination sessions, within the public space of a kut, shamanic ritual performance, which is not available north of the 38th Parallel. One challenge these actors face in their new home is how to acquire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techniques of the kut—a tradition that was discontinued in their northern home since the 1950s. Earlier I mentioned generational differences across the threshold of the radical economic crisis of the late 1990s, as well as the gendered aspect of subsequent socio-economic changes at the grassroots level.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a great many active fortune-tellers today are people who were born during the time of the Arduous March in the years 1994-98.

Testimonial evidence from these migrant actors suggests that engagement with fortune-telling is closely intertwined with questions of mobility at the grassroots level. Moreover, the practice is far from restricted to the lower or peripheral ranks of the social hierarchy. Party elites and their families also take part in such cultural-religious practices as a way of countering the uncertainties that are now deeply embedded in their status security prospects. It is known that in Pyongyang, where these elites and their families are concentrated, there are several fortune-tellers of considerable reputation who provide service exclusively to these privileged people.

These fortune-telling practices are also grounded in a broader milieu of shared moral sentiments. A good example would be an incident that took place in the early 2000s at a community close to North Korea’s border with China. A local man was on his way to visit his parents’ grave, carrying a bottle of rice wine and some cooked meat that he had prepared, with difficulty, as an offering to his deceased parents. He encountered two army sentinels on the way, who forced him to hand over to them his food and drink. The man was sorry to pay a tomb visit without any food offerings and cried when complying with their order. Shortly afterwards, the two soldiers began experiencing swollen lips and distorted facial muscles. The story ends with the two soldiers recovering their health after making a gesture of apology at the man’s parents’ graves. This act of reparation was overseen by a local fortune-teller after being approached by the family of one of the soldiers.

Evidence suggests that similar episodes involving spirits’ power existed in parts of North Korea throughout the post-Korean War era, at least since the 1970s when the earlier campaign against anti-revolutionary or feudal cultural elements became relatively moderated or was considered to have been completed. Carefully sheltered within circles of trusted relatives and friends, these episodes typically involve an intervention by a local actor who practices some improvised forms of spirit possession and communication. The current revival in fortune-telling should probably be seen in light of such pre-existing informal spirit practices. Although much remains to be known about the revival of these traditional practices before making an analytical judgement as to their place in today’s North Korea, it is safe to suggest that the return of this traditional cultural form relates closely to the retreat of the state as the guarantor of social security and the related empowerment of non-state institutions such as the family in the protection and production of human security. We can even argue that the magical practice of fortune-telling fills the vacuum left by the demise of the previously encompassing, rhetorically magic-performing state.3 That is, thi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breakdown of the state as a guarantor of basic subsistence and as part of society’s desperate search for an alternative way to imagine and generate human security. Fortune-telling practices may appear to be fairly individuated acts. Those who seek such assistance must bring to the consultation an individual’s authentic information (e.g., year and date of birth in the lunar calendar) as well as her or his specific wishes. In actuality, however, such practices are rarely individual matters but rather involve the integrity of an intimate relational milieu such as the family. People consult about their specific futures not necessarily exclusively for their own sake but often in view of their shared collective futures. Considering this, we can conclude that the rise of fortune-telling in North Korea entails a significant shift in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family and the state in terms of their agency in future-making.





Spirit portrait of General Im Kyung-ŏp,
a prominent helper-spirit in the Hwanghae shamanism tradition



It is said that nowadays “you can find a fortune telling house every two kilometers” in North Korea.4 According to another report: “One can find a fortune-teller’s house every ten li (roughly 4 kilometers). Once someone is rumoured to be efficacious, people start paying secret visits. Fortune-tellers in the North cannot put up a signboard, unlike those in the South. Not only they but also their clients could face imprisonment if caught by state security agents or their informants. But people still keep coming, defying the danger.”5 Seventy years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onset of a militant revolutionary struggle against religion and “superstition” in North Korea, it appears that religion is finding its way back. Some Christian group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might like to see this return of religion as indicative of the power of the Kingdom of God and this alone—the evangelization of North Korea having been a vital agenda in the advent of Korean Protestantism after the Korean War and continues to be so to the present day. Concerns about conditions in North Korea where “the denial of religious freedom is absolute [and] the state enforces the absolute denial of religion through the active mobilization of the organs of the government” also continue to be voiced.6

The “denial of religious freedom” is tru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in the grassroots reality of today’s North Korea, there are developments that are oblivious to this long-held political truism. Religion is back in the 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and what is returning is, for now, not yet the message of the Gospel but a host of so-called gibok sinang (meaning literally, “seeking good luck” religions)—the very old tradition of Korea’s spiritual life that had long been relegated to superstition or even idolatry. One can add that in this religious cultural sphere, a certain commonality is found between today’s North Korean society and its southern counterpart where fortune-telling remains a familiar part of life-cycle rituals. In both societies, moreover, albeit in distinct ways, the ideology of a disenchanted and secularized modern society coexists with the proliferation of magical or even superstitious customs (that is, it is a product of disenchantment). In this context, modernity involves a non-alignment between the ideology of secularization and a forceful continuity and reinvention of magical practices—a condition that is found elsewhere in East Asia.7



Hwanghae kut, by Kim Kŭm-hwa



The return of the art of “seeking good luck” is a notable phenomenon in North Korea. It occupies a marginal place in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politics and society, however, compared to the much-discussed retreat of the state from the economic sphere and related commodification and monetization of socioeconomic life. Evidence for this phenomenon remains limited and scattered.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returning “seeking good luck” practices merit attention, as they may suggest that irrevocable and powerful changes are indeed taking place in North Korea at the grassroots level. This change is both practical and moral in implication, and, if properly understood, can suggest changes in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state and society.




Notes
1

See Heonik Kwon and Byung-Ho Chung, “North Korea's Partisan Family State,” The Asia-Pacific Journal, Vol 10, Issue 28, No. 1, July 9, 2012.
2

Byung-Yeon Kim, Unveiling North Korean Economy: Collapse and Trans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Hazel Smith, North Korea: Markets and Military Rul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3

On the idea of the modern state as a magic-performer, see Susan Buck-Morss, Dreamworld and Catastrophe: The Passing of Mass Utopia in East and West (Cambridge, MA: MIT Press, 2000).
4

See Thank You Father Kim Il Sung: Eyewitness Accounts of Severe Violations of Freedom of Thought, Conscience, and Religion in North Korea, report by the United State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2005), pp. 4, 39.
5

Eun-young Lee, “Ttalbuk yŏksul’ini dŭlyŏjunŭn bukhanŭi jŏmbogi siltae (The reality of fortune-telling in North Korea told by a defector fortune-teller),” Sindonga, 8 March 2007.
6

Cited from Organized Persecution: Documenting Violations of Religious Freedom in North Korea, special report by the United State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2021), p. 5.
7

Philip Taylor (ed.), Modernity and Re-enchantment (Singapore: ISEAS-Yusof Ishak Institute, 2007). One reviewer of this article raises objection to the way in which the phenomenon discussed here is described as a return of a traditional culture, asking whether it can be seen rather as a creation of a new folk religion, or even as a manifestation of postmodern cultu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 act of invention, including an invention of tradition, has both traditional-historical and visionary-aspirational aspects to it. In analytical terms, however, these two do not belong to the same register and I believe that it would make more sense to start with the restorative aspects, which then can invite critical approaches that highlight the relatively novel aspects. Besides, many of those whom I interviewed and who had practiced sinjŏm in Pyongyang and elsewhere in North Korea explained their vocation in the terms of a return of a long-lost or suppressed tradition within their family and kinship milieus.

Posted by Sejin at 5:27 PM No comments: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 평가와 정책 건의 < 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통일뉴스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 평가와 정책 건의 < 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통일뉴스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 평가와 정책 건의
[칼럼] 곽태환 전 통일연구원 원장
기자명 곽태환
입력 2022.08.27 01:28
댓글 1

곽태환 (전 통일연구원 원장/미 이스턴 켄터키 대 명예교수)



현 한반도 주변정세는 2018년 봄 평창 동계올림픽 이전보다 더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문재인 시대는 지나고 윤석열 시대가 와 한반도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북한은 금년 2022년에 18번째 단·중·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무력시위’로, 남북관계의 앞날은 한치도 알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더욱이 북한이 2018년 4월 21일부터 금년 3월까지 4년간 장거리 탄도미사일 금지(red line)선을 준수해 오다가, 바이든 미 행정부의 대북 무시정책(benign neglect)으로 미국의 새로운 ‘셈법’의 제안이 없자 북한이 금지선을 파기하였다. 현재 7차 핵실험 준비를 완료하고 적절한 시기만 보고 있다. 만약 북한이 제7차 핵실험을 한다면 한반도의 미래는 어디로 갈지 불안하기 만하다.

한편, 윤석열 정부 출범(5.10) 이후 11일 만에 서울에서 한미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 한미 두 정상이 한미동맹을 글로벌 포괄전략동맹으로 격상하였고 현재 ‘을지 자유의 방패’(UFS)로 명명하고 대규모 한미연합훈련이 진행 중이라 한반도는 과연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몹시 염려스럽다.

윤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북핵문제를 먼저 풀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따라서 윤석열 대통령은 제77회 광복절 경축사(8.15)에서 북핵문제와 관련한 ‘담대한 구상’을 제안하였다. 필자는 본 칼럼에서 윤 정부의 대북 제안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보고 향후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몇 가지 정책제안을 건의드리고자 한다.

윤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북한이 핵개발을 중단하고 실질적인 비핵화로 전환한다면 그 단계에 맞춰 북한 경제, 민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담대한 구상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 취임사(5.10)에서 북한의 비핵화 로드맵을 제시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한 기본 틀을 제시한 것이다.

대북 경제지원 6개 핵심사업 제안내용은?

윤 대통령은 북한이 비핵화 협상테이블에 나오면 6개 분야에서 대북지원 사업을 실행하겠다고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1)대규모 식량 공급 (2)발전과 송배전 인프라 지원 (3)항만과 공항의 현대화 (4)농업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술 지원 (5)병원과 의료 인프라의 현대화 (6)국제투자 및 금융 지원 프로그램 등이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북한을 협상테이블로 유인하는 것이 핵심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해서는 일체 언급하지 않았다. 따라서 윤 정부의 '담대한 구상'이 실현되려면 먼저 북한을 협상테이블에 나오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보다 시급한 과제가 아닌가?

윤 정부의 대북 ‘담대한 구상’을 기획한 핵심인물인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브리핑에서 “북한이 진정성을 갖고 비핵화 협상에 나올 경우 초기 협상 과정부터 경제 지원 조치를 적극 강구한다는 점에서 과감한 제안”이라고 자평했다. 북한의 희토류, 광물 등 지하자원과 연계한 ‘한반도 자원, 식량 교환 프로그램’에 대한 구상도 밝혔다. 또 북한이 '담대한 구상'에 호응할 경우 그 과정에서 유엔의 대북제재를 부분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리고 북한의 안보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군사 및 정치부문 구상도 준비돼 있다”고 밝혔다. 공감하는 바 크다. 그러나 문제는 북한을 어떻게 협상테이블로 유인하냐가 관건이다. 이에 대한 제안이 없어 향후 윤 정부는 이에 대해 많은 정책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북한은 윤 정부의 '담대한 구상' 제안에 대해 8월 19일 김여정 당 부부장의 담화를 통해 공식적으로 거부 의사를 밝혔다.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보도를 통해 공개된 담화에서 김 부부장은 입에 담기도 힘든 극단적인 표현을 사용하며 윤 대통령을 비하하는 태도를 보였다.

‘담대한 구상’의 특징, 문제점 그리고 국제정치적 함의는?

윤 정부의 대북 '담대한 구상' 제안에는 긍정적 측면도 있다. 말 그대로 획기적이고 건설적인 면도 보인다. 또한 앞으로 수정하고 보완해야 할 국면도 있다. 그러면 담대한 구상의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국제정치적 함의를 간단히 요약해 보자.

첫째, 윤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서 전향적인 면을 엿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후보시절에 주장했던 ‘선 비핵화’ 주장을 일단 접고,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보이고 비핵화와 관련해 어느 정도 비핵화 조치에 진전을 보이면 북핵 협상의 진전에 따라 여러 가지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임을 적시하고 있다. 북한이 핵 포기 의지를 갖고 협상테이블에 나오면 협상과정에서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은 물론 적극적인 대북 경제지원과 일부 대북제재의 해제도 고려하겠다고 언급하고 있다. 보수정권 윤 정부의 이러한 제안은 정말 획기적이고 '담대한' 제안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조건부 제안이라는 점이다. 북한이 비핵화 조치에 진정성을 보이고 “실질적인 비핵화로 전환한다면”이라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 윤 정부 내에 “실질적인 비핵화”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그 동안 북미 간 핵 협상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 윤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가 주체가 되어 북핵 협상을 시도해 보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보수정권인 윤 정부가 김정은 정권을 협상파트너로 인정하고 북한과 핵 협상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다. 이런 자세는 보수정권인 윤 정부가 말 그대로 '담대한' 장기적 계획을 세워 소탐대실(小貪大失)하지 않고 한미 간 상호협력 하에서 한국정부가 주체가 되어 북한으로 하여금 핵을 포기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여기에도 한미 간에 이 문제를 놓고 해법모색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인지는 향후 한미 간 조율과 협의가 남아있다,

셋째, 윤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 대신에 '북한의 비핵화'나 북한의 '핵 포기'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다소 의아스럽긴 하지만 이것이 가지는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북미 간 합의한 표현은 “조선(한)반도의 비핵화”(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인데 ‘북한의 비핵화’ 주장을 북한이 수용하지 않을 개연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 정부는 공식적으로 북한의 비핵화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북한을 자극함으로써 핵 협상을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 대신 한반도 비핵화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한 가지 더 첨언해서 미국은 북한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합의한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넷째, 윤 정부가 대규모 한미 연합군사훈련(8.22-9.1)을 일주일 앞두고 대북 ‘담대한 구상’을 제안한 것은 타이밍(timing)에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8월 22일부터 대규모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계획되어 있었기 때문에 북한은 이 훈련에 더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즉, 한미 양측이 대북 적대시 정책을 강화한다고 인식함에 따라 윤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 대해 ‘강 대 강’ 맞대응을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남북/북미문제를 총괄하는 김여정 당 중앙위 부부장이 '거부' 담화에서 보인 반응에서 짐작할 수 있다. 현재 진행 중인 대규모 한미연합훈련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8월 14일자 통일뉴스에 게재된 필자의 칼럼 '을지 자유의 방패: 한미 연합훈련이 남북/북미대화 재개의 독이 될 수도'를 참조하길 바란다.

한 가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담대한 구상'에서 밝힌 내용만으로는 북한이 거부할 것임을 충분히 인식했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구체적 유인 방법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북한은 이미 누차에 걸쳐 ‘안보 대 경제’ 맞교환은 하지 않을 것임을 밝혔기 때문이다. '피포위 강박증(siege mentality)'에 사로잡혀 있는 북한지도부가 여기서부터 벗어나도록 하기 위한 해법이 ‘담대한 구상’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 동안 북한은 일관성 있게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본질적인 문제’ 해결을 요구해 왔다. 북한이 주장하는 본질적인 문제는 체제 보장과 적대시 정책 철회이다.

윤 정부의 대북 '담대한 구상'은 이명박 정부의 '비핵 개방 3000' 제안과 차이가 있다. 윤 정부의 '담대한 구상'은 MB의 대북정책의 전향적인 수정본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향후 윤 정부가 북한을 대화테이블로 유인하기 위해 '담대한 구상'을 수정 보완하여 남북 간 신뢰구축을 기본목적으로 두고, 먼저 남북 간 대화분위기 조성을 위해 말 그대로 대화의 조건을 제시하면 남북 간 대화가 이뤄질 개연성이 높아질 것이다.

윤 정부 내 북한의 '실질 비핵화'에 대한 합의 필요

윤 대통령은 대북제안에서 "북한이 핵개발을 중단하고 실질적인 비핵화로 전환한다면 그 단계에 맞춰 북한 경제, 민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담대한 구상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런데 '실질적인 비핵화'의 의미를 놓고 관계 부처 간 조율하고 합의가 필요하다. 특히 통일부와 외교부 간 “실질적인 비핵화”의 의미를 놓고 이견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권영세 통일부장관은 [동아일보]와의 인터뷰(8.17)에서 북한의 비핵화를 3단계로 나누어 설명했다. 권 장관은, 북한의 비핵화 1단계는 “북한이 비핵화를 선언하고 여러 협력에 대한 시동을 거는” ‘초기 준비’ 단계, 2단계는 “핵 활동 동결·신고·검증, 일부 핵시설이나 프로그램 폐기”하는 ‘실질적 비핵화’ 단계, 그리고 3단계는 “핵물질 완전 폐기, 핵무기 외부 반출해서 해제”하는완전한 비핵화단계로 구분했다.

한편, 박진 외교장관은 “담대한 구상의 큰 틀은 실질적 비핵화 후 완전한 비핵화로 가는 과정에서 정치·경제·군사 분야에 필요한 조치를 단계적으로 해 나간다는 것”이라며 “일정 기간 중대 도발을 자제하면 기존 대북제재 ‘면제(exemption)’를 위해 미국 등 관련국들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또 “북한이 7차 핵실험 등 중대 도발을 감행한다면 우선 대량살상무기(WMD)생산·개발에 관여한 개인·기업 등을 우리만의 추가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정부는 바이든 행정부와 ‘실질적인 비핵화’를 위한 준비작업의 일환으로 대북제재 해제와 관련해 심층적인 논의를 하여야 한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8.17)에서 대북제재 유지 질문에 “우리는 북한이 근본적인 행동과 접근법에 변화를 줄 때까지, 그리고 그렇게 하지 않는 한 그러한 제재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15일 한국의 담대한 구상과 관련해 “미국도 비핵화 이전 대북제재 완화가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안타깝게도 그 질문은 현시점에 전적으로 가설”이라 답했다. 따라서 향후 한미 간 조율도 필요하지만 윤 정부 내 부처 간 조율이 더 시급하다. 더욱이 윤 정부가 준비한 것으로 알려진 비핵-평화체제 로드맵이 부처 간 검토를 걸쳐 합의한 것인지도 알 수 없다.

북한은 왜 '담대한 구상' 제안을 거부했는가?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북 '담대한 구상' 제안에 대해 김여정 당 중앙위 부부장의 입을 통해 '거부' 입장을 밝혔다. 왜 거부했을까? 요약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대규모 한미연합훈련이 실시 중인 현 시점에서 남과 북이 함께 대화할 분위기가 아니기 때문에 윤 정부의 대북제안에 대해 전면 거부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북한이 요구하는 대화의 전제조건을 윤 정부가 완전히 무시하고 한반도의 비핵화가 아닌 북한의 비핵화란 용어를 사용한 것에 대한 불만과, 북한지도부가 인식하고 있는 북한의 핵 포기와 경제협력과 맞교환 제안도 비대칭적이며 더욱이 북한이 요구하는 체제보장이 부재하여 북한은 전면거부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체제보장이 안된 상황에서 핵 포기를 원하지 않는 입장이다. 따라서 김여정의 담화에서 주요한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이해하고 윤 정부는 그의 메시지를 재검토하여 북한의 입장을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둘째,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에서 “세상에는 흥정할 것이 따로 있는 법, 우리의 국체인 핵을 '경제협력'과 같은 물건 짝과 바꾸어보겠다는 발상이 윤석열의 푸르청청한 꿈이고 희망이고 구상이라고 생각하니 정말 천진스럽고 아직은 어리기는 어리구나 하는 것을 느꼈다”라고 언급한 부분에 대한 일부 논객들은 북한이 절대로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해석한다. 과연 그런 해석이 합리적이고 현실적인지를 재검토 해봐야 한다.

필자는 아직도 김정은 위원장이 제안한 조건부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 재고려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북한이 대화에 나올 수 있도록 대화분위기 조성이 필요함을 한미 양국은 이해해야 할 것이다. 김정은 위원장의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두 개 전제 조건인 (1)대북 적대시 정책철회와 (2)북한체제 보장에 대해 한미 양국이 심각하게 고려할 것을 건의 드린다. 김정은 위원장과 그의 군부세력들은 이 두 개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현시점에서 핵 포기를 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필자의 칼럼, ‘현시점에서 북한이 핵 포기를 할 수 없는 이유는?’(브레이크 뉴스(8.23게재))을 참조하기 바란다.

마지막으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이뤄 지속 가능한 한반도 평화의 제도화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한미 양국이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입장에 서서 한번쯤 피포위 강박증(siege mentality)에 사로잡혀 있는 북한지도부의 입장에서 한반도 문제 해법이 무엇인지를 고려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남북미 3국이 한반도 문제 해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소탐대실(小貪大失)하는 우(愚)를 범하지 말길 바란다.

 

Posted by Sejin at 4:04 PM No comments: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을지 자유의 방패’, 한미 연합훈련이 남북/북미대화 재개의 독(毒)이 될 수도 < 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통일뉴스

‘을지 자유의 방패’, 한미 연합훈련이 남북/북미대화 재개의 독(毒)이 될 수도 < 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통일뉴스


‘을지 자유의 방패’, 한미 연합훈련이 남북/북미대화 재개의 독(毒)이 될 수도
[칼럼] 곽태환 전 통일연구원 원장
기자명 곽태환
입력 2022.08.14 
댓글 2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지 100일이 다가오고 있다. 그 동안 윤 정부는 문재인 전 정부의 대북/대외정책을 뒤집고 신 대북/대외정책의 모습을 서서히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이 외교경험이 부족해서 그런지 국제무대에서 외교적 결례를 반복하는 것을 보니 안타깝고 불안하다.

현 시점에서 윤 정부의 포괄적인 대북정책이 안 보이고 있어 답답하고 안타깝다. 포괄적인 새 대북정책 로드맵을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준비 중에 있다고 하니 기대해 본다. 현재까지 알려진 윤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를 요약하면 한마디로 “힘에 의한 군사안보”를 강화하여 평화를 이뤄 보겠다는 것이다. 과연 이 기조가 성공할지는 알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대북 강경정책만으로 북한을 설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윤 정부가 일방적으로 미국에 의존하고 편향된 대외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현실에 우려를 표시한다. 왜냐하면 미국이 추구하는 국가이익과 대한민국이 추구하는 국익이 공통점도 있지만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주권국가이고 미중일러 4강의 교차지점에 자리 잡고 있어 지정-지경학적 차원에서 대한민국의 특이한 국가이익이 존재한다. 하여 미국이 추구하는 국익과 충돌이 생기는 현실을 이해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윤 정부의 미국 일변도 외교는 대한민국의 핵심이익 신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소지가 있어 불안하기도 하다. 그러므로 윤 정부는 “균형 잡힌 실용주의 외교”를 추진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2022년 후반기에 실시하는 강화된 한미 연합군사훈련(8.22-9.1)이 미국의 최첨단 무기와 병력을 동원하는 4년 만에 최대 규모의 훈련을 계획하고 있다고 전한다. 이번 훈련도 2부로 나누어 제1부는 방어 훈련과 제2부는 반격 훈련이다. 북한이 가장 신랄하게 비판하고 반발했던 부분은 제2부이다. 북한의 시각으로 대북 공격훈련이고 북한지도부의 참수 작전 훈련이기 때문에 강력하게 비난과 반발을 한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한미 군사훈련도 “방어적 훈련”이라고 주장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북한의 맹렬한 비난과 군사적 ‘도발’이 예상되고 있다. 왜냐하면 제2부 반격 훈련은 방어 훈련이 아닌 대북공격 훈련으로 알려지고 있어 이러한 한미 연합훈련은 중단해야 마땅하다.

일부 논객들이 이번 한미 연합훈련 중에 북한이 어떤 형태로든 군사적 “도발”을 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북한은 매년 여름에 실시하는 하계 군사훈련은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후반기 최대 규모의 한미 연합군사훈련에 대한 분노와 반발로 인해 우발적으로 북한과의 군사적 충돌의 개연성이 높아 보여 심히 우려된다. 이런 소규모 남북 간 무력충돌이 대규모 전쟁으로 진전될까 염려스럽다.

2022년 후반기 한미 연합훈련의 특징과 북한의 반응은?

금년 후반기 한미 연합훈련연습은 8월22일부터 시작하여 9월1일에 끝낼 예정이다. 이번 강화된 한미 연합훈련은 시뮬레이션 지휘소 연습에 다양한 실기동 훈련이 연계되는 방식으로 실전처럼 진행될 예정이라고 전해졌다. 이번 한미 연합훈련의 특징과 핵심내용을 간단히 정리한다.

이번 후반기 명칭은 2017년 후 중단된 ‘을지프리덤가디언’(UFG-Ulchi Freedom Guardian) 을 ‘을지 자유의 방패’(UFS-Ulchi Freedom Shield)로 연습명칭을 변경하였다. UFS 연습은 한미 군사연합과 정부가 추진하는 을지연습과 병행추진 된다고 알려졌다. ‘을지 자유의 방패’는 한미동맹의 핵심가치인 ‘자유’ 수호란 의지를 표명하고 방패(Shield)는 한미동맹의 강력한 대북 억지력 상징과 방어적 훈련성격을 명시하고 있다.

내주에 실시하는 후반기 한미 연합군사연습은 최첨단 무기자산을 총동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중단된 연대급 이상 한미연합 야외기동훈련을 4년 만에 재개하게 되며 한미연합 항모강습단 훈련과 한미연합 상륙훈련 등을 포함한다고 한다. 2022년 후반기 연합과학화 전투훈련 등 11개 제대별, 기능별 야외기동훈련집중을 시행예정이라고 한다. 2023년 전반기 한미연합 대잠전훈련 등 21개 전.후반기 연합연습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정부가 추진하는 2022년 을지연습도 8월22일부터 25일까지 3박4일간 전국적으로 실시된다고 한다. 한미 연합연습과 정부연습을 연계 실시하며, 실제 전쟁 상황에서 복합적 상황 조치를 위해 중앙·지방행정기관 간 통합 상황 연습을 실시한다고 한다. 이번 을지연습과 한미 연합훈련연습(UFS)은 마치 전쟁상태를 방불케 하여 국민과 북한이 놀라지 않기 위해 사전 통보와 설득이 필요하다.

이쯤 되면 북한지도부가 안보위기를 느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대해 북한 외무성은 "조선반도와 그 주변에서 미국의 핵전략 자산이 투입된 대규모 합동군사연습이 강행되는 경우 응분의 대응 조치를 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이번 ‘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은 북한지도부의 피포위 강박증(siege mentality)을 고조시키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강력하고 확대된 한미 연합군사훈련은 북한지도부를 쥐새끼 몰듯이 코너에 몰기에 충분하다. 하여 북한이 어떤 군사적 행동을 감행할지 현 시점에서 알 수 없지만 결국 이러한 한미 연합훈련은 남북미 3국간 대화재개에 독(毒)이 될 뿐 결코 한미가 원하는 대화의 장으로 북한을 유인하는 데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북한지도부가 발표한 내용을 한번쯤 반추해 볼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7월27일 제69주년 전승절 기념연설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처음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원색적인 비난을 하였다. 그는 “더 이상 윤석열과 그 군사 깡패들이 부리는 추태와 객기를 가만히 앉아서 봐줄 수만은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서 윤석열 정부가 언급해왔던 대북 선제타격에 대해서도 응답하였다. 김 위원장은 “우리 군사력의 일부분을 무력화시키거나 마슬 수(부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천만에! 그러한 위험한 시도는 즉시 강력한 힘에 의해 응징될 것이며 윤석열 정권과 그의 군대는 전멸될 것입니다”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김정은 위원장의 이러한 원색적인 비난을 평가하면 그의 피포위 강박증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고 보여 남북대화는 물 건너 간 것으로 보인다.

이번 후반기 한미 연합훈련 중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행보가 주요한 관심사로 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한미 군사훈련 중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숨어서 밖에 나오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러나 이번 후반기 2022 한미 연합훈련 중에 벙커에 숨어서 지낼 것인가? 아니면 작년처럼 평양 시내를 활보할 것인지에 따라 그의 심리상태를 검증할 수가 있을 것이다.

만약 김정은 위원장이 작년 8월 한미 군사훈련 중 민생을 살피기 위해 나선 것처럼 올해에도 평양 시내에 나타나면 심리적으로 그만큼 자신감이 있음을 세상에 보여줄 것이다. 김 위원장이 피포위 강박증(siege mentality)으로부터 해방되었다는 것은 좋은 소식일 것이다. 훈련 기간 중 두려움 없이 평양 거리를 다닌다는 사실은 그만큼 자신감을 보여준 것이다.

한편, 김정은 위원장이 모습을 감추고 있다면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준비하고 있을 징후일 것이다. 만약 북한이 고강도 군사적 “도발”로 대응한다면 미국과 한국정부를 자극하는 것이 되어 북한의 국익이 아님을 김 위원장은 너무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저강도 군사행동의 개연성이 높아 보인다.

북한은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 이후 반복한 ‘조건 없는 대화’ 제안에 대해 북한의 시각에서 관찰하면 북한지도부는 과연 미국이 북미 간 핵협상에 관심이 있는가? 에 대한 재평가를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무시정책(benign neglect)과 한미 양국의 대북강경책 때문에 그리고 남북미 3국의 강 대 강 맞대응 전략으로 인해 한반도는 일촉즉발의 위기국면을 보이고 있어 심히 염려스럽고 불안하다.

바이든 행정부의 현실에 대한 인식

현 시점에서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슈로 인해 한반도 문제가 우선순위에서 멀어져 한반도 문제 해법 모색에 관심이 전연 보이지 않아 더욱더 안타깝다. 대신에 북한의 시각에서 보면 한미 양국이 대북 적대적 정책을 보다 강화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어 북한이 제7차 핵실험이나 전략적 무력시위를 결정할까 대단히 불안하다.

이번 한미 연합훈련의 핵심내용을 보면 제1부는 방어 훈련이 맞다. 그러나 제2부 "반격" 훈련은 작계 5015 공격이다. 참수 작전을 포함한 대규모 군대를 동원하여 실시하는 한미 야외기동 훈련과 최근 전략적 자산 동원 등 이것도 "순수한 방어훈련"인가? 미국의 대북정책은 트럼프 전 행정부보다 더 강력한 대북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과연 미국이 한반도 비핵화를 하려는 의지와 의도가 있는지도 의심케 한다.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관계의 돌파구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상호 양보와 타협이 없이는 풀 수 없다. 그러나 양측이 상호 양보하려는 노력이 안 보인다. 왜냐하면 어느 누구도 국내정치적 이유로 유화 정책을 제시하길 거부하고 국내적으로 나약해 보이기를 싫어하기 때문이다. 하여 미국은 바이든 식 오바마 전 대통령의 "전략적 인내" 정책으로 뒤돌아가고 있어 안타깝다.

바이든 행정부는 반복하여 북한에게 "조건 없는 대화"를 하자고 해서, 북한이 나올 것으로 이해하면 큰 오산이다. 미국이 조건 없이 대화에 나오라 하면 북한이 나오지 않을 것을 미국은 뻔히 알면서 반복하고 있어 미국이 과연 북한과 비핵화 협상을 원하는지에 대해 진실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미국이 조금만 양보하면 북한이 대화에 나오게 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건 없이 대화에 나오라고만 반복하는 것은 미국이 북한과의 한반도 비핵화 협상과 한반도 평화실현이 미중 전략경쟁시대에 국익이 아니라는 점을 의심케 한다. 필자의 견해는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에게 새로운 셈법을 제시해야 북미 간 대화재개가 이뤄질 것이라는 점이다. 미국이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북한의 요구를 들어주고 미국이 원하는 것을 상호 맞교환하면 되는데 국내정치적 요인으로 미국이 양보를 꺼리고 있으니 결과적으로 바이든 식 "전략적 인내 정책"이란 평가를 받게 된 것이다.

요약하면, 북한이 요구하는 "본질적인 문제해결" 없이 북한의 체면도 있는데, 따라서 "인도적 남북 간 협력"이 이뤄질지 불투명하다. 한반도 위기국면을 타결하고 점점 더 꼬이고 있는 남북/북미관계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남북미 3국 지도자에게 정책대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남북과 미국이 상호 양보와 타협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것이 전제조건이 되어야 한다. 한반도 문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단계적 동시행동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북한의 요구사항 중 바이든 행정부가 일부분이라도 수용한다면 대화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한미가 제안한 인도적 대북지원을 북한이 심각하게 고려하여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바이든 행정부는 ‘조건 없는 대화’만 반복하지 말고 북한이 요구하는 대북제재 완화 일부분을 수용해야 한다. 북미 간 대화 재개를 위해 최소한 북한이 요구하는 대북제재 완화, 즉 광물질 수출 허용, 생필수품 수입 허용, 그리고 정유수입 허용 등을 미국이 수용하면 이에 대해 북한은 핵실험과 ICBM 미사일 테스트를 중단하고 영변 핵시설 일부분을 해체 하겠다고 서약하고 그러면 북미 간 실무협상의 개연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이렇게 ‘단계적, 동시 행동 접근’을 통해 북미 간 한반도 비핵화 협상이 재개될 것이다.

그러므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상관관계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여 남북미 3국이 대화분위기 조성을 위해 먼저 상호불신과 군사적 위협을 감소하기 위한 노력을 공동으로 해야 할 것이다. 강화된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실시가 대화분위기 조성에 약(藥)이 될 것인지 독(毒)이 될 것인지를 냉철한 가슴으로 재검토할 것이 필요하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강화된 한미 연합훈련은 오직 북한지도부의 피포위 강박증(siege mentality)을 강화시켜 강 대 강 맞대응 전략만 고집하기 때문에 재고려가 필요하다. 한반도 비핵화-평화프로세스가 재가동 될 수 있도록 한미와 북한 간 우호적인 관계로 전환하기 위해 3자간 강 대 강 맞대응전략을 접고 대화분위기 조성을 위해 함께 노력해 주길 기원한다.

Posted by Sejin at 4:02 PM No comments: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Newer Posts Older Posts Home
Subscribe to: Comments (Atom)

[Directory

Engage North Korea Directory (Work in Progress)

 --

Special Pages

  • Home

About Me

My photo
Sejin
View my complete profile

Blog Archive

  • ►  2025 (142)
    • ►  November (14)
    • ►  October (2)
    • ►  September (5)
    • ►  August (11)
    • ►  July (9)
    • ►  June (9)
    • ►  May (7)
    • ►  April (64)
    • ►  March (4)
    • ►  February (11)
    • ►  January (6)
  • ►  2024 (99)
    • ►  December (11)
    • ►  November (22)
    • ►  October (3)
    • ►  September (7)
    • ►  August (8)
    • ►  June (1)
    • ►  May (3)
    • ►  April (40)
    • ►  March (4)
  • ►  2023 (24)
    • ►  December (2)
    • ►  November (1)
    • ►  October (1)
    • ►  July (7)
    • ►  June (3)
    • ►  April (5)
    • ►  March (3)
    • ►  February (1)
    • ►  January (1)
  • ▼  2022 (106)
    • ►  December (3)
    • ►  November (4)
    • ►  October (2)
    • ►  September (1)
    • ▼  August (9)
      • Meditation-Consciousness-Spirituality | A SUMMARY ...
      • 北 김여정, 담대한구상 거부 "우리 국체인 핵을 경제협력과 바꾸겠는가?" - 노컷뉴스
      • “Seeking Good Luck” in North Korea | The Asia-Paci...
      •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 평가와 정책 건의 < 칼럼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통일뉴스
      • ‘을지 자유의 방패’, 한미 연합훈련이 남북/북미대화 재개의 독(毒)이 될 수도 < 칼럼 ...
      • 통일신학 - 外國 돕는데 5년간 3兆4000억 쓴 한국… 北주민 돕는데는 2%도 안썼다/ ...
      • 통일신학 허호익 교수
      • 통일을 위한 신학 허호익
      • Freedom of Religion, Thought, and Conscience in No...
    • ►  July (31)
    • ►  June (14)
    • ►  May (11)
    • ►  April (8)
    • ►  March (10)
    • ►  February (6)
    • ►  January (7)
  • ►  2021 (58)
    • ►  December (10)
    • ►  November (12)
    • ►  October (7)
    • ►  September (3)
    • ►  August (3)
    • ►  June (1)
    • ►  May (2)
    • ►  April (10)
    • ►  March (5)
    • ►  February (5)
  • ►  2020 (157)
    • ►  October (1)
    • ►  March (3)
    • ►  February (56)
    • ►  January (97)
  • ►  2019 (446)
    • ►  December (51)
    • ►  November (6)
    • ►  October (8)
    • ►  September (14)
    • ►  August (3)
    • ►  July (8)
    • ►  June (3)
    • ►  May (2)
    • ►  April (68)
    • ►  March (214)
    • ►  February (69)

Labels

  • [Directory
  • Beyond Utopia
  • Christian Friends
  • Cuba
  • Cuba Health
  • Mennonite
  • Monica Macias
  • Napoleoni
  • Philju Kim
  • 강은정
  • 김광운
  • 김성은 목사
  • 김일성종합대학
  • 김필주
  • 박연미
  • 박지현
  • 부패
  • 북조선실록
  • 정병호
  • 채세린

Search This Blog

Simple theme. Theme images by luoman.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