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March 26, 2019

소비자 외면받지 않으려면 농가부터 항생제 경각심 가져야 - 농민신문

소비자 외면받지 않으려면 농가부터 항생제 경각심 가져야 - 농민신문

소비자 외면받지 않으려면 농가부터 항생제 경각심 가져야
입력 : 2018-10-17 00:00 수정 : 2018-10-17 23:57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축산물 안전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정부는 수의사 처방을 강화했다. 사진은 수의사들이 새끼돼지에게 예방접종을 하고 있는 모습.

'아름다운 농촌 가꾸기'로 농업가치 높인다 3부-안전 농산물 생산 (4)올바른 동물용 의약품 사용관리

소비자 불신 왜 생겼나

슈퍼박테리아 인체 검출 살충제 성분 검출 달걀 사태로 축산물 관련 불안감 여전

소용 없는 정부 대책

사료 내 항생제 투입 금지 등 2011년부터 대책 시행했지만 소·돼지·닭 항생제 판매량

다시 늘어 2017년 755t 기록

항생제 오남용 해결방법은

공장식 사육환경 개선 농가에 사용법 교육 등 적극적으로 개선 나서야



2017년 살충제 성분 검출 달걀 사태를 계기로 우리나라 축산물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높아졌다. 동물용 의약품 관리가 제대로 안된 게 주된 원인이다. 정부가 안전성 검사를 강화하는 등 다각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아직도 완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소비자들은 가장 먼저 안전성을 고려해 축산물을 구입하고 있다. 축산농가가 안전한 축산물 생산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항생제 사용량, 다시 증가=과거엔 가축의 질병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사료에 항생제를 많이 넣었다. 하지만 항생제 오남용으로 동물과 사람에게서 슈퍼박테리아가 속속 발견됐다. 문제가 되자 정부는 2011년부터 사료 내 항생제 투입을 전면 금지하고 수의사 처방을 강화하는 등의 대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이들 대책이 제대로 먹혀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 항생제 판매량이 다시 증가하고 있어서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2017년 국가 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소·돼지·닭에 사용하는 항생제 판매량은 2011년 638t에서 2013년 551t으로 줄었다가 2017년 다시 755t까지 증가했다. 이는 선진국보다 여전히 많은 수준이다. 유럽의 축산강국 중 한곳인 덴마크만 해도 2015년 109t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런 탓에 축산물의 안전성에도 빨간불이 켜지고 있다.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충남 천안을)이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받은 ‘축산물 잔류물질 검사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항생제 등의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축산물은 522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의 225건보다 갑절 이상 증가한 수치다.

더 큰 문제는 전체 축산물 검사건수는 꾸준히 줄고 있는데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축산물 비중은 오히려 늘고 있다는 점이다.

2013년만 해도 21만7000여건에 달했던 전체 축산물 검사건수는 2017년 14만8000여건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이 기간동안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축산물 비중은 0.10%에서 0.35%로 3.5배 높아졌다. 박 의원은 “잔류물질이 초과 검출되면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생산자인 농가의 피해도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축산농가, 경각심 가져야=항생제 오남용은 공장식 축산과 관계가 깊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공장식 사육이 가축의 면역력을 떨어뜨려 질병에 취약하게 만든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달걀을 낳는 산란계만 해도 통상 한마리당 0.05㎡(0.015평)에서 키우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 넓이는 A4 용지 한장보다 좁다. 이렇듯 좁은 공간에서 사육하다보니 닭들이 약해지고 질병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결국 항생제를 많이 투여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가축들도 대부분 적정 기준보다 밀집사육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공장식 축산이 지속되면 항생제 과다 사용 등으로 축산물의 안전성 문제가 계속 불거질 수밖에 없고, 결국엔 국민의 신뢰를 확보할 수 없는 상황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먼저 축산농가가 항생제를 비롯한 동물약품을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축산농가 스스로 경각심을 갖고 동물약품의 과도한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는 얘기다.

농가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농가 상당수가 여전히 동물약품을 적정량 이상 사용하거나 사용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다. 한 동물약품 전문가는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정부가 농가 대상 교육과 홍보를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사육환경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정부는 9월부터 신규 농가의 산란계 사육환경을 한마리당 0.075㎡(0.022평)로 개선토록 했지만 기존 농가는 2025년 8월까지 유예했다.

최일택 동물자유연대 팀장은 “과도한 밀집사육은 인간에게도 위험한 질병을 가져올 수 있는 만큼 점차 개선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억 기자


김태억
eok1128@nongmin.com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