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February 28, 2019

11 북한 사역 김필주 박사 인터뷰 두번째 on Vimeo

북한 사역 김필주 박사 인터뷰 두번째 on Vimeo: This is "북한 사역 김필주 박사 인터뷰 두번째" by OneBody on Vimeo, the home for high quality videos and the people who love them.

11 북한 사역 김필주박사 인터뷰 첫번째 on Vimeo

북한 사역 김필주박사 인터뷰 첫번째 on Vimeo: This is "북한 사역 김필주박사 인터뷰 첫번째" by OneBody on Vimeo, the home for high quality videos and the people who love them.

Wednesday, February 27, 2019

18 WIKITREE | 전남대, 통일 대비 북한농업 연구 지원 나선다



WIKITREE | 전남대, 통일 대비 북한농업 연구 지원 나선다




전남대, 통일 대비 북한농업 연구 지원 나선다
2018-01-30 08:35











• 우수한 농업 연구 역량이 북한 농업 발전에 기여~더 나아가 한반도 평화통일에~~
"전남대 북한농업연구소 – (사)광주평화재단 MOU"



전남대



전남대학교 ‘북한농업연구소’와 (사)광주평화재단이 29일 북한 농업 연구 및 지원사업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전남대 북한농업연구소 강혜정(농업경제학과 교수) 소장과 광주평화재단 나종국 이사장을 비롯한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협약식에서 두 기관은 북한 농업 연구 및 지원 연계사업 발굴 등에 상호협력하기로 합의했다.


두 기관은 특히, 북한 농업 발전과 관련한 공동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사업에 함께 나서고 북한 농업 지원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이 협약을 통해 전남대학교가 보유한 농업 연구 역량과 광주평화재단의 교류 경험을 바탕으로 각종 협력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통일시대에 대비한 북한농업 이해도 제고, 남북한 농업 분야 상생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전남대 북한농업연구소는 북한 농업 연구, 북한 산림 복구, 남북한 농업협력사업 발굴 및 추진 등을 통해 통일 대비 북한농업에 대한 이해와 남북한 농업 분야 상생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2017년 12월 설립됐다. 광주평화재단은 북한의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와 지난 10년간 꾸준히 교류하며 북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대북사업 민간단체이다.


강혜정 전남대 북한농업연구소 소장은 “오늘 협약을 계기로 전남대학교가 북한 농업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됐다”면서 “전남대학교가 보유한 선진 농축산림 기술이 북한 농업 지원에 활용되고 이를 통해 남북한 농업협력 사업이 실질적으로 추진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나종국 이사장은 “두 기관이 앞으로 상생의 협력을 이루어 가기를 희망한다.”면서 “전남대학교의 우수한 농업 연구 역량이 북한 농업 발전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한반도 평화통일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Tuesday, February 26, 2019

08 Inside North Korea by CHRISTINE AHN - GREGORY ELICH

Inside North Korea

SEPTEMBER 17, 2008
by CHRISTINE AHN - GREGORY ELICH



At a time when speculation and rumors about events in North Korea abound, it should be noted how little of what one reads about that nation is grounded in concrete knowledge and experience. Partly this is due to the North Koreans’ tight hold on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but it also results from the preference of Western journalists for dealing in boilerplate generalizations and cartoon images. It is not often that one can get an inside view of the DPRK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the formal name for North Korea], however circumscribed the travel routes. Christine Ahn, one of the foremost activists on Korean and globalization issues, visited North Korea in early July, just days after the demolition of the cooling tower at the Yongbyon nuclear reactor. She shares her experiences in the DPRK with us.
----
You’ve just returned from the DPRK. As co-coordinator, you helped organize this trip under the auspices of the DPRK Education and Exposure Program (DEEP). Tell us about DEEP and your reasons for organizing this expedition.

[Ahn] The DPRK Education and Exposure Program was started in 2001 by a group of Korean Americans living in New York who were inspired by the reunification talks underway between the north and south. The goal was to bring young, socially-minded Korean-Americans to the northern part of our homeland to see and experience North Korea with an open mind and heart, which is definitely challenging because of the vilification of North Koreans by the media and the governments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We expect participants to read a tremendous amount about Korean history,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Koreans under Japanese colonization and the Korean War, as well as current issues facing North Korea, such as the famine, de-nuclearization and human rights. In addition, we organize a fundraising drive each year to raise money to purchase essential medical supplies to donate to a hospital in Pyongyang.

This was the 7th DEEP delegation and the largest and most diverse delegation with Koreans coming from New York, Los Angeles, and the San Francisco Bay Area. But we also had Korean Canadians and some Korean Americans who grew up in Japan, which made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r and division and the migration of Koreans much more multifaceted! For ten days, we traveled throughout Pyongyang, Sariwon and Kaesong. We visited many historical sites, and had the chance to interact with students from the Pyongyang Architecture and Planning University and from the Youth League. We met with officials from the Women’s League and the head of the Maternity Hospital in Pyongyang. We also attended several lectures with a professor from the Pyongyang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head of the Medical Doctors Associ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facing North Korea. We also spoke at length with two elderly men who were unconvert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s that were repatriated to North Korea after spending nearly 40 years in South Korean prisons. It was a very jam-packed trip with so much to observe, absorb, and process. Although we realize we saw only a small part of the country, we feel fortunate to have seen and experienced as much as we did on this part of our divided homeland.

I would like to start with Kaesong. What is the town like? I’m interested in both what the town is like in terms of daily life there, and in terms of architecture and historical sites dating back to the period of the Koryo Dynasty, when Kaesong was the capital of Korea. Did you see anything of the industrial complex there? There are now 72 South Korean firms operating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hich is undergoing rapid expansion. The number of North Korean workers at these plants now numbers over 30,000. Did your hosts have any comments on Kaesong? Also, Kaesong is a fair distance from Pyongyang. Did you see anything of particular interest along the way?

[Ahn] Kaesong is approximately two hours south of Pyongyang. My sense when we drove through the center of the city was that the architecture, much like Pyongyang, seemed to be of the Soviet-style era, and things seemed to be bleaker there than in the capital. There were few cars on the road, many people on bicycles and workers in the fields. As for the industrial complex, I remember seeing massive construction machinery beyond a wall along the road, but we weren’t able to go on a tour of the complex. When I asked one of our guides what they thought about capitalism seeping out from Kaesong, his response was that because the people of Kaesong have lived so close to the DMZ, they are among the most politicized in the country. I also recall that North Koreans viewed Kaesong as a model of “tongil,” or reunification, and that it would be a microcosm of how the challenges, as well as the nuts and bolts, of reunification would be negotiated.

The drive down there was breathtakingly beautiful–lush fields of farmland and rolling green hills. When we drove to Panmunjom along the DMZ—ironically enough on the 4th of July—you could see why it is one of the most ecologically diverse regions in the world. Despite apparently having 1.2 million land mines planted along the DMZ, for miles it is just lush green farmland with snowy egrets everywhere.

From the North Korean side, you look across at the towering South Korean/US building. There are large surveillance cameras and as one participant noted, the building had a “nightmarish quality akin to Terminator 2.” On the side of the building facing North Korea is a sign with the words in Korean, “House of Freedom.” As we looked from the rooftop across the DMZ, we asked one of our guides what he thought about that sign and his response was, “People who know least what that term means throw it around the most.” One of my colleagues on the trip noted that when she lived in South Korea, she deliberately avoided visiting the DMZ because one could only do so on a tour with the USO. As we left Punmunjom on the North Korean side, we drove under a cement archway that read in large Korean characters, Chaju Tongil, “reunification on our own terms.”

After the DMZ, we then visited the Tomb of King Wang Gun, the Koryo Historical Museum, and Sunjuk Bridge. The Tomb of Wang Gun was reconstructed after Kim Il Sung had visited the site. Our guide shared many allegories about the King and Kim Il Sung’s visit, but the one that stuck in my memory was about King Wang Gun’s advisors. Like many kings, Wang Gun had a military, political and economic advisor, but he also had a dream interpreter. This advisor, however, had a penchant for drinking and so the King forbade him to drink more than just one bowl full of wine a day, which the dream interpreter translated to mean a jug. This angered the King who then imprisoned him for 12 years, but thereafter released him and forgave him. Behind the tomb was a stone shaped into a lotus that symbolized the period before the Confucianist era when Buddhism reigned.

We also went to two other places, the Koryo Historical Museum and the Sunjuk Bridge. We arrived at the Koryo Historical Museum quite late, and because there was no electricity it was difficult to see the artifacts and paintings. Clearly much of the museum’s artifacts were recreated either because the original was destroyed in the war or pillaged. In any case, the Song Gyun Gwan–the building adjacent to the museum–was a study hall where yangbans (scholars) would take exams. They pointed out that the building was 400 years older than the one in Seoul and built during the Koryo period.

We then went to the Sunjuk Bridge where our guides shared another allegory about a dual that took place between Lee Song-Gae, a leader from Chosun and Chong Mong-Joo from the Koryo dynasty. Chong Mong-Joo was murdered on the bridge where a bamboo, which symbolizes loyalty, later grew. The stone bridge story seemed to be told as a narrative of transition and to convey that Chosun did not efface Koryo or obliterate the past, but instead chose to enshrine and pay homage to the past. How that should be interpreted today remains ambiguous. What all these stories mean, I cannot even begin to interpret, but it is worth noting how these ancient historical sites were actually re-created after Kaesong was completely destroyed. What remains is a handful of artifacts and the oral histories to preserve Korea’s past.

Did you have an opportunity to observe anything of agricultural development there?

[Ahn] On the day we traveled to visit the Sinchon massacre museum, we spent the morning visiting Migok cooperative farm in Sariwon, in Hwanghae Province. This was my sixth visit to a farm in North Korea, and I was overwhelmed by the resources available to this farm. We first visited the farm’s museum, which documented the history of the farm’s development, including photos of North Korean farmers rebuilding after war, as well as photos of visits made by both Kim Il Sung and Kim Jong Il. I remember vividly a black and white photograph of Koreans, definitely taken over 50 years ago since most of the women and men were wearing traditional Korean attire. The image captures them celebrating the completion of a canal system for irrigation—the first one for the cooperative farm. There were numerous photos of Kim Il Sung giving advice to farmers in the fields and sitting casually with peasants, as well as farmers standing proudly alongside a row of new tractors. This farm was clearly beloved by Kim Il Sung and heavily invested in as a model farm.

The farm was impressive. The primary crop grown was rice and for miles there were tracts of lush green rice fields surrounded by a sophisticated irrigation system. Surrounding the rice fields were large subdivisions of housing, largely apartment building-looking structures. We stopped into a home that looked just as modern as one you would find in a South Korean farming village. In the front of our host’s home was a well-organized garden that grew vegetables, flowers and medicinal plants. Along the road were rows of trees and people on bicycles and the occasional oxen-pulled cart.

We then stopped in an area of the farm where we were greeted by dozens of young farmers who looked hearty and healthy. They warmly welcomed us to a lunch they prepared in a large dining hall in a building with dorm rooms, showers and bathrooms, and classrooms. There is a thriving collective culture around singing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and after sitting down for a meal an accordion appeared and the North Korean farmers sang quite beautifully, much better I’m sorry to say than we did! I was really struck by how farmers and peasants in North Korea were so revered–as they should be–because of the role that they play in the society. The world over, farmers are treated so badly, laboring all their lives in the fields to grow food to feed us all, yet many of them never earn enough to feed their own families or learn to read.

We ended our visit by harvesting cucumbers and planting bellflower with the young farmers. I looked around the farm with amazement at how well organized and manicured the farm appeared. They had a duck farm, large patches of vegetable gardens, greenhouses, and every spare inch of space was used for something, whether vegetables or fruit trees. As throughout the country, there were political posters and slogans to inspire their collective spirits and drive to work harder for the nation. When we were saying goodbye, it was a very emotional moment to know that unless reunification is realized, the possibility of our meeting again was slim. And who knows when that will be and what awful things could happen before then.

On the long drive back from Sariwon, our guide Mr. Shin asked me what I thought about the fields and how the harvest looked as someone who studied agriculture. I could see that there were vegetable gardens everywhere–in the countryside as well as throughout Pyongyang–as well as side-croppings alongside vast tracts of rice paddies. I could see how organized they were to maximize food production. So I responded that it looked very good and productive, but in the back of my mind I thought to myself how vulnerable they must feel about the looming summer rains that could wipe out their entire harvest for the season.

North Korea has certainly had more than its share of agricultural misfortunes due to adverse weather. And with 80 percent of its territory being mountainous, the amount of land available for growing food is limited, making the nation’s food supply all the more vulnerable to weather patterns. Your delegation clearly connected with your hosts at the Migok collective farm on a personal level, even joining together in song. One of the difficulties in ascertaining the state of affairs in North Korea is that delegations tend to be taken to the same places and one wonders what the norm is for people living there. Yet because your delegation consisted of Korean-Americans and Korean-Canadians, I suspect that your group was able to connect on a much more personal level than is usually the case. You may have seen more than most groups do, and presumably your interactions were on a deeper level. Do you feel this was the case?

[Ahn] Absolutely. I have now been to North Korea three times and although I have had the opportunity to revisit places that I have seen before, I’ve also had the privilege of visiting many new places. But I would venture to say that Koreans, whether from the United States, Canada, Brazil or elsewhere in the diaspora have a special place in the hearts of the people in North Korea. I think they view Koreans in the diaspora as members of a lost tribe who were forced to emigrate elsewhere because the country was not strong or united enough to ward off invasion or occupation. And for many of us who cannot speak our native language, it’s quite sad. Language is so vital to understanding one’s cultural and ancestral heritage, and it’s heart-breaking when you cannot communicate. I was born in Seoul and e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when I was three and as my parents were already pretty elderly and worked in L.A.’s Koreatown, they never learned English, which prevented them from assimilating into American society. Meanwhile, as I was assimilating into American society and speaking English only, I lost my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m beyond the most basics. This is tremendously sad, and I’m not alone. And I think the North Koreans see this and feel very empathetic towards us.

On our trip was a young woman who i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e Bay Area. She was born Kay Fischer to an American father and a Korean mother, and she later changed the spelling to Kei. She grew up thinking she was half-Japanese until her mother confessed that she was actually Korean. Her mother, a second-generation Korean born and raised in Japan, explained that she withheld this knowledge because her father had avoided teaching her and her siblings Korean or about their Korean heritage. Kei’s mother explained to her that she had withheld this information because, like her father, she wanted to protect Kei in Japanese society, which heavily discriminated against Koreans. Kei explains that despite her grandfather’s efforts to protect her mother through assimilation into Japanese society, she still experienced the hardship because his experiences were so horrible.

Furthermore, since we are a delegation of Korean Americans and Canadians who want to also contribute towards building peace between our newly adopted countries and our native homelands, I think they are trying to give us much history, access, and perspective. The DEEP program is not a tourist trip—it’s about building solidarity with the people of North Korea, to understand why they have built the society they have, and how our lives are so intertwined and influenced by the policies of our governments.

We had the chance to visit with the students from the Pyongyang Architecture and Planning University. Many of the students spoke fluent English and they were incredibly bright and sharp. I have no doubt that they selected the best and the brightest to interact with us (as we do here i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elsewhere). I remember one young woman, 23, who was studying architecture but also loved studying poetry and literature. She was so lovely, humble and gracious. We had the chance to have small group discussions and during our talk, one of my DEEP colleagues and I brought up the idea of creating a transnational campaign called “De-Mine the DMZ” to dismantle the 1.2 million land mines strewn across the DMZ. They loved the idea and said we must work towards making this happen.

It’s not that I don’t think that non-Koreans don’t have the access that we do—I’m sure they do. Look at Selig Harrison who has been to North Korean umpteen times and has spoken directly with some of the DPRK’s top officials. But that’s not what we were there to do. We were there to connect with the people and as much as possible the youth of North Korea so that we can work together to build a permanen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 reunification from the ground up.

That is a goal that many Koreans would support. I’ll return to this theme in a bit. But for now, I’d like to ask you about Pyongyang. I assume that you spent the bulk of your time in the capital. Tell us something about what you saw there. In particular, as this was your third trip to North Korea, I’m interested in what changes you’ve seen over time.

[Ahn] Yes, we stayed at the Haebangsan Hotel in Pyongyang. I had previously stayed at the Koryo Hotel (the country’s best) and the Bottongang (alongside the Bottong River), but this one seemed centrally located.

As most of our days were filled with a jam-packed itinerary, it’s hard to capture what I saw, as so much of what we saw were monuments, museums and major buildings–but I’ll do my best to recall my quickly fading memory.

I saw a relatively modern, industrialized city that lacked things that we see in most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cars, neon lights, and advertisements. Certainly there were cars and trucks, but for the most part the people of Pyongyang were walking and biking. Instead of ads featuring scantily clad women selling alcohol, fashion or cars, there were beautifully painted political posters throughout the city. Since they were in Korean and my Korean is not that advanced, there are some words I couldn’t interpret (especially as we sped by in our bus). There were some unforgettable posters. One is of a Korean man knocking out two Western-looking Uncle Sams wrapped in red, white and blue. I can’t recall the exact words, but it went something like, “Kick out the Americans and let’s reunify on our own terms!”

Every morning several of us went jogging along the Tedong River. The trails were beautifully manicured, with no litter on the paths, and there was a serenity and calm to the city. We would run past people wearing modern, professional looking clothes. They didn’t look any different than Koreans in the south, except of course lacking the wild fashion and racy attire that younger people are now wearing there. In order to cross streets, we would walk downstairs and cross an underground passage that was dimly lit. It took a moment for your eyes to adjust to the dark, but the North Koreans were hardly phased. Bikes and masses of people passed each other with very little collision. It was pretty remarkable. Actually, these runs were some of my favorite moments in Pyongyang and actually made me fall in love with the city. There was a timeless, surreal feel about the city that was created by thick air from the humidity, the river lined with weeping willows, and the absence of a cacophony of cars. As my colleague so eloquently put it, “There’s nothing like an energy crisis to quiet a city.” Of course as visitors it’s easy to appreciate the lack of cars or neon lights, but I have no doubt that the Koreans would wish that they could have access to consistent energy like the rest of the world.

We visited several monuments and museums, such as the Juche Tower and the Revolutionary Martyr’s Cemetery, as well as popular destinations in Pyongyang such as the Okryukwa noodle house where we enjoyed a delicious bowl of nangmyun (noodles). We visited the maternity hospital in Pyongyang, which was quite impressive. They had very modern technology, very clean facilities, and what appeared to be a very organized and holistic system that enabled new mothers to heal and rest for several days following delivery. We also got to ride the famous Pyongyang subway. The stations were meticulously maintained, with ornately designed mosaic murals made with ceramic tiles.

As we drove through the city, I do recall quite vividly our North Korean guides pointing to one restaurant, whose name evades my memory. They excitedly pointed out that that was the oldest restaurant in Pyongyang that had survived the bombs from the Korean War. As I look back on my time there, I realize why history is so important to North Koreans. History is so important because it explains why they chose the society that they chose to build and because there is virtually very little that remains from the past since so much of what existed had been destroyed before the Japanese fled at the end of WWII and during the Korean War. For example, when you go and visit the museums in North Korea, many of the items on display are replicas of artifacts. In fact, there are virtually few pieces of celadon pottery on display, whereas you can see celadon in museums in Asian Art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in South Korea and Japan. But it hardly exists in North Korea, probably because most of it was taken by the Japanese during the occupation and by wealthy Koreans who fled south, while what remained was destroyed during the war.

And so that’s what you see in North Korea. A society that they had largely built by themselves after being completely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We’ll never know the extent of artistic riches that were lost. I was aware of the removal of artwork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But I hadn’t really dwelled on the thought that one of the results of the war, when U.S. bombers obliterated every town and city in North Korea, would be the destruction of most of what remained of the region’s artistic legacy. You were there at an interesting historical moment, when there seemed to be real progress on the nuclear agreement and the prospect of better relations. What did your hosts have to say about the nuclear agreement and U.S.-DPRK relations? How did they perceive the future? And finally, you’ve mentioned that DEEP intends to play a direct role in improving relations and building reunification. Perhaps it’s a bit unfair to ask this so soon after your trip, but are there plans in place for new activities by DEEP? What directions would you like to see the organization take?

[Ahn] As much as I wished that the North Koreans had a more upbeat response when I asked them what they thought about the potential lifting of sanctions once the 40 days passed, they didn’t. Their typical response was, “We will just wait and see. We never pin much hope on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the Bush administration. We fulfilled our end of the deal and all we can hope is that the United States keeps their promise.”

During the ride back from Kaesong, I spoke at length with one of our guides. He gave a very thorough analysis of the nuclear “crisis,” tying together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trading bloc, North Korea’s need for energy in the absence of imported subsidized oil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and therefore pursuit of nuclear energy), and the food crisis. He knew well that the Clinton administration never intended to build the light-water reactors–or if they did they were constrained by the Republican hawks who took over Congress–and that when the clock was running out to fulfill the U.S.’ end of the agreement, the Bush administration needed some way out. Hence the birth of the nuclear crisis.

But I do think that they are somewhat hopeful about the change in direction that an Obama presidency could bring to North Korea and the rest of the world. Like the rest of us, they see how dangerous the Bush administration is and has been to global peace and security.

As for DEEP, I can only speak for the work that I am involved with right now outside of the program. DEEP is a program out of New York’s community-based Nodutdol for Korean Community Development, and I know that they will continue to run the DEEP program as long as it’s needed. But as a fellow with the Korea Policy Institute, we are organizing a conference with UC Berkeley’s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Program called “Reunification: Building Permanent Peace in Korea.”

The conference is intended to generate pragmatic U.S. policy options towar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ost-Bush administration era. Our focus is on building an enduring peace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that leads to the eventual unification of the Koreas. While our focus is on Korean unification and U.S. policy toward Korea, we realize that analysis of the Korean situation requires contextualization within a larger geopolitical framework that involves regional actors, governments, and peoples. There are multipolar and transnational politics that influence Korea. And so we are hoping to examine how U.S. strategic interests in Northeast Asia influence its policy positions toward the Koreas—that is to say, how the global shift of economic and military dominance from the western to the eastern hemisphere influences U.S. policy toward Korea. We’ve managed to bring together some of the leading historians and policy experts on Korea, including Bruce Cumings and Selig Harrison, so it should bear some rich discussion and insight to help shape a new U.S. Korea policy.

Another area that I am working to support is the transition to sustainable agriculture in North Korea. I am specifically working with a seed scientist named Dr. Pilju Kim Joo who has been working with several cooperative farms since 1987. She is doing her best to help these farms stabilize following the devastating collapse of North Korea’s economy and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 and she realizes that North Korea’s future lies in its ability to transition to more ecologically sustainable farming practices. So I am trying to help raise some funds to bring some of the farm managers, agricultural scientists and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to take a tour of the larger-scale organic farms, especially those specializing in organic rice and cotton production. But it will take a long time for the North Koreans to reduce their dependency on the inputs that make farming expensive: pesticides, chemical fertilizers, and fuel–largely because they have been practicing this form of industrialized agriculture as far back as when the Japanese first introduced green revolution agriculture into Korea. But all of this will take some resources, so I’m hoping that some visionary philanthropist will be able to see the potential of such educational exchanges.

And finally, it’s still a twinkle in my eye, but I’ve been conspiring with a colleague of mine, Dr. Christine Hong, to spark a transnational campaign called “De-Mine the DMZ.” As I’ve said over and over in this interview, we need a reunification that is not just led by corporations or the governments–but one that is led by the people and from the ground up. And it needs to be tangible and the first way to help Koreans travel freely from the south to north and from Pyongyang to Seoul is to remove the 1.2 million land-mines that are waiting to explode. We must not wait 20 years; we must do it today.

Christine Ahn is a policy analyst who writes and speaks frequently on hunger, trade and globalization, and Korea. She co-founded the Korea Policy Institute and Korean Americans for Fair Trade, and is the editor of Shafted: Free Trade and America’s Working Poor and a contributor to the award-winning book The Revolution Will Not be Fund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program to assist sustainable agriculture in North Korea, send a tax-deductible check to Pilju Kim Joo, at 16005 22nd Ave. N, Plymouth, MN 55447-2365. Write on the memo “sustainable agriculture exchange.”

GREGORY ELICH is on the Board of Directors of the Jasenovac Research Institute and on the Advisory Board of the Korea Truth Commission. He is the author of the book Strange Liberators: Militarism, Mayhem, and the Pursuit of Profit.

Pilju Kim Joo - SourceWatch



Pilju Kim Joo - SourceWatch
Pilju Kim Joo




Pilju Kim Joo, Ph.D., "is the President of Agglobe Services International, a development aid organization providing humanitarian and agricultural assistance to North Korea. Born in North Korea before the country was divided, and raised in South Korea, Dr. Joo studied agricul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later received her doctorate from Cornell University. Dr. Joo has worked with major seed companies, including Northrup King and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She has been to North Korea over 60 times and has brought with her millions of dollars worth of farming knowledge, technology, and supplies to several cooperative farms. She secured one of the first contracts with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o work with several dozen cooperative farms on developing their agriculture, including helping them to identify export markets to generate income." [1]

평양과기대 총장, 경북대 첫 방문…농업 등 교류 논의



평양과기대 총장, 경북대 첫 방문…농업 등 교류 논의




평양과기대 총장, 경북대 첫 방문…농업 등 교류 논의

(대구ㆍ경북=뉴스1) 이재춘 기자 | 2018-08-21 16:17 송고


북한 평양시에 있는 평양과학기술대 전유택 총장(오른쪽 네번째) 등 4명이 21일 경북대를 찾아 김상동 총장(오른쪽 다섯번째) 등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경북대 제공)© News1

북한의 대학 총장 등이 21일 경북대를 찾아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경북대에 따르면 이날 전유택 평양과기대 총장김필주 농업생명과학부 학장 등 4명이 김상동 경북대 총장을 만나 교류 협력 사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전 총장 등 4명이 모두 미국 시민권자이긴 하지만, 북한의 대학 관계자가 경북대를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평양과기대는 우리나라 동북아교육문화협력재단과 북한 고등교육성이 '남북 공동으로 과학기술과 경영분야의 인력 양성을 통해 북한의 국제화와 경제 자립을 꾀하자'는 취지로 2011년 평양시에 공동 설립한 북한 유일의 사립대학이다.

경북대와 평양과기대는 2008년 교육과 학문 연구의 교류 협력에 관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두 대학은 이날 농업과 의료·보건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과 창업·보육 분야의 교류 협력을 우선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경북대는 지난 7월 남북한 교류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위원회를 구성, 남북 대학간의 구체적인 교류 협력 방안을 연구해 왔다.

경북대 남북한 교류 활성화 정책연구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희석 교수(정치외교학과)는 "일찌기 평양과기대와 협약을 맺었지만 그동안 얼어붙은 남북 관계 때문에 실질적인 교류가 힘들었다"며 "이번 만남으로 두 대학이 남북 교류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4 새누리 통일모임, 오늘 김필주 평양과기대 원장 초청 강연회 - 경기일보



새누리 통일모임, 오늘 김필주 평양과기대 원장 초청 강연회 - 경기일보



새누리 통일모임, 오늘 김필주 평양과기대 원장 초청 강연회

김재민 기자 jmkim@kyeonggi.com
노출승인 2014.04.29
-----

새누리당 의원 36명으로 구성된 ‘통일을 여는 국회의원 모임(대표 원유철ㆍ이하 통일모임)은 30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의원식당에서 김필주 박사(평양과학기술대학 농생명실험개발연구원장) 초청 강연회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통일모임은 이날 남북한을 자유롭게 오가는 김 박사로부터 북한의 농업실태에 관한 강연을 듣고 국회의 지원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김 박사는 북한당국으로부터 황해도 내 4개 농장 3천ha(약 900만평)를 임대받아 목화를 비롯한 각종 농산물을 재배하고 선진 영농기술을 북한 현지에 전수하는 활동을 25년간 펼치고 있다.

북한에서 ‘목화 할머니’로 불리며 지난 2011년에는 뉴스위크 선정 ‘세계를 뒤흔드는 여성 15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통일모임 대표인 원유철 의원(평택갑)은 “농업분야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산증인인 김 박사의 강연을 통해 북한이 식량분야에서 생존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지원방안이 모색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재민기자 jmkim@kyeonggi.com

15 서울대 평창캠퍼스 초청 특강 김필주 박사 ‘북한의 농업과 협력 방안’ : 네이버 블로그

서울대 평창캠퍼스 초청 특강 김필주 박사 ‘북한의 농업과 협력 방안’ : 네이버 블로그



기술연구원 58개의 글 목록열기
서울대학교평창캠퍼스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서울대 평창캠퍼스 초청 특강 김필주 박사 ‘북한의 농업
과 협력 방안’
· 2015. 11. 26. 14:32 URL 복사  이웃추가
- 북한의 농업과 협력 방안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공식블로그 이 블로그에서 검색
2/27/2019 서울대 평창캠퍼스 초청 특강 김필주 박사 ‘북한의 농업과 협력 방안’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nupc&logNo=220550792576&parentCategoryNo=&categoryNo=17&viewDate=&isShowPopularPost…





2/5
지난 11월 24일 서울대 평창캠퍼스 대회의실에서 북한 농장의 작물 개량과 증산에 헌신하고 있는 평양과학기술대학 김필주 박사를
초청해 특강을 개최했다.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원장 이희재) 주최로 열린 이번 특강은 ‘북한의 농업과 협력 방안’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국제 농업
에 관심이 많은 대학원생, 연구원, 교직원 등이 참석해 좌석 80석을 모두 채웠다.
김필주 박사는 함경남도 영흥에서 태어나 여덟 살 때인 1945년 8월 15일 광복 때 남하해서 서울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1962년 미국
으로 유학을 떠나 뉴욕 코넬대에서 작물생리학을 전공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전공분야와 관련된 세계적 종자회사 아시아 최고책임자로 근무하였고 현재는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겸임교수와 미국 NGO 단
체 이사장으로 북한의 농업발전에 이바지한 바가 크다
뉴욕의 북한대표부로부터 `강냉이 품종 개발을 도와 달라'는 부탁을 받고 1989년 북한을 처음 방문해 지금까지 북한의 농업 기술 발
전을 돕고 있는 것이 벌써 27년이 지났다.
김 박사는 북한의 농업 현실을 사진에 담아 설명하였고 80년대 북한 현실과 최근에 변모한 농업기술 전파에 대해 강연하였다. 이모
작을 전파했고, 북한 내 협동농장 5곳을 운영하고 있으며, 평양과학기술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모습에는 열정을 옆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농업뿐이 아닌 북한의 "10일 유치원"에는 두유기계를 공급하고 콩은 자급하도록 당부하여 아이들에게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체제
를 보급하였다.
최근에는 온실 구축 기술보급과 산에 나무를 심고 염소를 키울 수 있는 지원시설 및 기술을 전파하며 북한 농민 스스로가 개발하여
더 생산 능률을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에 김 박사는 ‘북한 식량 부족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지원보다 종자 보급이나 농업기술 지원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으며 앞으로 포용력을 갖고 북한 식량 부족의 근본을 해결할 수 있는 주인공은 젊은 평창캠퍼스 여러분이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공식블로그

11 DMZ평화상 대상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선정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DMZ평화상 대상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선정2011-11-30

첨부파일 다운로드 : 1.JPG


강원도와 강원일보사가 공동 제정․수상하는 DMZ평화상 대상에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대표상임의장 김덕룡)"가 선정됐으며, 교류협력 우수상은 유진벨재단, 학술연구부문 우수상은 김필주 박사가 각각 선정됐다.

시상식은 11월 29일 오전 10시 30분 철원군청 대회의실에서 개최됐으며, 시상식에는 최문순 지사, 김기남 강원도의회 의장, 이희종 강원일보 사장, 정호조 철원군수, 그리고 단체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하여 수상자를 축하했다.

대상을 받은 민화협은 1998년 출범한 이후 보수와 진보가 함께하는 통일운동을 표방하면서, 통일문제에 대한 국민합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민간차원에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앞장서 왔으며, 대북식량 지원이 중단된 상황에서도 지난 7월 북한 취약계층을 위해 15억 원 상당의 밀가루 지원을 재개하는 등 남북교류의 물꼬를 트는 역할을 해왔다.



김덕룡 민화협 대표상임의장은 수상소감을 통해 "수상의 기쁨과 영광을 지난 13년간 활동해 온 모든 분들께 돌리고 싶다"며, 앞으로도 "경허한 마음으로 온 국민이 공감하고, 참여하는 신뢰받는 통일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교류협력 우수상, 유진벨재단은 1995년 인세반 박사가 창립하고 대북지원사업을 모범적으로 펼쳐 왔으며, 특히 북한 80여 곳 이상의 의료기관에 결핵퇴치 및 일반보건의료 지원사업을 펼쳐왔다.

학술연구부문 우수상, 김필주 박사는 함경도 출신의 재미교포로 지난 18년 동안 황해도 등지에서 4개의 농장을 임대받아 목화와 옥수수 등의 영농기술을 전수하는 등 북한 식량문제 해결을 위해 헌신했다.



강원도와 강원일보사는 남북분단 DMZ지역의 가치 및 의미와 세계평화의 상징으로서 역할 등을 재조명하기 위해 매년 세계평화에 기여한 개인․단체를 발굴해 DMZ평화상을 시상해 오고 있으며, 나눔인터내셔널, 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 남북어린이 어깨동무, 한스자이델재단 등이 이 상을 받았다.



--- 관련 기사-----

[연합뉴스] "강원 DMZ평화상 대상에 민족화해협력 범국민협의회"
[동아일보] "강원 ‘DMZ 평화상’ 대상에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강원일보] "김덕룡 “민족화해·통일운동 지속하겠다
[뉴시스] "제7회 DMZ 평화상 시상식"

‘김원웅 쓰나미’ 여당 덮치다 - 시사저널



‘김원웅 쓰나미’ 여당 덮치다 - 시사저널



북한 돕기 앞장선 김필주 박사“종자 지원,식량보다 훨씬 효과적”

남문희 기자 (bulgsisapress.com.kr)
승인 1999.06.17 00:00




facebook twitter kakao story naver band share
“종자 지원하면 북한 식량 사정 크게 개선”북한이 재미 동포 김필주 박사(62)에게 붙여준 별명은 ‘오늘의 문익점’이다. “과거 문익점이 목화씨를 들여왔듯이 김박사는 곡물 종자를 들여와 식량난 해결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라고 북한 방송이 소개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평화문제연구소와 농어촌진흥공사가 지난 5월27일 공동 주최한 ‘북한 식량 증산을 위한 남북 협력 국제 세미나’에 참석하러 서울을 방문한 김박사는 이런 내력을 소개하면서 부끄럽다고 말했다. 조용히 힘 닿는 데까지 돕고 싶을 뿐 거창하게 소개되는 것은 원치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종자 전문가로서 89년부터 30여 차례 북한을 방문하며 그가 기울여온 노력을 들여다보면 북한 방송의 소개가 과장된 것만은 아닌 것 같다. 남북차관급회담 개최 소식이 전해진 지 며칠 뒤인 지난 6월3일 스위스그랜드 호텔에서 그는 북한 식량난을 획기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자신의 구상을 열정적으로 설명했다.

지난 10년간 30여 차례나 북한을 다녀오셨는데 언론에는 별로 등장하지 않으셨던 것 같습니다.

제가 북한을 다니기 시작한 것은 제가 가지고 있는 전문 지식을 활용해 힘 닿는 데까지 돕기 위한 것이었지 언론 홍보를 위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또 자칫 잘못 소개될 경우 그나마 할 수 있는 일조차 못하게 될 것도 염려가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언제 다녀 오셨습니까? 그리고 그쪽 식량 사정은 어떻습니까?

지난해에 10여 차례 다녀왔고 올해는 연초에 한 번 갔었습니다. 지난해 작황을 참고해보면 올해에도 약 1백50만t 정도가 부족합니다. 96년과 97년에 비해서는 조금 나아졌지만 여전히 어려운 것은 사실입니다.

89년부터 북한을 방문하신 것으로 알려졌는데, 어떤 계기였습니까?

미국에 파이오니아 하이브리드라는 종자 회사가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알려진 회사지요. 저는 85년부터 92년까지 이 회사 기술 보급 담당 이사로 근무했는데, 주로 동유럽 국가들을 상대했습니다. 루마니아 헝가리 유고 체코 등을 다니며 이들 국가에서 옥수수나 해바라기 종자를 생산해 서유럽에 판매하는 일이었지요. 북한과의 접촉은 이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졌습니다. 북한 역시 종자 개량에 관심이 많았고, 회사에서도 북한의 옥수수 생산 현황을 알고 싶어했습니다. 직접적으로는 재미 교포 중 한 분이 옥수수 종자가 절실히 필요한 북한을 도와줄 수 있겠느냐고 의뢰해와 첫 방문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동안 북한과 동유럽 국가들 사이에 종자 개량을 위한 교류가 활발했습니까?

물론입니다. 김일성 주석이 생존했을 때에도 벼농사나 옥수수 농사에 대한 관심은 거의 절대적이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옥수수 종자 개량에 관심이 지대했습니다. 북한은 이를 위해 유고나 불가리아 등 동유럽 국가, 멕시코 쿠바 같은 중남미 국가, 그리고 아프리카 국가들과도 활발하게 교류했습니다. 86년에는 로마 국제유전자원연구소(IBPGR)에 가입했고, 또 탄자니아에 옥수수연구소를 지어주기도 했습니다.

현재 북한의 옥수수 종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생산 현황은 어떻습니까?

벼라든가 보리 밀 감자와 달리 옥수수는 암수 교배로 얻어진 교배 잡종을 심어 생산합니다. 그러다 보니 자체에서 개발한 것과 동유럽이나 서유럽 쪽에서 들여와 교배한 것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화성 1호가 그 중 대표적이고, 그밖에도 황주1호·해주1호·평남7호 등이 있습니다. 처음 갔을 때만 해도 교배 잡종의 순도가 매우 높아 수확이 고르게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그동안 잇단 수해 피해와 종자 개량을 위한 자금 부족 등으로 인해 순도가 형편없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또 종자 보급도 제대로 안돼 이런 상태로는 식량 자급이 대단히 어려운 상태지요.

북한의 식량난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종자 지원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시는 근거가 무엇입니까?

단적인 예를 하나 들겠습니다. 올해 북한에 부족한 식량 1백50만t을 옥수수로 전부 구입한다고 할 때 드는 비용은 t당 구매가를 1백50달러로 가정할 때 연간 2억2천5백만 달러입니다. 그러나 종자를 지원해 자체 생산을 유도할 경우 연간 약 1천2백만 달러면 충분합니다. 즉 곡물을 지원하는 비용의 20분의 1만 있어도 된다는 것이지요.

어떻게 해서 그런 계산이 가능합니까?

보리의 경우 종자 한 개를 지원하면 여기서 곡물 28개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밀은 20개, 옥수수는 4백개 등으로 그 효과가 엄청나지요. 여기에 종자 가격 등 여러 변수를 고려해도 단순 식량 지원보다 10~20배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지요.

종자 지원만으로 효과를 거둘 수 있겠습니까?

그렇지는 않습니다. 종자 지원 이전에 시설 투자가 필요합니다. 즉 지원된 종자를 가지고 이를 증식할 시설과 좋은 종자만 가려내기 위한 정선 시설을 먼저 갖춰야 합니다. 그래야 지원된 종자를 활용할 수 있지요. 제 판단으로는 정선 공장은 서북 지역과 서남 지역, 동해안 등 세 군데에 하나씩 지어야 합니다. 처리 규모도 3만5천t급은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약 3천6백만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기에 증식 시설을 위한 자금 약 2천만 달러를 합치면 우선 당장 5천만∼6천만 달러 투자가 필요합니다. 이 정도만 투자해도 몇억 달러를 투자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종자 지원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까?

아무리 좋은 종자라 해도 북한의 토양이나 기후·병충해 등의 조건에 맞지 않으면 쓸모가 없습니다. 저는 89년부터 최근까지 옥수수 종자만 해도 이미 60여 종을 테스트했습니다. 현재는 어느 지역에 어떤 종자가 가장 적당한지 대강 파악이 끝난 상태지요. 예를 들어 미국 종자 중 6631이라는 종자는 북한의 화성1호보다 수확량이 24% 정도 많았습니다. GL646이라는 종자도 효과가 좋았지요. 이밖에 파이오니아 사의 10여 개 품종이나 다른 회사의 5∼6개 품종도 매우 좋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옥수수는 미국산이 좋다고 봅니다. 그만큼 개량이 많이 되었기 때문이지요. 벼나 채소는 한국산도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미 10여 개를 테스트했는데 우수한 품종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어떤 종자를 사용할 것인가는 이미 파악했지만, 앞으로도 여러 가지 고려할 사항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종자만 하더라도, 공용으로 쓸 수 있는 것은 미국 정부의 북한 정책과 연관되어 있고, 개별 기업의 종자는 로열티 지불이라는 문제가 남게 됩니다. 여하튼 종자 문제가 해결된다 해도 앞에서 언급한 시설 투자가 선행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지요.

박사님의 구상이 제대로 실현될 경우 그 효과는 언제부터 나타나게 됩니까?

3∼5년 후에 북한 식량 사정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입니다. 적어도 먹고 사는 것은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향상된다는 것이지요. 물론 이런 조건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현재처럼 식량 지원이 계속 이루어져야 하고, 또 비료나 농기계 등 농업 전반에 대한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3∼5년만 지나면 어느 정도 자급 자족이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그런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행 계획이 있습니까?

우선 미국 정부와 접촉해 공용 종자 사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미국이나 유럽계 종자 회사들과도 접촉할 예정입니다. 시설 투자가 문제인데, 이것을 위해 한국 정부가 나서 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조만간 다시 서울을 방문해 한국 정부에 공식 제안서를 제출할 계획입니다.

평화 농학자 김필주 박사, 세계 뒤흔드는 여성에 - - 인터뷰365



평화 농학자 김필주 박사, 세계 뒤흔드는 여성에 - - 인터뷰365




【인터뷰365 김우성】북한 기아 해소를 위해 농업기술과 식량을 지원해온 김필주 어글로브서비스인터내셔널 회장(74)이 세계를 뒤흔드는 여성에 선정됐다.

8일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세계 여성의 날’ 100년을 맞아 ‘세계를 뒤흔드는 여성’ 150명을 선정ㆍ발표했다. 150인에는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 등이 함께 선정됐으며 한국계로는 미셸 리 전 워싱턴DC 교육감과 김필주 박사 두 명이 이름을 올렸다.

김 박사는 서울농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1962년 9월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미시시피주립대에서 종자학으로 대학원을 졸업했다. 이후 뉴욕 코넬대에서 작물생리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고 전공분야와 관련된 세계적 기업 ‘노트럽 킹’의 종자학연구실장으로 활동했다. 1985년부터는 세계 굴지의 옥수수종자회사로 종자개발연구에 선두를 달리던 기업 ‘파이어니어 하이브레드 인터내셔널’로 자리를 옮겨 국제 종자기술 보급 업무를 주도했다. 냉전시대였던 당시 동구권 국가의 종자생산기술 보급도 김 박사의 소관업무였다.

김 박사는 현재 미국에 본부를 둔 NGO ‘지구촌농업협력 및 식량나누기운동협회(Agglobe Services International. Inc)’ 회장이면서 미네소타대 초빙교수와 서울에 사무소를 둔 평양과학기술대학 설립위원회의 농업생명대학 설립학장을 겸직하고 있다. 남과 북을 자유롭게 왕래한지 올해로 20년이 넘은 그는 지금 황해남북도 4개 지역에 2천970만㎡(9백만여 평) 규모의 농장을 운영 중이다.

[관련기사]
[인터뷰] 남북을 자유롭게 오가는 평화의 농학자 김필주 박사

14 통일 의원 모임, 김필주 평양과학기술대학원장 초청 강연



통일 의원 모임, 김필주 평양과학기술대학원장 초청 강연

통일 의원 모임, 김필주 평양과학기술대학원장 초청 강연북한 선진영농기술 전파, 북한 농업현실 들려줄 예정김영민 | eco@ecomedia.co.kr | 입력 2014-04-29 12:06:29





△김필주 박사

새누리당 국회의원 36명으로 구성된 통일을 여는 국회의원 모임(대표: 원유철, 간사:이완영)은 4월 30일 오전 7시30분 국회의원회관 의원식당에서 김필주 박사(평양과학기술대학 농생명실험개발연구원장, 사진)를 초청해 강연을 듣는다.





이 자리에서 국회모임은 김 박사의 북한 농업실태에 관한 강연을 듣고 국회의 지원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김 박사는 평양과학기술대학 농생명실험개발연구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북한당국으로부터 황해도 내 4개 농장 3000ha(약 900만평)을 임대받아 목화를 비롯한 각종 농산물을 재매하고 선진 영농기술을 북한현지에 전수하는 활동을 25년간 펼치고 있다.



북한에서 '목화할머니'라 불리고 있기도 하며, 2011년에 세계여성의 날 100주년 기념 뉴스위크 선정 세계를 뒤흔드는 여성 15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남북한을 자유롭게 오가며 활동 중인 김 박사이기에 북한 농업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김필주 박사는 함경도 태생으로 6·25전쟁 때 경기도 양평으로 피란 가면서 '농사'에 관심을 가졌다. 어려운 농촌 현실을 보면서 그는 소설 '상록수'의 채영신을 꿈꿨다.







△지난해 세계감자식량재단 임학태 이사장과 함께

아프리카에 점보밸리 감자 전달할 때 모습

그녀는 농촌 발전에 기여하자며 서울대 농과대에 들어갔고, 미국으로 유학을 가 코넬대에서 종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의 유명 종자회사에 근무하며 여러 나라에 고품질 종자 생산기술을 보급해온 1989년 북한으로부터 옥수수 종자 개량을 도와 달라는 부탁을 받고 처음 방북했다.






그는 세계감자식량재단(이사장 임학태)과 해외 감자 종자 등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통일모임 대표인 원유철 의원은 "4반세기 농업분야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산증인인 김필주 박사의 이번 강연을 통해 우리 대한민국의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지원방안이 모색되는 계기가 되고, 궁극적으로 남북공동번영을 실현하는데 일조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완영 의원은 "지난해 11월 대정부질문에서 농업기술 전수, 북한산림녹화 사업, 북한의 자원과 노동력을 남한의 자본과 기술에 접목시킬 방안 강구 등 농업·산림·환경 분야의 남북교류확대를 정부에 주문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박 대통령의 독일 드레스덴 연설에 농업, 축산, 산림을 함께 개발하는 복합농촌단지 조성, 남한의 자본·기술이 북한의 자원·노동과 결합하는 경제공동체 건설 등의 남북한 공동번영을 위한 민생인프라 공동구축에 관한 내용이 반영돼 기쁜 마음"이라고 말했다.



통일을 여는 국회의원 모임 새누리당 36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통일을 위한 연구모임으로 지난해 10월 발족했다.

13 남북한 농림수산 협력 심포지엄 성황리에 개최



rri.ekr.or.kr/m/photoView.do;jsessionid=76F0DDDE13A6D16BC02685BE81CDCB74?bbsId=BBSMSTR_000000000033&nttId=699&pageIndex=4



남북한 농림수산 협력 심포지엄 성황리에 개최
등록일 : 2013-11-19






▣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이상무), 남북한 농림수산 협력 심포지엄 개최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이상무)와 (사)통일농수산, (사)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이 공동 주최, 농어촌연구원(원장 박정환) 주관한 "남북한 농림수산 협력 심포지엄"이 한국마사회 본관 대강당에서 11월 18일(월) 개최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 통일부, 농촌진흥청,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 및 지자체 관련 공무원 등 300여명이 참석하였다.
한국농어촌공사 이상무 사장은 개회사에서 "통일농정을 대비한 남북농업협력사업과 한반도 전체의 균형발전과 미래농업 준비를 위해 연례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공통된 의견을 도출하는 등 통일 농정에 대비한 실질적인 준비를 해 나가자"고 역설하였다.



기조연설
-고려대학교 남성욱 교수 「김정은 시대의 북한농정 추진방향과 전망」
-(사)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김필주 박사 「북한 협동농장의 제도 및 실태」
주제발표
-농어촌연구원 김석열 소장 「북한 농업생산기반 실태」
-농촌진흥청 곽강수 박사 「남북한 농업기술 협력방향」
-국립산림과학원 이성연 박사 「북한의 산림 현황과 남북한 산림 협력방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김종만 박사 「남북한 수산 협력 현황과 방향」
종합토론
농림축산식품부, 통일부 관계자 및 각 분야의 전문가가 토론자로 나서 농업생산기반, 농업기술, 산림 및 수산 분야에서 남북한 협력사업의 활성화방안에 대하여 심도 깊은 토론이 이루어졌다.



심포지엄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들을 통하여 한국농어촌공사의 남북 협력사업 활성화에 큰 디딤돌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앞으로도 남북 협력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농어촌연구원이 함께 해 나갈 것이다.

[전국]남북 화해 무드, 농업·학술 교류도 물꼬



[전국]남북 화해 무드, 농업·학술 교류도 물꼬

남북 화해 무드, 농업·학술 교류도 물꼬


제주 해안가서 멸종위기 보호종 상괭이 사체 잇...
조선독립신문 창간호 100년 만에 실물 공개...고...
힘든 어머니 안쓰러워...휠체어 교통사고
도둑질로 '100억' 목표...부잣집만 골라 털어
유관순 열사 1등급 훈장 추서...충남도 '환영'
[자막뉴스] '도둑질로 100억 모으자' 치밀하게 ...
다음 달부터 '지옥철' 9호선 일반열차 6량으로 전환
[자막뉴스] 부산 휠체어 교통사고가 더욱 안타까...
부산 승학산 3곳 동시 화재...방화 가능성 수사
밀양 국도서 승용차··트랙터 충돌...1명 부상
제주 해안가서 멸종위기 보호종 상괭이 사체 잇...
조선독립신문 창간호 100년 만에 실물 공개...고...
힘든 어머니 안쓰러워...휠체어 교통사고
도둑질로 '100억' 목표...부잣집만 골라 털어
유관순 열사 1등급 훈장 추서...충남도 '환영'
[자막뉴스] '도둑질로 100억 모으자' 치밀하게 ...
다음 달부터 '지옥철' 9호선 일반열차 6량으로 전환
[자막뉴스] 부산 휠체어 교통사고가 더욱 안타까...
부산 승학산 3곳 동시 화재...방화 가능성 수사
밀양 국도서 승용차··트랙터 충돌...1명 부상
prev
next













Posted : 2018-06-09 22:42

앵커
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 대학 사이의 교류도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우리의 1970년대 수준으로 추정되는 농업 분야가 물꼬를 텄는데요,


평양과학기술대와 전남대학교가 먼저 손을 잡았습니다.

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14년 북한은 황해남도 강령군 등 6곳을 경제개발지구로 추가 지정했습니다.

유기농 시범 재배 지구도 포함됐지만, 농업 수준은 많이 뒤떨어져 있다는 평가입니다.

[김필주 / 평양과학기술대학교 농생명학부 학장 : 비료라든가 이런 것들을 친환경적으로 농사를 지으려고 노력하고 있고 조그마한 도움을 줘도 그것을 이용해 굉장히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 북한이 땅을 제공해 남북 합작으로 세워진 평양과학기술대학교, 평양과기대와 전남대학교가 민족 공동 번영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전유택 / 평양과학기술대학교 총장 : 우리 학교와 공통되는 과목들이 굉장히 많고 그래서 앞으로 많은 교류가 있어서 많은 도움을 받기를 원합니다.]

[정병석 / 전남대학교 총장 : 전남대학교가 평양과학기술대학뿐만 아니라 남북한의 고등 교육 교류에서 국가 정책을 일선에서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할 일이 많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평양과기대와 전남대는 유익한 농업 분야 공동 연구와 교수·연구진·학생·학술 자료를 교류하게 됩니다.

공동 과제를 할 경우에는 기술과 자재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협약은 일찍이 북한농업연구소를 세운 전남대학교가 북한 농업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이뤄졌습니다.

[강혜정 / 전남대학교 북한농업연구소장 : 전남대학교는 농도인 광주·전남에 있으면서 시설 원예 그다음에 친환경 농업, 스마트 팜 등에서 아주 우수한 연구력과 연구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민간 교류도 서서히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생명 산업인 농업을 매개로 한 평양과기대와 전남대의 교류가 어떤 열매를 맺을지 주목됩니다.

YTN 김범환[kimbh@ytn.co.kr]입니다.

WIKITREE | 포천시, 평양과학기술대학 김필주 교수 초빙..'통일농업' 특별강연



WIKITREE | 포천시, 평양과학기술대학 김필주 교수 초빙..'통일농업' 특별강연

포천시, 평양과학기술대학 김필주 교수 초빙..'통일농업' 특별강연

2018-08-13 13:00


• 경기도 포천시(시장 박윤국)가 평양과학기술대학 김필주 농·생명 학장을 초청해 '남북경협 거점도시 포천, 통일
경기도 포천시(시장 박윤국)가 평양과학기술대학 김필주 농·생명 학장을 초청해 '남북경협 거점도시 포천, 통일농업 협력방안'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포천시청




김필주 학장은 서울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뉴욕 코넬대에서 작물 생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역임하고 현재 평양시 소재 평양과학기술대학 농·생명 학장으로 재직 중이다.


강연에 앞서 김 학장은 남북경협 거점도시로 성장하기 위한 남북교류 협력사업의 구체적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등 그간의 노력을 인정받아 박윤국 포천시장으로부터 명예시민패를 수여받았다.


이번 특별강연은 김필주 학장의 종자학 분야의 세계적 영향력과 1989년부터 북한 농업기술발전을 돕고 남북 농업 교류협력을 추진한 경험을 바탕으로 포천시가 남북경협 거점도시로 발돋움 할 수 있는 방안을 시 공무원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윤국 시장은 '한반도 화해시대 남북경협의 획기적인 전환을 시의 성장 동력으로 삼아 새로운 포천시를 만들겠다'는 시정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또 광역교통망 확충을 통해 남북경협 거점 물류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해 포천시를 통일시대 물류 산업 거점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 관계자는 "포천시가 물류산업 시장의 확대,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경기 동북부 산업경제 활성화를 이끄는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 하고 있다"고 밝혔다.


x
포천시 박윤국 시장 평양과기대 김필주 교수



이상열 기자 sylee@wikitree.co.kr


이 글의 저작권은 필자에게 있으며, (주)소셜뉴스는 이 글에 대한 재배포 권한을 갖습니

14 평양과기大 김필주 원장 "南, 대북농업지원 증대필요" - 한국대학신문



14평양과기大 김필주 원장 "南, 대북농업지원 증대필요" - 한국대학신문
평양과기大 김필주 원장 "南, 대북농업지원 증대필요"

unn news@unn.net
승인 2014.04.30 18:32

"남북교류 늘어나야…6•28 경제개선조치 잘안되고 있어"

지난 20여년간 대북 농업지원 활동을 해온 재미동포 농학자인 김필주(77.여) 평양과학기술대학 농생명실험개발연구원장은 30일 "북한의 식량안정을 위한 남측의 농업 지원이 증대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새누리당 의원들의 모임인 '통일을 여는 국회의원 모임'을 상대로 한 비공개 특강에서 "평양 시내는 많이 번화해 가는 반면 시골은 아직도 어렵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김 원장은 구체적인 지원 방안으로 나무심기를 통한 북한의 산림녹화, 토양 개선을 위한 농업기술 전파를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북측도 종자와 비료, 농기계 등 물자를 공급해주고 방법을 알려주면 충분히 열심히 일하고 결과를 만들어 낸다"면서 "제가 알려준 방법으로 재배한 벼, 목화 등의 수확량이 폭발적으로 증대되는 과정이 눈에 보인다"고 평했다.

김 원장은 북한 당국으로부터 황해도에 4개 농장 3천㏊(약 900만평)를 임대받아 목화를 비롯한 각종 농산물을 재배하고 선진 영농 기술을 전수하고 있다.

김 원장은 "통일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소통과 이해다. 남북 주민이 동포애를 느끼고 더 이해할 수 있도록 교류가 늘어나야 한다"면서 "정책을 만드는 분들이 좀 더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일부 시장경제 요소를 도입한 6•28 경제관리개선조치를 북한이 시행하고 있음을 확인했으나 "현재로서는 잘 안 되고 있다"는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6•28조치는 농산물 수확물 가운데 70%는 개인이 갖고 나머지 30%는 북한 당국이 가져가는 등 농장이나 기업의 자율처분권을 확대한 조치를 말한다.

김 원장은 특히 5월 중순에 평양과기대 졸업식이 있다면서 '통일을 여는 국회의원 모임'의 참석을 요청했으며 조만간 초청장을 가져오겠다는 언급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을 여는 국회의원 모임'은 이날 강연 후 ▲'통일헌장' 제정 선포 ▲통일위원회를 국회 상임위원회 또는 특별위원회로 구성하는 방안 ▲북한인권법의 조속한 입법화 필요 ▲남북국회회담 추진 ▲가칭 '평화통일 기반조성 및 촉진법' 제정 추진 ▲탈북자 지원 확대 및 성공모델 전파 방안 ▲인도적 지원, 농업•산림•환경 개선사업 등 북한판 마셜플랜 추진 ▲드레스덴 선언 후속조치 등 10개 안건에 대해 토의했으며 앞으로 세부 의견을 더 수렴해 구체적인 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11 "북한이 자급자족하고 편안하게 살도록 하는 것이 나의 목적"


"북한이 자급자족하고 편안하게 살도록 하는 것이 나의 목적"


기독일보 김브라이언 seattle@chdaily.com

입력 Oct 26, 2011 08:18 AM PDT


글자 크기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뉴스위크 선정 '세계를 뒤흔드는 여성 150인' 김필주 박사


김필주 박사ⓒ김브라이언 기자
시애틀 목사회 10월 모임 특강 강사로 나선 김필주 박사는 자신의 목화 농장을 예로 북한 실정을 설명하면서, 북한 주민들이 자급자족하는데 필요한 공장설립에 관심과 기도를 당부했다.

김필주 박사(73)는 서울대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코넬대에 진학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 미국의 대표적인 종자회사에서 근무하다 1989년부터 지난 22년간 북한서 농업성과 농업과학원에서 옥수수 재배, 이모작 도입 프로젝트 등에 주력했다. 2004년부터 지금까지는 황해북도에 세 곳, 황해남도에 두 곳 등, 총 다섯 개 농장에서 목화를 비롯해 각종농사를 지으면서 북한이 자급자족사회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강연에 앞서 그는 할 수 있는 만큼 북한 사회가 자급자족하고 편안하게 살도록 만드는 것이 자신의 목적이라 밝히고 “북한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이 많지만, 북한은 우리 동족이고 열심히 살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정치적 입장을 배제하고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북한을 도와야 함을 역설했다.

◈‘우리는 목화를 재배할 수 없나’=옥수수와 같은 식량 재배에만 관심을 갖던 북한은 2004년 그에게 목화 재배를 제안했다. 북한에서는 한국전쟁 후 목화가 소멸되어 2002년까지 중국에서 솜을 들여왔다. 중국은 당시 1톤에 1060달러에 팔던 솜을 2002년부터 2500달러까지 올렸었다. 북한 정부 내에서는 ‘우리는 목화를 재배할 수 없나’라는 탄식이 흘러나왔고, 그 때 거론 된 인물이 김필주 박사다.

“지리적으로나 기후적으로 북한에서는 목화 재배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중국에서 수입하던 솜 가격이 계속 오르니까 북한에서도 대책을 세우기 위해 저한테 건의를 했던 것입니다.”

김 박사는 북한에 맞는 품종을 찾기 위해 중국 사방을 돌아다녔고, 황해북도 봉산군, 황해남도 산천군 등 땅 규모가 총 900만평에 이르는 5개의 농장으로 성장했다. 솜 수확량은 연간 3톤 정도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천동리의 설경이라고 말한 목화밭을 설명하는 김필주 박사ⓒ김브라이언기자

김 박사는 “지난 8년간 4개 농장을 맡아하다가 금년에 농장 하나를 더 줘서 5개를 맡고 있다”며 “땅이 천 만평이고 1만 7천명을 먹여 살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10년 전 남편과 사별한 김 박사는 여전히 1년에 10회 이상 북한을 드나들며 북한의 농사일을 돌보고 있다. 그는 남북관계가 긴장 속에 있지만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식량과 비료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북한이 식량 부족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 김 박사는 북한의 농업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북한이 농업에 허덕이는 이유가운데 첫 번째는 토질이다. 선진국은 요소 비료와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는데 반해, 북한은 산성 화학 비료를 그동안 사용해왔다.

북한 땅은 산성화 되어 지렁이와 같은 미생물이 땅에 살 수 없다. 밭에서 나온 식물의 부산물들을 다시 땅에 집어넣어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하지만 부족한 식량 사정에 다시 집어넣을 부산물도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북한에서도 유기질 비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군, 정부, 당 차원에서 유기질 비료 생산에 중점을 두고 있다.




▲김 박사는 강연 가운데 남북나눔(대표 홍정길 목사)이 지어준 400채의 집도 공개했다. 평양 관리들은 새 집을 보고 천지개벽했다고 감탄했다ⓒ김브라이언기자

또 한 가지 이유는 홍수다. 북한은 1995년 고난의 행군당시 배고픔을 견디기 위해 경사 30도까지 밭을 일궜다. 정부에서도 식량 부족으로 인해 밭을 경작하는 것을 눈감아줬고, 민둥산이 된 밭으로 더 많은 홍수가 발생했다. 발생한 홍수로 인해 이미 제대로 식량을 생산하는 밭까지 못쓰게 됐다.

1998년 부터는 15도 이하의 경사지에만 밭을 만들도록 허용됐고 그 이상 경사지에는 나무를 심으라는 당의 지령이 내려왔다. 김 박사는 "바닷가에 간석지를 많이 만들어 농사를 짓고 있으며 말 할 수 없이 높은 지역에 밭이 형성된 경우도 많다"고 덧붙였다.

김 박사는 북한의 자급자족을 위해 토양의 재생, 농기계와 기자재 지원, 농산물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저장 창고 건축 등이 필요하다고 지원을 요청했다.

그는 “선입견을 가지지 않고 북쪽 사람들을 껴안는 사업가들이 있었음을 좋겠다. 그동안 북쪽에 나쁜 것만 이야기 했는데, 앞으로는 그 사람들을 껴안는 방향으로 가길 바란다”며 “평화 공존과 나아가서는 통일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겠다. 전 지구촌이 함께 사는 곳으로 바뀌어 경제적으로 기술적으로 국제사회가 북한을 도와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19 북한 농업, ‘기술력’이 관건… - 한국농업신문



북한 농업, ‘기술력’이 관건… - 한국농업신문
북한 농업, ‘기술력’이 관건…

박우경 기자 wkpark@newsfarm.co.kr
승인 2019.01.25 20:55


대동강의 기적도 이룰 수 있어
김필주 평양과기대 농업생명과학대 학장
김필주 평양과학기술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교 학장

(한국농업신문=박우경 기자)‘숲속의 한반도 만들기’ 심포지엄에서 남북산림협력과 더불어 남북경협을 위한 특별강연이 진행됐다.

김필주 평양과학기술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은 산림청 심포지엄에서 ‘북한 농업, 임업의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 김필주 학장은 다가올 북한 임농복합경영의 과제로 ‘기술력’을 꼽았다. 그는 “현재 북한은 쌀과 곡물을 재배해도 옮길 수 있는 트랙터가 없어 직접 지게에 이고 옮기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자재, 장비, 기술 분야의 지원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물 관리, 토양 개선 기술력과 해충 관리, 곡물 저장 시설 등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그는 더불어 남북협력으로 우리 유전자원과 종자 다양성을 보존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김필주 학장은 “현재 남북은 서로의 유전자원이 중복돼 있거나 누락돼 있어서 확인할 수 있는 길이 없다”고 토로하며 “남북이 공동으로 빅데이터로 축적된 유전 지도를 만들고 세계에 널리 알려야 나중에 우리가 로열티를 지불하고 남북의 유전자를 사는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주지했다.

끝으로 김필주 학장은 북한의 주요 문제는 식량, 에너지, 보건이라며 이것들은 조금의 기술력이 있으면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한강의 기적을 이뤄냈듯이 북한도 대동강의 기적도 이룰 수 있는 힘을 가진 우리 민족이라는 것을 잊지 말기를 바란다” 며 정부와 민간, 국제사회와 정부가 컨소시엄 등을 통해 꾸준히 협력해 나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7 북녘의 '목화할머니' 김필주 박사 - DailyNK



[통일초대석] 북녘의 '목화할머니' 김필주 박사 - DailyNK

[통일초대석] 북녘의 ‘목화할머니’ 김필주 박사
By DailyNK
-2007.11.18 2:27 오후


“제가 구상하는 대북 농업지원은 친환경 순환농업, 북조선(북한)형 새마을 만들기입니다.”

북한에서 ‘목화할머니’로 불리는 재미동포 김필주(70) 박사는 18일 연합뉴스와 이메일 인터뷰에서 유기질 비료로 토양을 개선하고 꾸준히 종자를 개량해 북녘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도와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박사는 이러한 신념에 따라 지난 18년 동안 대북 농업지원을 펼쳐왔으며 북한 당국으로부터 황해도 내 4개 농장 3천ha(약 900만평)를 임대받아 목화를 비롯한 각종 농산물을 재배하는 동시에 선진 영농기술을 현지에 전수하고 있다.

함경남도 영흥이 고향인 김 박사는 서울대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1962년 미국 유학길에 올라 미시시피주립대에서 종자학으로 석사, 뉴욕 코넬대에서 종자생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후 노트럽킹(현 신젠타), 파이어니어 하이브레드 인터내셔널 등 미국의 유명 종자회사에서 근무하며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을 포함해 각국에 고품질 종자생산 기술을 보급하는 일을 맡았다.

김 박사는 파이어니어사의 기술보급담당 이사로 일할 때 북한의 옥수수 종자개량을 도와 달라는 부탁을 받고 1989년 3월 처음 방북했다.

“방북 제안을 받았을 때는 사실 조금 망설여졌지만 ‘아프리카도 가는데 북한을 왜 못갈까’하는 생각에 방북을 결심했어요. 동물, 특히 젖소 영양학 전문가였던 남편(고 주영돈 박사)과 저는 북한의 농업 개발을 위해 가장 필요한 과제를 연구하고 있었기 때문에 현지에서 환영을 받았습니다.”

김 박사는 당시 일주일 동안 북한에서 “두끼 먹기 운동”, “인민군대를 위한 돼지 두 마리 기르기 운동” 등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북한의 식량사정과 생활 수준이 높지 않다는 것을 체감했고 “어떤 방법으로든 도와야 한다는 막연한 생각을 갖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해마다 두 차례 방북해 미국산 옥수수, 콩, 밀, 보리, 사료작물, 꽃 등 작물의 적응실험을 진행하고 농업서적과 영농 실험기자재 지원도 시작했다. 이때 북한의 농업당국과 함께 일하면서 “북한에서 종자개량 및 생산, 효율적인 유기비료 시비, 정밀도가 높은 농기계 등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도 깨달았다고 한다.

김 박사는 그러던 중 1992년 회사로부터 3년 간 계속해오던 대북 옥수수 적응시험 프로젝트를 중단하라는 지시를 받고 은퇴를 결심, ‘지구촌 농업협력 및 식량나누기운동’이라는 비정부기구(NGO)를 설립하고 미국 내 다른 NGO와 함께 ‘봄보리 이모작 프로그램’, 감자 증산 등 본격적인 대북 농업지원 활동을 펴기 시작했다.

1992년과 1997년에는 북한 농업 전문가들을 미국으로 초청해 미네소타와 아이오와 등 미 중서부 곡창지대의 농업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기업, 대학, 시설을 참관하도록 주선하기도 했다.

“2000년 남편이 별세하면서 마지막 충고가 ‘북한 사역은 혼자 감당하기에 너무 힘든 일이니 그만두라’는 것이었는데..피가 물보다 진해서인지 농업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북녘의 아픔을 뿌리치지 못했어요. 지금은 협동농장 활성화를 우선 순위에 두고 수익성이 높은 농산품 생산으로 지역사회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김 박사는 특히 “18년 간 경험으로 미뤄볼 때 긴급구호 물자로 2300만 인구를 먹인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구호는 일시적인 해소일 뿐”이라며 국가 차원의 종자 개량과 보급사업 활성화, 농장의 고수익 창출 등을 통해 북녘 농민들에게 “비빌 언덕”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박사가 선택한 고소득 작물은 목화로 이미 2004년 1정보당 0.72t, 2005년 1.2t, 지난해 2.3t을 수확했다.

그에 따르면 북한은 오랫동안 중국에서 목화 솜을 수입해 옷감을 짰는데 2002년 중국산 솜 값이 t당 1천60달러에서 1천500달러까지 올라 외화난 속 수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런 시기에 협동농장 운영을 시작한 김 박사가 북한에 잘 적응하는 목화 품종을 들여와 재배를 시작한 것이다.

김 박사가 운영하는 농장에서는 대부분의 수익을 농민에게 분배하고 주거.교육환경 개선, 사회복지, 편의시설, 육아.보건향상 등에 투자해 ‘자립형 농장’을 지향하고 있다.

김 박사는 아울러 “북측은 사료가 부족해 일반 협동농장에서 축산이 활발하지 못하고 퇴비를 만들 자원도 없다”면서 “북녘 산천에 축분(가축 분뇨) 냄새가 진동하도록 해 땅이 살아나게 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남한에서 나오는 축분을 저장, 숙성할 수 있는 시설을 북한에 만드는 것은 “진정한 의미에서 남북이 상생하는 방법”이라고도 했다.

그는 “북측의 실무자나 농민들은 물론 지도층에서도 외부와 농업 협력의 중요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 그들은 오래전부터 종자개량 연구가 활발한 미국과 협력을 원했다”며 “미국도 북한과 정치적인 문제만 해결되면 북한의 종자개량 사업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올해 수해로 농장의 경우 목화 수확이 47~60%, 식량 수확은 20% 정도 줄어들 것 같다”고 안타까워 하면서 남한과 국제사회는 북한이 식량난 해소와 농민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국가적인 정책수립과 농업개발의 마스터 플랜”을 마련하도록 협력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북한은 여건만 허락된다면 어느 발전도상국가보다 빨리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북한을) 부정적으로만 보면 한이 없습니다. 긍정적으로 보고 변해가는 북한에 우리의 힘을 보태야 합니다.”

김 박사는 그러면서 “대북 농업지원 사업은 여생을 바치기로 결정한 사업이고, 이를 위해 언제 어디든 필요하다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정열을 갖고 있다”며 ‘지구촌 농업협력 및 식량나누기운동’에 대한 관심과 후원( 1-703-638-0074)을 당부하는 말을 잊지 않았다./연합

18 강원연구원 북한사회의 변화와 남북강원도 교류협력 : 김필주 교수와 함께



강원연구원



북한사회의 변화와 남북강원도 교류협력 : 김필주 교수와 함께



주최‖주관강원연구원 ‖ 강원연구원 작성일2018-07-19 작성자
첨부파일


▶ 주제
북한사회의 변화와 남북강원도 교류협력 : 김필주 교수와 함께



▶ 목적
-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및 향후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대비, 농업분야의 북한 전문가를 모시고 최근의 북한사회 실상에 대한 이해와 함께 농업분야에서의 남북강원도 교류협력 방안 모색



▶ 포럼대상
30명 내외 (발제 및 토론자, 관계 전문가 등)



▶ 일시 및 장소
강원연구원 1층 대회의실 / 2014.01.28 15:00



▶ 발제자,토론자
발제자
- 김필주 초빙교수(미네소타대)
토론자
- 이관세 석좌교수(북한대학원대학교, 전 통일부차관) / 좌장
- 김동성 박사(경기개발연구원)
- 김번욱 박사(인천발전연구원)
- 김영훈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박영호 박사(통일연구원, 1090평화와 통일운동)
- 변경섭 고문(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 이성노 팀장(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남북 산림 협력: '북한 산림 훼손, 한반도 사막화로 이어져' - BBC News 코리아



남북 산림 협력: '북한 산림 훼손, 한반도 사막화로 이어져' - BBC News 코리아
남북 산림 협력: '북한 산림 훼손, 한반도 사막화로 이어져'

2019년 1월 16일

Image copyrightNEWS 1이미지 캡션이낙연 국무총리가 16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숲 속의 한반도 만들기'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남북한 산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16일 서울에서 개최됐다.

한국 산림청이 '숲 속의 한반도 만들기'라는 주제로 마련한 이 자리에서는 북한의 산림 진단과 남북한 협력 활성화를 위해 어떤 준비와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먼저 홍석현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은 북한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나무가 사용되면서 산림 훼손이 심화됐다며 북한의 산림 재앙이 한반도 사막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북한도 미세먼지 심각... 주민들에게 마스크 착용 당부
북한은 미세먼지로부터 자유로울까?

실제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북한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인구는 26%에 불과했으며 석유와 천연가스 사용 인구는 9%에 그쳤다.

나머지 91%는 나무와 석탄, 동물의 배설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홍석현 이사장은 "굶주린 북한 주민들은 산에 불이 나도 끄지 않았다. 나무가 불타 없어지면 농사를 지을 밭이 생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국의 산림 자원은 지난 40년간 15배 이상 증가했다.

한국의 숲은 2016년 기준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7%를 흡수하고 연간 약 3천100만 톤의 산소를 생산한다.

이는 한국 국민 전체에게 필요한 양의 2.3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국 미세먼지 감소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게 홍 이사장의 설명이다.

"수도권 미세먼지의 15~20%, 나무 등 생물을 태울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42%가 북에서 유입된다. 북한의 산림이 다시 살아나면 미세먼지를 줄일 수가 있다."

홍석현 이사장은 이를 위해 북한 주민이 나무를 보호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적절한 식량과 에너지가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다른 발제자로 나선 문국현 남북산림협력자문위원회 위원장은 북한 국토면적의 73%가 산림이며, 이 가운데 32%가 황폐화 됐다고 진단했다.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백두산과 칠보산, 금강산을 비롯해 백두대간, DMZ등은 잘 보전되어 있지만 그 외 대부분 지역은 민둥산이라는 이야기다.

문국현 위원장은 북한 산림 황폐화는 식량부족과 땔감부족, 산림병해충 때문이라며 산림 복구를 위한 한국 측의 지원을 촉구했다.
백두산에 남북 공동 화산관측소 세운다...대북제재가 '관건'Image copyrightNEWS 1이미지 캡션지난해 11월 소나무재선충병 공동방제 협력을위해 방북한 남측 대표단이 북한 개성시 왕건왕릉 주변 소나무림에서 공동방제와 실무협의를 진행했다

한편 이날 특별강연자로 참석한 김필주 평양과학기술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은 북한에서 가장 심각한 산림 황폐화 지역함경남북도와 황해북도라고 평가했다.

또 북한 당국이 중앙경제시스템을 도입했지만 중앙의 힘이 지방에까지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김필주 학장은 아울러 북한 당국이 양묘장의 현대화, 과학화를 강조하고 있다며 중요한 것은 효율적으로 양묘장을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양묘장을 어떤 방법으로 이용하고 또 어떤 방법으로 심을 것인지, 그냥 산에다 심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앞으로 그것을 유지하고 산림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실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남북한 산림 협력에 강력한 의지를 갖고 있다는 평가다.

김 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산림을 언급한 것은 물론 122호 양묘장을 3번이나 방문했으며 2017년 3월에는 김일성종합대학에 산림과학대학을 신설했다.

전문가들은 산림 복원 분야의 대북제재 해제를 위해서라면 김정은 위원장도 국제사회의 모니터링을 수용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18 [인터뷰이 나우] 김필주 박사, 지난 5월 북한 다녀온 뒤 서울에 체류 근황 알려 - 인터뷰365



[인터뷰이 나우] 김필주 박사, 지난 5월 북한 다녀온 뒤 서울에 체류 근황 알려 - 인터뷰365



[인터뷰이 나우] 김필주 박사, 지난 5월 북한 다녀온 뒤 서울에 체류 근황 알려

이은재 기자
승인 2018.06.29

-재미동포 농학자 김필주 박사, 북한 농업기술 지도 보급에 헌신
-황해도 농장 운영하며 평양과학기술대 학장으로 재임

지난 26일 개최된 조성철 한국사회복지공제회 이사장 이임식 행사에 건강한 모습으로 참석한 재미동포 농학자 김필주 박사/사진=인터뷰365
--------------
[인터뷰365 이은재 기자] 30여 년간 북한을 오가면서 농업 기술지도와 봉사활동을 해온 재미동포 농학자 김필주 박사(81)가 지난 6월 26일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개최된 조성철 한국사회복지공제회 이사장 이임식 자리에 초대받아 모처럼 건강한 모습을 드러냈다.

지난 5월에 북한을 다녀온 뒤 미국 정부가 미국시민의 북한 방문을 허용하지 않아 서울에 머물고 있다는 김 박사는 현재 자신이 설립에 참여한 북한과학기술대의 농생물과학대학장으로 적을 두고 있다.

또 황해남북도에 2천970만㎡의 농장을 인수 운영하면서 대단위 목화재배와 각종 고소득 농산물 생산을 주도 해왔다.

서울 농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에 이주한 뒤 미시시피 주립대에서 종자학, 코넬대에서 작물생리학 박사 학위 취득 후 농산물 종자와 농업기술을 지원하는 NGO단체에서 활동하며 북한 농업기술 지도 보급에 헌신적인 활동을 해왔다.


Tag#김필주#김필주박사#농학자#재미동포농학자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interview365@naver.com

17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Private Company Information - Bloomberg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Private Company Information - Bloomberg




Food Products

Company Overview of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Snapshot

People


Company Overview

  •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produces and supplies plant genetics, and produces seeds. 
  • Its products include crops, such as alfalfa, canola, corn and maize, cotton, inoculants, mustard, pearl millet, rice, sorghum, soybeans, sunflowers, and wheat. 
  • It also provides agronomic support and services to help increase yield and profitability for farmers. 
  •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was formerly known as Hi-Bred Corn Company and changed its name to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in 1970. The company was founded in 1926 and is based in Johnston, Iowa.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operates as a subsidiary of DowDuPont Inc.



7100 NW 62nd Avenue
PO Box 1150
Johnston, IA 50131
United States
Founded in 1926
5,025 Employees

Phone:
888-444-2733
Fax:
515-253-5789

www.pioneer.com

Key Executives For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Mr. Timothy Johnson
Finance Director

Mr. Cornel B. Fuerer
Associate General Counsel

Mr. Michael Patrick
Director of Human Resources

Mr. Jeffrey L. Burnison
Commercial Lead - PROaccess

Compensation as of Fiscal Year 2018.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Key Developments

Dupont Pioneer and Broad Institute of MIT and Harvard Join Forces to Enable Democratic Access to Crispr Licensing in Agriculture
Oct 18 17
---------------
DuPont Pioneer and the Broad Institute of MIT and Harvard announced that they have reached an agreement to jointly provide non-exclusive licenses to foundational CRISPR-Cas9 intellectual property under their respective control for use in commercial agricultural research and product development. These two major CRISPR-Cas9 license holders are coming together with the shared goal of enabling all entities wanting to apply the technology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with a full range of CRISPR-Cas9 tools. Such found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IP) for CRISPR-Cas9 technology will be freely available to universitie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for academic research. Pioneer is a business unit of the Agriculture Division of DowDuPont™.
---
DuPont Pioneer and Evogene Ltd. Announce Multiyear Research Collaboration for Development of Corn Bio-Stimulant Products
Jul 26 17

DuPont Pioneer (DuPont) and Evogene Ltd. announced that they have entered into a multiyear collaboration. The scope of the agreement include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icrobiome-based seed treatments in corn. The goal of the collaboration is to provide farmers with innovative bio-stimulant seed treatment products that protect and maximize corn yield by leveraging each other’s relevant market-leading technologies. Under the terms of the agreement, DuPont will provide access to its extensive seed treatment application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expertise. 


Evogene will apply its predictive computational biology platform to decipher plant/microbiome interactions along with its microbial formulation and fermentation technologies. The combination of these key capabilities increases the opportunity to fully activate the potential of the emerging field of microbiome-based seed treatment products. Ag-biologicals represent a growing approach for driving agriculture productivity and are increasingly adopted by farmers to complement the existing solutions of improved seed traits and crop protection chemistry. The bio-stimulant market is an evolving segment with immense potential and estimated by Markets and Markets™ in 2016 at over $1.6 billion with a projected annual growth rate of approximately 10 percent. Microbiomes are microbial communities that reside on or within the plant's immediate microbial environment 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plant health. Bio-stimulants are agricultural biologic products, which increase crop yield and resilience to environmental (abiotic) stress by enhancing desirable plant characteristics and promoting efficient use of nutrient inputs. By leverag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plant/microbiome interaction, the parties will work to develop a next generation of bio-stimulant products aimed at demonstrating high standards for performance and consistency criteria across a range of corn varieties and global locations. Product development efforts under the collaboration will utilize, as a starting point, Evogene’s proprietary microbe combinations which are already identified and validated in field testing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key crop characteristics, including yield productivity as previously disclosed by Evogene in 2016. The multi-year collaboration has an extension option if certain milestones are met. Pioneer will obtain worldwide marketing rights for any products, with milestone payments and royalties to be paid to Evogene.

1401 VOA 검색 결과 - 김필주 박사 인터뷰 (30분)



검색 결과 - 김필주 박사, 전체, page 1, 전체 기간, 검색결과 10개씩 표시



2014년 1월 24일
'북한의 목화 할머니' 김필주 박사 (3)

함경도에서 태어난 김필주 박사는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뉴욕 코넬대학교에서 작물 생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세계적인 종자개발 기업인 듀퐁 ‘하이브리드 인터네셔널’에서 종자학 연구실장으로 활동하던 중, 강냉이 품종 개발을 도와달라는 북한측의 부탁을 받고 1989년 북한을 방문하게 됐다. 이후 북한에 이모작을 전파하고 협동농장을 운영하며 북한의 농업 기술 발전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11년에는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의 ‘세계를 움직이는 여성 1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

2014년 1월 17일
'북한의 목화 할머니' 김필주 박사 (2)

함경도에서 태어난 김필주 박사는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뉴욕 코넬대학교에서 작물 생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세계적인 종자개발 기업인 듀퐁 ‘하이브리드 인터네셔널’에서 종자학 연구실장으로 활동하던 중, 강냉이 품종 개발을 도와달라는 북한측의 부탁을 받고 1989년 북한을 방문하게 됐다. 이후 북한에 이모작을 전파하고 협동농장을 운영하며 북한의 농업 기술 발전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11년에는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의 ‘세계를 움직이는 여성 1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
=
2014년 1월 10일
'북한의 목화 할머니' 김필주 박사 (1)

함경도에서 태어난 김필주 박사는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뉴욕 코넬대학교에서 작물 생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세계적인 종자 개발 기업인 뒤퐁 ‘하이브리드 인터네셔널’에서 종자학 연구실장으로 활동하던 중, 강냉이 품종 개발을 도와달라는 북한 측의 부탁을 받고 1989년 북한을 방문하게 됐다. 이후 북한에 이모작을 전파하고 협동농장을 운영하며 북한의 농업 기술 발전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11년에는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의 ‘세계를 움직이는 여성 150인’에 선정된 바 있다.



===
2011년 3월 10일
대북 농업지원가 김필주, “4월까지 대북 비료 지원 시급”

문) 

김필주 박사님 뉴스위크’ 잡지에 의해 세계를 움직이는 여성으로 선정되신 소감이 어떠십니까 
하찮은 일을 하고 있는데 너무 영광스럽게 생각이 되고요, 추천해주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아직도 북쪽의 2천3백만 동포들이 식량 안정이 안 돼서 애를 쓰고 있는데 제가 이렇게 이런 상을 받아도 되는지 좀 걱정이 되네요






대북 농업지원가 김필주, “4월까지 대북 비료 지원 시급”
2011.3.10
공유
미국의 유력 주간잡지인 `뉴스위크’가 최신호에서 북한에 농업기술을 전수하고 있는 한국계 김필주 박사를 ‘세계를 움직이는 여성 150인’의 한 명으로 선정해 소개했습니다. 이 잡지는 김 박사가 “작물 생산 뿐 아니라 북한의 농부들에게 안정적인 보금자리와 자녀교육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함경도가 고향인 김 박사는 올해 74살로, 한국의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한 뒤 20대에 종자학을 공부하기 위해 미국으로 유학 왔습니다. 이후 국제 기업들에서 일하면서 세계 각국에 종자기술을 보급했고, 1989년에 옥수수 종자 개량사업을 통해 북한과 처음 인연을 맺었습니다. 조은정 기자가 김필주 박사를 인터뷰 했습니다.


문) 김필주 박사님. `뉴스위크’ 잡지에 의해 세계를 움직이는 여성으로 선정되신 소감이 어떠십니까?

답) 저도 놀랐습니다. 하찮은 일을 하고 있는데 너무 영광스럽게 생각이 되고요, 추천해주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아직도 북쪽의 2천3백만 동포들이 식량 안정이 안 돼서 애를 쓰고 있는데 제가 이렇게 이런 상을 받아도 되는지 좀 걱정이 되네요. 앞으로 좀 더 열심히 도와야 된다는 뜻으로 알고 받습니다. 사실 저는 다리 역할만 했지 저를 지원해주신 많은 미국 분들과 재미교포 분들과 한국 분들에게 감사 드립니다.

문) 박사님께서는 2004년부터 황해도에 협동농장들을 운영하고 계신데요. 무려 3천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대규모 농장인데, 어떻게 운영하고 계십니까?

답) 북쪽의 무역회사 하고 저희들이 같이 정부로부터 농장을 임대를 받았어요. 앞으로 계속해서 같은 농장을 도우면서 자급자족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수익성이 있어야 할 것 아닙니까? 수익성 있는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주민들을 격려하고 거기서 나오는 수익은 절대로 제가 밖으로 가져 나오지 않고 다시 농장을 위해 쓸 수 있도록 약속이 돼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저희가 전적으로 기자재나 모든 것을 충당하고 그 농장에서 나오는 것들을 농민들을 위해 쓸 수 있도록 허가를 맡았습니다.

문) 수익성 말씀을 하셨는데, 어떤 작물을 주로 재배하고 계십니까?

답) 지금 현재로는 우리가 주로 목화를 생산합니다. 목화를 천 정보(천만 제곱미터) 생산하는데요 정부에서 구매를 해갑니다. 경공업부에서 솜을 실로 짜고 옷감도 짜고 하는데 사용하게 됩니다. 수매할 때 공정가격으로 환산해서 내국환을 받습니다. 그걸 농민들에게 나눠주죠. 농민들은 수익이 되죠

문) 후원하시는 농장에 농민이 1만5천 명 있는 걸로 아는데요,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하나요?

답) 많이 된다고 합니다. 그 전에 비해 굉장히 윤택하다고 합니다. 나머지 2천 정보에서, 1천 정보는 곡물을 생산할 수 있는 땅이고 과수원도 있고 채소밭도 있고 여러 가지가 있는데 거기에서 나오는 곡물들도 농민들이 사용을 하고 그래서 나은 것 같습니다.

문) 협동농장 후원을 위한 자금은 어떻게 조달하고 계십니까?

답) 주로 교단이라던가 교회라던가 사업체라던가 개인한테 북한의 실정을 말씀 드리고 세미나도 하고 지원을 받습니다. 대개는 미국 교단들이 많이 돕습니다. 작은 교단들이 많이 돕습니다.

문) 북한을 둘러싼 정치적 상황이 모금 활동에 영향을 주나요?

답) 많이 있습니다. 정부에서 제재를 하면 개인이나 회사는 굉장히 주저합니다. 기존에 지원을 하던 분들도 많이 중단하십니다. 지난 2년 동안은 참 힘들게 일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몇 개 작은 재단은 계속 저희를 돕기 때문에 그걸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문) 최근에는 언제 북한을 다녀오셨습니까?

답) 2월 19일에 나온 것 같습니다. 일주일 있었습니다. 1년에 여덟 번에서 열 번은 가는 것 같습니다.

문) 북한을 자주 방문하시니까 현지 실정도 잘 아실 텐데요. 요즘 북한의 식량 상황이 매우 어렵다고 하는데, 예년에 비해 어떻습니까?

답) 식량 상황은 예전에 비해서 어려운 것 같습니다. 왜냐면 작년에 농사가 잘 안됐습니다. 초기에 굉장히 추웠어요. 오랫동안 그래서 봄에 발아율도 저조했을 뿐아니라 초기 생육도 늦은 데다가 또 후기에 비가 많이 왔었습니다. 그래서 추수가 늦어진다거나 추수 하다가 비를 맞는다거나 그래서 추수 후 곡물을 잃어버리는 것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작년에는 좀 어려운 작황이었습니다.

문) 비료도 많이 부족했다지요?

답) 비료를 그 전에는 남쪽에서 많이 지원을 했었는데 비료가 없어서 특히 북에는 복합비료가 딸립니다. 질소비료는 좀 생산을 하는데요. 또 유기질 비료가 많이 필요합니다. 작년부터는 그게 부진해서 열심히들 일합니다. 옛날보다 유기질 비료를 많이 만들어 내느라고 국가에서도 장려는 하고 농장에서도 열심히는 하는데 기초자원이 없다 보니 들어가는 것이 적어서 작황이 좋지 않았습니다. 식량이 부족하니까 밭에 나가 일하는데 지장이 많기 때문에 많은 자선단체들에서 식량 지원을 좀 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문) 농사철을 감안할 때 비료 지원이 언제 이뤄지는 것이 좋습니까?

답) 사실은 3~4월까지는 들어가야 합니다. 보통 3월에 춘경을 하고, 하지 않은 데서는 4월에서 5월 초순에 심습니다. 아무리 늦어도 4월까지는 비료가 들어가야 합니다.

문) 김 박사님은 북한 최초의 국제대학인 평양과학기술대학의 초대 농대 학장직도 맡고 계시는데요. 최근 과기대 수업이 시작됐죠?

답) 네. 금년에 이번 학기부터 한 과목 가르칩니다. 금년 3월부터는 전문과목 한 과목에 영어를 계속 가르칩니다. 아직도 농대는 기자재라던가 그런 것들이 많이 부족해서 힘들게 준비하느라 애를 쓰고 있습니다. 이번에 가르치는 것은 유전 쪽에 미국 교수가 교육을 하게 됩니다. 앞으로 계획으로는 첨단교육을 가미한 농업발전을 위해, 유전자 지도라던가 이런 것들을 만들어서 기초작업을 시작하려 합니다. 또 실험실에서 연구한 것들이 현장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습니다.

문) 평양과기대는 수재들만 모였다고 하던데요.

답) 아주 영리하고 발랄하고 서양 교수님들이 더 반했습니다. 자기들이 발전도상국가라던가 동구권 국가들에서 일할 때 보면 학생들이 우울한 걸 많이 봤는데 이 학생들은 너무 발랄하데요. 선생님들이 굉장히 좋아하네요. 굉장히 빨리 배우고. 성격이 좋다고 해요. 부지런하고.

문) 마지막으로, 북한의 식량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이뤄져야 할까요?

답) 도울 수 있는 나라들이 좀 더 크게 도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북쪽에 농업이 좀더 개선되지 못할 이유가 하나도 없거든요. 근데 너무 기자재가 부족하고 지금까지 땅에 대한 유기질 비료나 이런 것들이 투입되지 못했고, 전기가 부족하니까 생산 가공하는 것이 부족하고. 여러 여건이 맞물려 돌아가니까 좀 더 많은 투자가 한꺼번에 많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문) 김 박사님, 오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답) 감사합니다.





==
2008년 5월 22일
[인터뷰] 김필주 평양과기대 농대 학장

북한 최초의 국제대학인 평양과학기술대학이 초대 농대 학장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농업전문가이자 대북 지원 사업가인 미국 미네소타대학의 김필주 교수를 임명했습니다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지난 1962년 문: 김필주 교수님, 이번에 평양과학기술대학의 초대 농대 학장으로 임명되셨는데요, 앞으로의 계획을 좀 소개해 주십시요
AUTHOR:
김근삼


[인터뷰] 김필주 평양과기대 농대 학장
2008.5.22

김근삼
공유

오는 9월 개교 예정인 북한 최초의 국제대학인 평양과학기술대학이 초대 농대 학장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농업전문가이자 대북 지원 사업가인 미국 미네소타대학의 김필주 교수를 임명했습니다.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지난 1962년 미국으로 이민 온 올해 71살의 김 교수는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에 부족한 기자재를 도입하고, 해외인력을 확보해 식량 증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또 북한의 만성적 식량부족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당분간 한국 정부의 비료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김근삼 기자가 김필주 학장을 인터뷰했습니다.

문: 김필주 교수님, 이번에 평양과학기술대학의 초대 농대 학장으로 임명되셨는데요, 앞으로의 계획을 좀 소개해 주십시요.

답: 평양과기대는 오는 9월에 개교할 예정인데, 아직 학교를 열지 않았으니까 저희는 설립 학장으로 돼 있습니다. 농대는 박사원 수준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첨단 과학기술을 이용한 농업 증산, 새로운 품종 개발, 생산성 문제, 경영 방법 등 여러 가지를 연구할 생각입니다. 또 되도록이면 미국이나 외국에서 첨단기술을 연구하는 농학자들이 많이 참석해서 강의도 하고, 실험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농업개발에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라고 또 그런 방향으로 채용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문: 북한에는 기존의 농업 연구기관들이 있는데요, 평양과기대는 이런 기관들과 차별화해서 어떤 성과를 기대하고 있습니까?

답: 기존 연구기관도 학술적으로는 참 앞서 있습니다. 하지만 기자재가 부족하기 때문에 오는 한정된 부분이 있는데요. 그래서 그런 것들을 보완해 가면서 또 북한 학자들이 함께 힘을 합해서 새로운 방향으로 강의를 하려고 합니다.

문: 김 교수님은 미국에서 오래 산 재미 한국인으로써 이번에 평양과기대에 참여하면서 남다른 감회가 있을 것 같습니다.

답: 같은 동족이고, 또 우리가 미국에서 첨단이라면 첨단인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니까, 되도록이면 우리가 배운 것들을 같이 가서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많았으면 합니다. 사실은 북한에 계신 분들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는 지식사업에 많이 공헌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외국에서 하는 것 같은 실험 기자재를 갖고 좀 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사업이 진행됐으면 하고, 또 그것이 식량생산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문: 김 교수님은 북한 정부의 협조를 받아서 협동농장을 크게 운영하고, 또 목화재배에서 좋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압니다. 좀 소개해 주시죠.

답: 저는 비정부기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구촌농업협력 및 식량나누기운동’ 이라는 기구인데요. 2003년에 농장을 네 개를 맡아서 운영하기로 북한 정부로 부터 허락을 받아서 시작했습니다. 그 때 마침 중국에서 사오던 솜 값이 너무 올라서 목화를 재배해보라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알아본 결과 북한에서도 재배할 수 있는 품종이 있어서, 다행히 목화 농사를 올해로 5년째 짓고 있습니다. 저희가 처음에는 정보당 0.72t을 수확했는데, 둘째 해에는 1.2t, 셋째 해에는 2.3t, 작년에는 홍수가 나서 작물을 많이 잃어버렸습니다. 그래서 수확량이 많지 않아서 1.6t 정도 했구요. 올해는 3t에서 3.5t 정도 해보겠다고 농민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문: 농장이 황해도에 있죠?

답: 황해북도 봉산군에 2개가 있고, 황해남도 함천군에 2개가 있습니다.

문: 요즘 북한의 식량 사정과 농업 현황에 대해 우려섞인 목소리가 있고, 여러 가지 분석들이 있습니다. 북한에 오랫동안 도움을 주신 농업 전문가로서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난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답: 저는 비관적으로만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제가 협동농장을 운영하면서 느끼는 것은 기자재를 제대로 쓰고 기술적인 면에서 개선을 하면, 그렇게 어렵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첫째는 북한의 땅이 굉장히 노화됐는데 유기질 비료가 부족합니다. 그래서 유기질 비료를 투입하면서 복합비료를 주면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자재가 없으니까 많은 경우 순전히 인력에 의존하는데, 그 것도 기계화하고 또 효율적인 기계화 방법을 쓰면 식량 사정이 지금보다 많이 개선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올해는 남한에서 50만t씩 지원하던 비료가 들어가지 못했기 때문에, 저는 올해 농사에 대해 참 많이 걱정을 합니다. 제 생각에는 남한에서 인도적인 차원에서 비료는 계속 보내야 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문: 비료는 시기가 늦었다는 의견도 있지 않습니까?

답: 시기가 좀 늦었습니다. 하지만 아무 것도 없는 것보다는, 복합비료는 늦은 것 같고 요소비료라도 좀 들어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문: 유기비료를 확보하기 위해 북한이 축산업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고, 기자재 구입을 위해서는 근본적인 경제 개선이 우선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김 교수님은 어떤 제언을 하시겠습니까?

답: 축산 도입이 참 중요합니다. 하지만 축산을 도입하려면 시간이 걸립니다. 그 때까지는 남쪽에서 유기비료를 지원해야 합니다. 남쪽에서는 유기비료를 많이 생산하고, 또 유기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축산 폐기물이 많이 나옵니다. 그러니까 이런 것들을 비료화해서 북한에 보낼 수 있도록 양측의 합의가 빨리 이뤄져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김근삼 기자가 오는 9월 개교 예정인 평양과기대 초대 농대학장으로 임명된 김필주 교수를 인터뷰했습니다.

==
2007년 11월 7일
북한 농업 재건 위해 토질 개선과 종자 개발 시급

남북한은 최근 평양에서 양돈 협력사업을 벌이기로 합의하는 등 지난 북한의 옥수수 종자 개량사업을 시작으로 북한의 농업 발전을 위해 힘써 온 김필주 박사는, 6일 워싱턴에서 재미 한인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열고 

북한 농업의 현황과 과제에 
김필주 박사는 지난 2001년부터 북한 황해도의 4개 리에서 협동농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북한 농업 재건 위해 토질 개선과 종자 개발 시급
2007.11.7

남북한은 최근 평양에서 양돈 협력사업을 벌이기로 합의하는 등 지난 2년 간 중단됐던 농업 분야 협력을 다시 활성화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농업 현장에서 20여년 간 지원 활동을 펼쳐온 한 전문가는, 현재 북한은 토양 개선과 종자 개량 등 전반적인 농업 기반 복구가 시급한 실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조은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북한은 오랫동안 척박한 토양에서 낙후된 종자로 씨름해 왔으며, 재원 부족으로 농업 개혁을 꾸준히 추진하지도 못하고 있다고 북한의 농업 현장에서 20년 간 활동해 온 한국계 미국 전문가가 밝혔습니다.

지난 1989년 북한의 옥수수 종자 개량사업을 시작으로 북한의 농업 발전을 위해 힘써 온 김필주 박사는, 6일 워싱턴에서 재미 한인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열고 북한 농업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김 박사는 북한의 농업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척박한 토양을 개선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동안 금비, 즉 화학비료를 남용해 산성화 된 토양을 유기비료를 이용해 복구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첫째는 유기비료를 퍼부어야 하는 형편입니다. 제가 우스갯 소리로 하는 말이, 남한의 모든 축분을 산야가 코를 들 수 없을 만큼 만들어야 북한 땅이 재생할 것입니다.”

김 박사는 북한 농토 개선 노력의 해답은 남북한이 조만간 추진할 양돈 협력사업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축산업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현지에서 구하기 힘든 유기비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축산업을 도입하는 건 중요합니다. 남쪽에서 유기질 비료를 가져갈 수 있으면 되는데 북에서 잘 받아주지 않고 그러니까 축산을 도입해서 축분을 이용한 유기비료 생산을 시작해야 하니까 그런 것도 중요한 것 중 하나입니다.”

김 박사는 북한의 농업에서 토양 개선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우성종자 개발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국제사회를 상대로 농업 교류를 하지 못하고, 주로 동유럽 국가들과만 협력을 추진한 결과 종자 보급처가 제한되고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김 박사는 평가했습니다. 따라서 종자 개발을 위해서는 국제기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다른 발전도상국가가 가장 먼저 하는 것이 종자 증식과 종자 정선입니다. 북한도 이것이 굉장히 필요해서 Asia Bank나 World Bank에서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김 박사는 국제금융기구의 재정 지원은 북한의 농업 재건을 위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정부 역시 종자 개발이나 유기질 비료 증산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과거에 이를 위한 중단기 계획을 세웠지만 이를 꾸준히 추진할 재원이 부족해서 중도에 포기했다는 것입니다.

김 박사는 전반적으로 북한은 평작 농사를 지어도 자급자족을 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전했습니다. 북한에서 한 사람이 세 끼를 다 먹는다고 가정할 때, 하루에 필요한 곡물은 7백~8백 그램 정도이고 전체 국민으로 따지면 1년에 총 6백만t이 필요하다고 김 박사는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농사가 잘 되는 해에도 고작 4백~4백50만t의 곡물만이 생산되기 때문에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지원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김 박사는 처음 북한에서 농업발전을 위한 활동을 시작했을 때와 비교하면, 지금은 변화된 남북관계를 현장에서 온몸으로 체감한다면서, 한국과 국제사회가 북한 농업 재건을 위해 다방 면에서 적극적으로 지원에 나서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비료 지원과 같은 경우는 농사철에 때맞춰 보내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김필주 박사는 지난 2001년부터 북한 황해도의 4개 리에서 협동농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북한 정부로부터 50년 간 땅을 임대받아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김 박사는 한달에 두번 정도 현지를 방문해 현지인들에게 농업 기술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
2007년 11월 7일
[뉴스 초점] 11-07-2007

최)네, 북한 농업 전문가인 김필주 박사가 최근 워싱턴에서 강연을 했는데요, 북한을 자주 방문하는 김박사는 기본적으로 북한이 식량을 자급자족하기 힘든 구조라고 지적했습니다 김박사에 따르면 북한이 한 해 필요한 식량은 6백만톤인데 산이 많고, 영농 기술이 낙후돼 아무리 노력해도 4백만톤이상은 부족하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