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February 23, 2019

공중위생



공중위생




공중위생



[ 公衆衛生 ]
요약 지역사회나 학교, 공장 등의 집단에서 구성원들의 질병예방, 건강유지, 생명연장을 위해 행하는 조직적인 위생활동.

공중위생의 대상집단은 지역사회, 학교, 직장(공장) 등이다. 그 내용은 상수도·하수도에 대한 환경위생, 공해에 대한 대책, 전염병과 질병의 예방, 위생교육, 모자보건, 학교보건, 산업위생, 정신위생, 사회보장 등으로 광범위하다. 근대 공중위생의 역사는 산업혁명 이후 근대 자본주의사회의 성립과정에서 국민의 질병과 건강을 사회문제로 생각하고 국가의 책임하에 이를 개선해 나가려는 노력에 의해 발전되었다. 1601년 영국의 구빈법(救貧法) 제정은 빈곤으로 대표되는 복지, 건강의 후진성을 처음으로 국가의 과제로 받아들였다는 의미에서 공중위생 활동의 선구라고 할 수 있다. 당시 영국은 산업혁명을 통해 비약적인 국부(國富)는 이루었으나 이 과정에서 대량으로 생성되어 도시로 유입된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조건과 생활환경으로 인한 콜레라, 결핵의 확산으로 높은 사망률과 평균수명의 단축이라는 문제에 직면한다. 이때부터 건강의 사회문제화와 위생개혁운동이 확산되었고, 1824년에 작성된 E.채드윅의 <노동계급의 위생상태에 관한 보고>를 기초로 1848년 세계 최초로 공중위생법과 보건국이 창설되었다. 그 후 L.파스퇴르와 R.코흐에 의해 예방접종, 멸균처리 등 세균학적 연구의 성과로 공중위생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한국에서는 조선 후기인 1894년에 내무아문(內務衙門) 안에 위생국을 두어 전염병 예방, 종두(種痘), 소독, 검역, 의약, 가축, 도장(屠場), 묘지 등의 사무를 관장케 하였던 것이 최초의 근대적 위생행정이다. 1895년에는 위생과와 의무과를 두어 의사, 약제사에 관한 일과 매약(賣藥)의 관리 및 조사에 관한 일도 관장하였고, 부설기구로 우두종계소(牛痘種繼所)를 설치하여 두묘(痘苗:종두접종액)를 만들었다. 1908년 위생시험소를 증설하여 세균검사, 혈청제조, 음식물과 식기의 화학 검사 등 근대적인 보건행정을 시행하였다. 현대의 공중위생은 주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각 시·군에 보건소를 두어 운영하고 있다. 1961년에 제정된 공중위생법과 1967년에 제정된 학교보건법은 공중위생을 위한 활동을 법으로 확립한 것으로,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국민보건을 위한 위생수준의 향상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참조항목

모자보건, 보건소, 산업위생, 환경위생, 학교보건법

역참조항목

우두, 공중보건, 위생, 공중위생관리법

카테고리
의학 > 건강 및 보건위생 > 건강 및 보건위생일반


[네이버 지식백과] 공중위생 [公衆衛生] (두산백과)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