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January 31, 2020

PEOPLE ARE THE SKY | By Dai Sil Kim-Gibson | Pacific Affairs



PEOPLE ARE THE SKY | By Dai Sil Kim-Gibson | Pacific Affairs
FILM REVIEWS

VOLUME 91 – NO. 1


PEOPLE ARE THE SKY | By Dai Sil Kim-Gibson

New York: Women Make Movies, 2015. 1 DVD (94 min). US$395.00, universities, colleges, and institutions; US$89.00, K-12, public libraries, and select groups. In Korean and English, with English subtitles. 

URL http://www.wmm.com/filmcatalog/pages/c935.shtml.

People Are the Sky is a very personal film, and is better for it. Filmmaker Dai Sil Kim-Gibson was born in Sinch’ŏn, in present-day North Korea, during the colonial era. With her family, she came south to Seoul in 1945. After first leaving Korea for her doctoral studies in 1962, she decided after a brief experience of the repression of the Park Chung Hee government in 1970 to settle permanently in the United States. There she met and married her husband Don Gibson, with whom she eventually lived in his natal Iowa until his death in 2009. Kim-Gibson’s sorrow and her love for Don frame and suffuse the film. The title is something of a mobile metaphor throughout, but its first referent is the love Don had for the open Iowa sky and the open love he had for people, and the love for others that Kim-Gibson herself experienced with and through him.

In 2013, Kim-Gibson made a journey first to Seoul and then onwards to P’yŏngyang and finally to her hometown of Sinch’ŏn. People Are the Sky intersperses a chronicle of this trip with archival footage, over which Kim-Gibson narrates her own memories of important moments in modern Korean history, as well as interviews with scholars and activists i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eventually, North Korea. Many of these figures are quite well-known authors in the field: Charles Armstrong, Bruce Cumings, Suk-Young Kim, Kim Dong-choon, and Hwang Sok-yong, for instance, all make significant appearances. As a result, the film offers both a personal and a critical-scholarly review of important turning points in modern Korean history, from colonialism and its end to the US-Soviet occupation, division, the Korean War, postwar development, and political shifts in both South and North. One could do much worse than to show this film in a classroom or public education setting as an introduction to how the Koreas became divided and why they have stayed that way, along with connected issues such as the ongoing US military presence in the South, human rights, and the North Korean famine of the 1990s.

Yet to watch People Are the Sky only as a critical documentary would be to miss much of what is moving and important about it. At one point, Kim-Gibson makes a short narrative detour to discuss the nineteenth-century Korean indigenous new religion of Tonghak. At first, this struck me as an odd tangent in a film otherwise concerned with the present and more recent past—and in truth, the significance of the moment may be lost on many audiences. But as she goes on with her explanation, it becomes clear that through her journey and through the film itself she seeks to embody the Tonghak belief in innaech’ŏn, the immanence of heaven in humanity. People, once again, are the sky. Kim-Gibson brings this deep humanism to her encounters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She is at once a forward, vivacious, and sympathetic interviewer of ordinary people. For example, while her scholar and activist interlocutors present a critical evaluation of US aims in South Korea since 1945, when she interviews ordinary people she allows the diversity and ambivalence of South Korean opinion on the ongoing US military presence to come forth. She seeks out children in public places when she has the chance, making older ones practice their English, addressing younger ones with the sort of patter familiar from many a Korean grandmother (“What’s your name?” “How pretty!”).

Indeed, who Kim-Gibson is both socially and personally and thus the character of her rapport matters a great deal to the high quality of People Are the Sky, and makes it stand out from other films that promise—the trope itself is tired—a glimpse into North Korea. She possesses a common historical experience and social intimacy with many of the people she interviews, and at moments takes advantage of the sort of social license accorded older women in Korea. When she asks older people about their lives during the war, they open up to her as someone who shared the same tragedy. When she goes to a North Korean veterans’ event and talks with one old soldier, it is the mutual emotional catharsis of liberation in 1945 that comes through over and above his glorification of the role of Kim Il Sung. And when, in a P’yŏngyang park, her minder curtails her attempts to ask questions of schoolchildren (the mediation of her trip by guides and minders is addressed quite directly), Kim-Gibson is annoyed but also has a laugh with him in a way that releases the ideological tension of the moment by asking one final inappropriate question to someone she recognizes as doing his job. May I talk to those trees over there, and are there questions I should not ask? Notwithstanding the painful history the film explores, Kim-Gibson’s warm humour is prominent. She makes self-deprecating jokes about her wild hair, and invites others to join in. “Fashionable,” one old North Korean woman finally says, and everyone laughs; Kim-Gibson crows in triumph to her guide.

When she finally gets to Sinch’ŏn, she recognizes little from her youth. She is taken to another North Korean memorial to another act of American malfeasance, the Sinch’ŏn Massacre of 1950, and joins a site interpreter, whose family was killed there, in a wider sorrow for the human losses of the period. But then she goes to another park and meets more children there, on a school trip from across the country, and has with them the easy dialogue she was unable to have in P’yŏngyang. Shortly after, she goes to Kŭmgang Mountain, and is surprised by how hard the climb is, but is patiently assisted by her uncomplaining guide for the hours up and down. From these last incidents Kim-Gibson arrives at a heartfelt, if not unexpected, conclusion: her home place may be gone, but she shares the sky with North Korea’s people. As a historical film, People Are the Sky is excellent; as a work of art, it is beautiful.

Robert Oppenheim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stin, USA

pp. 219-221


---

IMDB reviews

https://www.imdb.com/title/tt4074360/reviews?ref_=tt_urv



People are the Sky (2014)
User ReviewsReview this title


2 Reviews
Hide Spoilers
Sort by:
Filter by Rating:
8/10

People are the Sky, by Korea-born American filmmaker Da- Sil Kim-Gibson, is a film about her journey back to her childhood hometown in North Korea. Goes into the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 the Korean War, and the devastation of North Korea by the US-led military in 1950s. Of course the filming in North Korea was highly restricted and she was chaperoned wherever she went, so but still she manages to capture the humanity of North Korean people and the connections she made with them during her journey. Great interviews with Korea experts, including Columbia Professor Charles Armstrong, and Chicago U Prof Bruce Cumings. After the film screening, we had a Skype interview with the filmmaker (she is based in NYC) and she told us that she sold a property she and her husband owned to make this film. She is now 75 years old. Talk about dedication!
0 out of 0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Sign in to vote.
Permalink

5/10

At its best, People Are The Sky is a touching personal story about the director's experience fleeing North Korea as a child during the Korean war and returning many years later to find a very different place, plus a revisionist history of how U.S. military & political actions created two Koreas, one of which hates the U.S. to this day, at least part due to bombings of civilians during the Korean War.

Unfortunately, only half the film is spent on those subjects. The other half, unfortunately is mired with an unfortunate & deeply misguided apologia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cluding a naive acceptance of the Potemkin Village production that North Korean officials put on for the director's benefit and the attempted pitch of a (false) moral equivalence between the totalitarian dictatorship of North Korea that controls every aspect of people's lives and the various faults of the US criminal justice system.

The film starts a bit slow, going over both the director's personal history and the modern history of North & South Korea. It takes quite a while for the director to even get to North Korea, which is the main selling point of this film. Once the director enters North Korea, it seems as though she is not going to take things lying down from the North Korean guides, sparring with them rather feistily, and being repeatedly instructed to stop asking certain questions.

But after awhile, the director seems to relent to the demands of the guides and the remainder of the film becomes what the North Korean regime wants you to see, featuring interview after interview with people conspicuously wearing pins with pictures of the Great Leader or the North Korean flag. She visits a Potemkin (and gov't run) Christian church in Pyongyang, interviews a gov't bureaucrat who denies that anything is amiss and talks about how the People's palace is built above the government buildings in Pyongyang because the government must look up to the people, tours the locations of several alleged "massacres" of North Koreans committed by Americans (and uncritically quotes the regime tour guides at each location without providing any context or rebuttal), meets the widow of a party politico who has fond memories of how they met, and visits a happy upper middle class couple who chat happily about having 24-hour free day care, and how the wife works a job and the husband sometimes cooks dinner. "Equality!" beams the director, ignoring the horrors visited upon so many other couples by the regime.

There is even a short section of direct apologia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abuses where the director concludes that racial justice issues in America really make North Korea no worse than the US.

After the screening of the film, the director was asked about why she didn't show more of the negative parts of North Korea. She explained that the gov't-supplied "guides" (in reality, censor-chaperone regime information officers) controlled where she could go. But then, rather than talking about how this was a problem, she said she didn't understand why so many people thought it was such a problem to have a guide help show you around an unfamiliar country. That pretty much says all that needs to be said about the credulity with which she approached this project.



Last Revised: June 25, 2018

19 Transitional Justice Working Group 전환기 정의 워킹그룹


TJWG: Transitional Justice Working Group 전환기 정의 워킹그룹
11 May 2019 ·


한국 내 18개 북한인권단체들은 지난 9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3차 북한 인권에 대한 보편적 정례검토(UPR)를 실시간으로 지켜봤습니다.

북한인권단체들은 ‘인권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북한 대표부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며 북한 주민들이 겪는 인권 유린 실태와는 동떨어진 주장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권고를 받아들여 북한 주민들의 실질적인 인권 개선을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는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 대표단의 발언은 실제 북한에서 벌어지는 열악한 인권 상황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며 “북한 대표단의 거짓 주장을 대북 방송 등을 통해 북한 주민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태성 제네바 주재 북한대사를 비롯한 북한 대표단은 “현 대북제재가 북한의 인권 증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북한에는 정치범수용소나 강제노동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권은경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 사무국장은 ‘대북제재가 인권 개선의 걸림돌’이라는 북한의 주장에 대해 “북한 당국의 희망사항이 담긴 발언”이라며 북한이 제재 해제 요구에 앞서 인권 개선을 위한 국제사회의 권고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권은경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 사무국장: 정령 북한당국이 대북제재를 해제하고 싶으면 국제적으로 인권 대화에서 전향적이고 진지한 태도로 임하고 실질적인 주민들의 생활 개선에 영향이 가는 조치들을 취해야합니다. 또한 비핵화 절차를 진지하게 밟으면서 제재 해제까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성호 나우(NAUH) 대표도 ‘정치범수용소가 없다’는 북한의 주장에 대해 “지금 이 순간에도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에서 죽어가는 북한 주민들이 있다”며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지성호 나우(NAUH) 대표: 북한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현재 대한민국에 와서 살고 있는 많은 탈북자들이 정치범수용소에서 받았던 고통에 대해 어떻게 답변을 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저 이야기를 하고 있는 당사자들이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정치범수용소를 방문해서 보기를 촉구하는 그런 마음이 있습니다.

북한 인권에 대한 한국 정부의 소극적인 문제 제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 인권에 대한 이번 정례검토에서 북한이 고문방지협약과 인종차별철폐협약에 가입할 것을 요구하면서 이산가족 문제 그리고 납북자와 국군포로 문제도 해결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신희석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법률분석관은 납북자와 국군포로 문제에 대해 “대한민국 국민이 납치된 문제는 헌법상 재외국민 보호 의무와 인권보호 의무를 감안할 때 한국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문제제기를 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가 1969년 대한항공기 납치사건에 대해 언급한 우루과이와 납북 피해자인 황원 씨의 이름을 거론한 아이슬란드처럼 구체적인 내용을 적시해야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Play



-3:22
Additional visual settingsEnter Watch and ScrollClick to enlarge

Unmute














367 Views

Radio Free Asia Korean
10 May 2019 ·


북한인권단체들, UPR실시간 모니터링... "북, 국제사회 권고 받아들여야" #북한인권


11Hwang Cheol, 박주완 and 9 others

1 sha
re
Comments
Write a comment...

19 文에 “北인권 직시” 촉구한 對北단체 해킹 시도 - munhwa.com



文에 “北인권 직시” 촉구한 對北단체 해킹 시도 - munhwa.com

文에 “北인권 직시” 촉구한 對北단체 해킹 시도
2019년 12월 19일(木)

ICNK국장 이름 도용 이메일
첨부파일 클릭 유도하는 수법
단체 측 “北소행 가능성 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북한 인권문제를 직시하라는 공개서한을 보냈던 북한 인권단체 인사들을 겨냥한 이메일 해킹 시도 사건이 발생해 배후에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해킹 공격을 받은 북한 인권단체는 전문가에게 분석을 의뢰해 누가 어떤 목적으로 이 같은 해킹 공격에 나섰는지 파헤칠 방침이다.

19일 전환기정의워킹그룹에 따르면 지난 18일 권은경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 사무국장 명의를 도용해 피싱(phishing) 공격을 시도한 이메일이 이 단체 이영환 대표에게 발송됐다. 이날 같은 내용의 이메일이 북한전략센터 등 문 대통령 앞으로 공개서한 발송에 참여했던 다른 단체 관계자들에게도 보내진 것으로 확인됐다. 권 국장 이름으로 발송된 이메일은 ‘문재인 대통령 서신 (북한 인권문제) 확인 요청’이란 제목 아래 “북한 인권문제 해결을 위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신입니다. 확인하시고 지인분들께도 전달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문구로 ‘서한.htm’이란 파일이 첨부돼 있다. 타인의 명의를 도용해 첨부 파일 클릭을 유도하는 것은 PC와 휴대전화를 해킹하기 위해 흔히 쓰이는 수법이다.

해당 이메일은 하단에 권 국장의 영문 이름과 직책, 단체명 등이 표기되는 등 권 국장이 평소 업무에서 사용하는 양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다만 발송된 메일의 주소는 권 국장이 실제로 사용하는 주소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22개국 67개 비정부기구(NGO)와 10명의 국제적 인사들은 지난 16일 문 대통령에게 북한 인권문제를 외면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보냈다. 권 국장은 이 과정에서 여러 단체의 의견을 조율해 내용을 종합하는 역할을 했다. 북한 인권단체 관계자들은 누군가 권 국장의 이름을 사칭해 대북 인권 활동가들의 데이터를 빼돌리거나 업무를 조직적으로 방해하려 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통일부 등 정부 기관을 사칭해 피싱 공격을 시도한 사례는 그동안 간혹 있었지만 시민단체를 상대로 하는 해킹 공격은 드물었다.

권 국장은 “북한 당국의 소행일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메일 발송지가 국내인지, 북한 등 해외인지 파악하고 있는 중”이라며 “국제 보안 전문가에게 분석을 의뢰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재연 기자 jaeyeon@munhwa.com

[인터뷰: 북한반인도범죄철폐연대 권은경 사무국장] 한국 북한인권법 통과 의미와 파장 | Voice of America - Korean



[인터뷰: 북한반인도범죄철폐연대 권은경 사무국장] 한국 북한인권법 통과 의미와 파장 | Voice of America - Korean

[인터뷰: 북한반인도범죄철폐연대 권은경 사무국장] 한국 북한인권법 통과 의미와 파장
기자 김환용
2016.3.3 오후 9:05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via Email
Print this page
댓글
2일 밤 한국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북한인권법이 첫 발의 11년 만에 통과됐다.


한국 국회의 이번 북한인권법 통과가 갖는 의미와 효과 등에 대해 북한인권운동가인 ‘북한 반인도범죄철폐 국제연대’ 권은경 사무국장과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퍼가기

라디오
[인터뷰] 북한 반인도범죄 철폐 국제연대 권은경 사무국장








00:00 / 00:00






문) 이번에 한국 국회가 제정한 북한인권법에서 주목해야 할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문) '북한인권기록 센터’를 설치하면 북한 당국의 인권침해 행위를 막는 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보십니까?

문) 이번 북한인권법 제정은 어떤 의미가 있고, 또 북한인권법이 북한 인권운동에 어떤 영향을 줄 것으로 보십니까?

문) 국제사회에서 북한 인권문제가 본격적인 현안으로 다뤄지는 흐름입니다. 한국에서 북한인권법 통과됨으로써 이런 추세에 힘이 실릴까요?

문) 북한인권운동을 직접 펼치고 계신 입장에서 볼 때 이번에 제정된 법안 내용에서 보완해야 할 점이 있다면 어떤 게 있을까요?

문) 앞으로 북한 당국은 이번 북한인권법 통과에 어떻게 나올 것으로 보시는지요?

관련 기사

정치·안보
한국 국회, 북한인권법 제정...첫 발의 11년 만에 통과
북한인권법이 한국 국회에 발의된 지 11년 만에 제정됐습니다.

기자 김현진
2016.3.3

정치·안보
세계 저명인사들 "한국 국회, 조속히 북한인권법 제정해야"
한국 국회는 북한인권법을 조속히 제정해야 한다고, 전직 국가원수와 저명한 대학교수, 인권운동가 등이 촉구했습니다.

기자 이연철
2016.2.19

사회·인권
한국 민간단체, 북한인권법 촉구 100일 캠페인 사진전 열어
한국 민간단체가 북한인권법안 통과를 촉구하며 벌이는 100일 캠페인 과정을 사진으로 찍어 전시하고 있습니다.

기자 박은정
2016.2.8

정치·안보
한국 인권위 "북한인권특별위원회 활동기한 1년 연장"
한국 국가인권위원회가 지난 2011년부터 운영해 온북한인권특별위원회의 활동 기한을 1년 연장하기로 하면서 북한인권특별위원회가 내년 1월까지 활동할 수 있게 됐습니다.

기자 한상미
2016.2.1

19 [권은경] 국가가 자행하는 아동인권유린

[권은경] 국가가 자행하는 아동인권유린

[권은경] 국가가 자행하는 아동인권유린
권은경-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 사무국장
2019-11-22

K112219CU-EK.mp3

00:00/00:00

유엔은 11월 20일을 세계어린이날로 지정해서 전세계를 상대로 어린이들의 권리에 대해 교육하고 아동이 인권유린의 피해자가 되지 않는 세상을 만들자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이 날을 세계어린이날로 정한 이유는 1959년의 11월 20일에는 유엔 총회에서 아동권리선언을 채택했고 1989년 같은 날에는 유엔 아동권리협약을 채택한 날이기 때문입니다.

로동신문에서도 이 날을 유엔이 아동권리협약을 채택한지 30돌이 된다고 소개하면서 북한도 1990년에 협약에 가입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로동신문 기사의 주요 내용은 협약의 원칙에 따라 세계 모든 아동들이 평등하게 권리를 보호받아야 하지만 자본주의 나라 아동들만은 가정과 사회폭력의 희생자가 된다고 비판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로동신문이 주장 하듯이 자본주의냐 사회주의냐의 문제는 아닙니다. 오히려 자본주의 경제체제 하에서 경제적 안정을 누리고 있는 대부분 선진적인 나라들은 아동이나 장애인 같이 사회적으로 연약한 존재들을 보호하는 사회복지제도와 정책을 잘 갖추고 있는데다, 법을 엄중하게 따라야 한다는 정신과 가치가 강하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가 나서서 아동이나 사회적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국가가 내세우는 이념과 정치적 이익을 위해서 아동의 인권이 조직적으로 유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북한 같이 일가족이나 개인이 수십 년간 권력을 잡고 있는 전체주의와 권위주의 국가에서 오히려 체계적으로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인권유린이 대규모로 발생합니다. 대표적 사례를 역사에서 찾는다면, 북한당국도 파시즘으로 비판하는 과거 독일 나치정당의 아동인권유린을 들 수 있겠습니다. 나치정당은 히틀러유겐트, 우리말로 히틀러 소년단을 조직해서 사상적으로 아동들을 세뇌시켰습니다. 나치는 1920년대부터 1945년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10세부터 17세의 아동들을 의무적으로 소년단에 가입시켜서, 히틀러를 위한 자폭정신을 가진 충성스런 독일인을 길렀습니다. 학교교육에서도 독일 주류 민족인 아리아 민족의 우월성과 유대민족에 대한 혐오감을 심어주는 나치 사상 교육을 시켰습니다. 따라서 이웃이나 선생님, 자신의 가족마저도 감시하면서 혹시라도 나치의 이념을 벗어나는 발언이나 행동을 발견할 때는 소년단원들이 경찰에 신고도 했습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독일 나치군대가 무조건적으로 항복하고 나오는 와중에도 히틀러 소년단의 십대 병사들은 지하벙커에서 끝까지 연합군에 대항해서 싸웠다는 일화는 유명합니다. 이를 보고 도대체 히틀러는 어린 아이들에게 무슨 교육을 시켰나며 국제사회는 경악을 금치 못했답니다.

북한 얘기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2017년에 유엔의 아동권리위원회가 북한아동의 인권 상황을 검토했는데요. 북한당국이 체계적인 방식으로 아동인권유린을 자행한 사례들을 무수히 발견했습니다.

  1. 아동권리위원회는 북한당국이 부모가 없는 아동들을 애육원이나 중등학교, 꽃제비 수용소 같은 곳에 수용해 사회에서 격리해 두고 교육 받을 권리를 박탈하고 식사공급도 제대로 하지 않는 현실을 지적했습니다. 
  2. 학교나 소년단을 통해서 10대 아동들을 한 달간 농사일에 동원하고 거의 매일 오후에 도로나 철길 등 지역 건설에 동원하는 관행도 비판했습니다. 아동을 노동에 활용하지 말라는 아동권리협약에 위배되기 때문입니다. 
  3. 부모들의 경제력이나 정치적 영향력에 따라서 상급학교 진학에 영향을 주는 차별도 유엔의 우려 대상입니다. 
  4. 또 중요하게는 학교 교육 내용과 교육 자료들이 정치적 이념적 선전선동 내용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교육은 자유롭고 평화로운 사회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랑의 정신을 가르치고 책임있는 미래의 삶을 준비하도록 지원하는 학문적 주제라야 하는데 북한의 교육은 3대장군의 혁명역사를 최우선적으로 교육한다고 비판했습니다. 
  5. 그 외에도 4-5살 아동부터 대규모 집단체조에 동원해서 외화벌이와 정치 선전선동에 활용해서 아동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는 것도 심각한 아동 인권유린입니다.
  6. 북한 아동의 인권유린은 조선소년단이라는 정치조직과 학교를 통해서 체계적으로 진행됩니다. 조직적으로 발생되므로 그 희생 대상은 대규모이고 인권유린을 자행한 책임자가 당국이므로 가해자를 처벌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인권유린의 심각성 면에서나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차원에서나 전체주의 국가가 저지르는 아동 인권유린 문제는 더욱 심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어린이날 북한당국은 말로만 ‘부럼 없어라'를 외쳤습니다. 유엔 아동권리협약에 가입 비준한 당사국으로서 북한 당국은 말로만 아니라 실질적인 조치를 하나 취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세계가 그 진정성을 인정 할 수 있도록 내년도에는 대규모 집단체조를 폐지함으로써 아동인권 증진을 도모할 것을 제안해 봅니다.

** 이 칼럼내용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관련 기사
[권은경] 북한교육 문제의 해결점
[권은경] 126년 전에 발견한 조선의 잠재력
[권은경] 장벽을 넘어서길
[권은경] 국제협력을 통한 '정면돌파'를 제안한다
[권은경] 성탄절을 즐기는 사람들
[권은경] 인민의 행복을 꽃피울 결의안
[권은경] NKnet 창립 20주년을 기념하며
[권은경] 학살의 오명에서 개혁의 모범으로
[권은경] 남한 청소년들의 다양한 활동
[권은경] 살인혐의의 북한어민 북송 문제

-------------

https://www.sedaily.com/NewsView/1RY8ON58DV


북한인권운동가 권은경씨 '4·19문화상'



박현욱 기자
2018-04-13 14:49:22
4·19민주이념 계승단체인 4월회(회장 곽영훈)는 4·19문화상 수상자로 권은경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 사무국장이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권 사무국장은 지난 20여년간 북한 실상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 세계 각국의 북한인권운동가들과 연대해 북한 동포들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활동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4월회는 오는 16일 오후2시30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19회 4·19문화상과 제9회 4·19혁명장학금 수여식을 열 예정이다. 중고 재학생 18명에게는 4·19혁명장학금이 수여된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1RY8ON58DV



19 유엔 회원국들, UPR서 북 인권 개선 촉구



유엔 회원국들, UPR서 북 인권 개선 촉구



유엔 회원국들, UPR서 북 인권 개선 촉구
워싱턴-양희정 yangh@rfa.org
2019-05-09



사진은 2017년 열린 제34차 유엔인권이사회 모습.
연합뉴스 제공





00:00/00:00


앵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3차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보편적 정례검토(UPR)에서 90여 유엔 회원국들은 정치범 수용소와 고문, 여성에 대한 성폭력과 차별 등 북한의 심각한 인권 유린 실태를 개선할 것을 강하게 촉구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유엔 인권이사회가 9일 개최한 북한인권 보편적 정례검토에서 미국은 북한의 인권 상황은 현대사회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을 만큼 개탄스럽다(deplorable)며, 특히 정치범 수용소를 즉각 철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대표: 북한이 즉각 정치범 수용소를 철폐하고 모든 정치범을 석방하며, 자의적 구금을 방지하기 위해 적법한 절차와 공정한 재판을 보장해야 합니다.

미국은 또한 유엔 특별절차와 같은 국제인권감시단의 북한 내 모든 수감시설 방문 등 제약 없는 접근, 대북 인도적지원 단체들의 북한 내 제한 없는 접근권과 독립적 활동 보장, 그리고 종교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북한 법률 개정도 권고했습니다.

영국도 북한 주민이 신앙 때문에 감시를 당하고, 수용소에 수감되거나 심지어 처형까지 당하고 있다며,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북한의 광범위하고 조직적인 인권 침해를 용인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오스트리아 등 유럽국가를 비롯해 짐바브웨, 아르헨티나 등 수 많은 국가들은 북한이 고문방지협약에 가입할 것과 사형제 폐지, 여성·아동·장애인·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폭력과 차별, 식량권, 강제노역, 성분제도, 보건제도와 교육제도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등의 접근을 즉각 허용하는 등 유엔 인권기구와 협력을 강화할 것도 촉구했습니다.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는 북한이2014년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의 조사 결과를 수용하고 권고를 이행하는 등 반 인도적 범죄에 해당하는 경악할 만한(appalling) 북한의 인권 기록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호주 대표: 적법한 절차 거부, 임의적 구금, 수용소 수감자들에 대한 고문과 부당한 처우, 납북자 송환 문제와 사형제도 등에 관한 조사위원회 권고 내용을 모두 이행해야 합니다.

특히 우루과이는1969년 대한항공기 납치사건에 대해 언급하며 북한이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을 비준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이어 아이슬란드도 당시 납북 피해자인 황원 씨의 이름을 거론하며 한국 목사 등 납북자를 즉각 석방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아이슬란드는 또 한반도 평화와 긴장 완화를 위한 북한의 노력 등 일부 긍정적 조치에도 심각한 인권 상황엔 변화가 없다며, 수용소 즉각 철폐와 독립적 언론의 보장 등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모든 권고를 이행하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정부도 북한 측이 고문방지협약과 인종차별철폐협약에 가입할 것을 요구하면서 이산가족문제 그리고 납북자와 국군포로문제도 해결하라고 촉구했습니다.

한편, 한태성 제네바 주재 북한대사를 비롯한 북한 대표단은 2002년 송환한 일본인 납치자 이외에 외국인 납북자는 없으며, 정치범수용소나 강제노동도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은 그러면서 어린이·여성·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인권이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로 침해 당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정례검토에는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국가는 물론 영국·스위스·아이슬란드 등 유럽국가, 한국·일본·중국 등 아시아 국가, 또 코스타리카와 우루과이 등 중남미 국가 및 중동과 아프리카 국가까지 90여 개 국가가 참여했습니다.


관련 기사
국무부, 북 인권단체 지원금 신청 2차 공고
중국관광객이 북 어린이 학대 조장
오픈도어스 “북, 19년 연속 세계 최악 기독교 박해국”
HRW “북한,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인 국가”
한국 국가인권위, 북한인권특위 운영 연장
HRW “북 인권유린 책임자 처벌 방안 마련에 주력”
북인권단체들, 김정은 생일 맞아 북 체제 비판 기자회견·전시회
자유한국당, 탈북인권운동가 지성호 영입…“북 인권의 산증인”
스위스 NGO “북, 새해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국 중 하나”
한국 내 북 인권단체, 올 한해 USB 2000개 북으로 보내

18 정상회담에서 왜 북 인권문제 논의 안 될까?



정상회담에서 왜 북 인권문제 논의 안 될까?

정상회담에서 왜 북 인권문제 논의 안 될까?
워싱턴-노정민 nohj@rfa.org
2018-10-12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평양공동선언문에 서명한 후 합의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K101218NE-JN.mp3

00:00/00:00


앵커:최악의 인권탄압국 중 하나로 평가되는 북한. 그래서 미북 정상회담, 남북정상회담이 열릴 때마다 북한 인권 문제가 주요 현안으로 논의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습니다. 하지만 비핵화 논의에 밀려 인권 문제가 크게 거론되지 않고 있는데요. 왜 그럴까요?

실제로 비핵화 협상에 더 집중하고 있는 미국으로서는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을 거론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이지만,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을 위해 계속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데에는 큰 이견이 없습니다.

또 정상회담에서 인권 문제를 다루기보다 실무적인 차원에서 접근하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는 지적도 있는데요.

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국무부 기자회견에서 제기된 북한 인권

- 북한 인권 중요하지만, 지금은 비핵화에 더 집중

- 정상회담에서 왜 북한 인권 거론하지 않나?

(현장음:
Question: …North Korea is basically a gulag sate… Ms. Nauert: …our priority in North Korea, though, right now is denuclearization…)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네 번째 방북 일정이 공개된 지난 2일, 미국 국무부에서 열린 정례기자회견의 마지막 질문으로 북한 인권이 거론됐습니다.

수만 명이 정치범 수용소에 갇혀 있고, 종교를 가졌다는 이유로 수감되는 북한의 인권 상황과 관련해 폼페이오 장관이 인권 문제를 제기할 것이냐는 질문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은 “인권 문제는 항상 중요하고, 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면서도 “현재로서는 비핵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I will tell you that we are working on denuclearization, and that is our focus right now)

(현장음: What about Mr. Trump? Why is the human right issue not discussed?...)

지난 9일, 워싱턴 DC에 있는 National Press Center.

인권단체 ‘나우’의 지성호 대표, ‘북한전략센터’의 강철환 대표는 물론 미국 내 인권전문가들이 모인 가운데 남북정상회담과 미북 정상회담 등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논의되지 않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특히 2차 미북 정상회담의 개최가 기정사실화됐고, 미국의 상응 조치로 종전선언이 거론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반드시 북한 인권 문제를 거론해야 한다고 참석자들은 주장했습니다.

[강철환] 적어도 북한 내부의 인권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조건으로 종전선언을 하면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를 완전히 해체하고 이것을 검증하겠다는 조건이면 종전선언과 맞바꿀 수 있습니다.

- 협상 경험 전직 관리들은 회의적, 기대와 현실에 차이 있어

- 인권 문제 언급이 협상에 악영향 미칠 것이란 우려

- 인권 문제 접근에 대한 견해차도 존재

- 인권 문제 압박 vs 실무적인 차원의 현실적 변화 추진

하지만 실제로 북한과 협상한 경험이 있는 전직 관리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지난 6월 1차 미북 정상회담이 열리기 전,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만난 전직 미국 고위 관리는 두 정상의 만남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바 있습니다.

또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도 자유아시아방송에서 미북∙남북 관계가 개선되려면 북한 인권의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도 미북 정상회담에서 인권 문제가 다뤄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렇게 되길 희망한다”는 정도만 언급했습니다.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다뤄지길 바라는 기대치가 있긴 하지만, 실제 정상회담에서 실현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설명입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민주주의 수호재단의 데이비드 맥스웰 선임 연구원은 왜 정상회담에서 인권문제가 논의되지 않는가에 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인권문제를 다루면 비핵화 협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잘못된 가정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데이비드 맥스웰] 만약 정상회담에서 인권 문제를 논의하면 핵무장 해제를 위한 협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잘못된 가정 때문이죠. 오직 핵무장 해제에만 집중하고, 다른 문제는 나중에 다룬다는 오래되고 그릇된 가정입니다. 하지만 과거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안드레이 사하로프 박사 등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권 문제가 핵 문제 해결을 이끌었기 때문에 인권 문제도 비핵화 협상의 하나로 다뤄져야 합니다.

1986년,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이 군축 문제를 놓고 정상회담을 했을 당시 레이건 대통령이 인권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안드레이 사하로프 박사를 비롯한 반체제 인사의 석방을 불러오면서 인권 문제의 변화를 가져온 바 있습니다.

주한미국대사를 역임한 캐슬린 스티븐스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은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접근에서 차이가 있다고 분석합니다.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을 위해서는 북한 정권이 교체(replace)돼야 한다는 견해와 우선 비핵화를 위한 협력을 앞세워 정권의 변화(change)를 유도해야 한다는 생각이 공존한다는 겁니다.

특히 비핵화가 우선이고 북한 인권은 나중이라는 지적과 관련해 스티븐스 소장은 북한 주민의 인권을 잊어서는 안 되고, 북한 인권에 대한 관심을 불러오기 위해 유엔과 미국 등 국제사회가 지속적인 활동을 해야 하지만, 모든 사안이 정상회담에서 시작될 필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실무적인 차원에서 더 많은 교류와 협력을 모색하는 것이 인권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캐슬린 스티븐스] 다시 말하지만, 모든 사안이 정상회담부터 시작돼야 한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우리 같은 전통적 외교관들에게는 약간의 우려가 있습니다. 북한처럼 중앙집권화된 체제에서 정상회담은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고, 좋은 계기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복잡하고 미묘한 문제들이 있기 때문에 아래에서부터 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실무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해야겠지요. 예를 들어 변호사들을 훈련하거나, 교류가 더 이뤄지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지 않을까요? 이러한 것들이 지금의 상황을 제시하고, 더 폭넓은 방법으로 사안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도 11일, 영국 BBC와 한 회견에서 남북협력과 북한의 개방이 북한 인권을 개선하는 데 실효성 있는 방법이라고 밝혔습니다. 실질적인 방법으로 북한 주민의 인권을 개선해줄 필요가 있다는 설명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저는 북한 주민의 인권에 대해서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북한도 보편적인 그런 인권의 길로 나가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나 그 인권은 국제적으로 압박한다고 해서 그 인권 증진의 효과가 바로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북한 주민의 인권을 가장 실질적으로 개선해 주는 방법은 이런 남북 간의 협력, 그리고 국제사회와 북한 간의 어떤 협력, 그리고 또 북한이 개방의 길로 나와 이렇게 정상적인 국가가 되어 가는 것, 이런 것들이 북한 주민의 인권을 실질적으로 빠르게 개선하는 실효성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인권 거론 가능성 크지 않아

- ‘북한 인권 개선될 때까지 목소리 높여야’에는 한목소리

- 정상국가 이미지 원하는 김 위원장, 인권 개선 없이 불가능

- 경제개발도 국제적 기준에 맞는 인권 개선 뒷받침돼야

북한 인권 문제는 매우 중요하지만, 지금은 북한의 비핵화에 집중한다는 것이 국무부 대변인의 설명입니다.

또 전직 고위관리의 말처럼 인권문제는 불편한 의제이기 때문에 곧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논의될지도 확실치 않습니다.

하지만 남북∙미북 정상회담에서 인권 문제가 다뤄지고 실제로 북한 주민의 인권이 개선될 때까지 계속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 탈북자와 워싱턴 인권전문가들의 주장입니다.

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잇따른 정상회담과 교황 초청 등으로 북한을 정상국가로 과시하려 하지만, 인권 개선 없이는 국제사회가 이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란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지성호] 김정은은 장기 집권을 목표로 하고, 정상적인 국가를 흉내 내며 대외적으로 관계를 맺으면서 북한 체제를 유지하려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인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면 또 다른 독재자들이 그런 방법을 쓸 수 있습니다.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인권 문제입니다. 이 시점에서 국제사회가 인권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목소리를 내야 중국과 주변 국가들이 북한을 따라 배우는 상황이 생기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로버트 킹] 북한이 정말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길 바란다면, 장애인의 인권을 다루는 관리, 북한 인권에 관한 특별판무관 등을 평양에 초청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야 합니다. 또 우리가 이 같은 진전을 이룬다면 인권 문제에 대해 북한을 계속 압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 위원장은 비핵화 협상을 끝내고 경제개발에 집중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남북정상회담에서 경제협력에 관한 합의가 이뤄졌으며 북한은 미북 정상회담에서도 대북제재의 완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로베르타 코헨 전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는 남북이 공감한 평화적 번영과 경제성장도 결코 인권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북한과 교류 협력의 확대도 결국 국제사회의 기준에 맞는 인권의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로베르타 코헨] 북한에 대한 경제 개발과 투자는 재산 보호에 관한 법률을 필요로 합니다. 또 소비자들을 보호하고 이익을 취하기 위한 노동 기준이 필요하죠. 인도주의적 지원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북 지원을 늘리기 위해서도 인도주의의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지난 4월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2017 국가별 인권보고서’에서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이고 폭력적인 정권으로 지목됐듯이 유엔과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북한을 최악의 인권탄압국이라 지적합니다.

그럼에도 대북 인권단체가 목소리를 높이는 것처럼 곧 열릴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공개적으로 논의될 가능성은 크지 않아 인권 문제의 접근 방식에서 온도 차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지속해서 인권 문제를 제기해 국제사회의 관심을 불러오고, 경제적 번영과 함께 정상국가를 희망하는 김정은 위원장이 국제사회의 기준에 맞는 인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조치를 고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대부분이 한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지성호] 남북정상회담에서는 북한 인권문제가 거론되지 않아 안타까운 마음이 있는데요. 결코 북한 인권문제를 짚지 않고 넘어갈 수 없어요. 여러 가지 현안이 있지만, 인권 문제는 국제사회가 바라보는 중요한 가치이고요. 평화를 추구하는 것의 중심에는 사람의 생명과 권리가 있거든요. 이 부분은 계속해서 해나가야 할 부분이고, 북한도 이에 맞추지 않고는 계속 나아갈 수 없는 현실을 알고 있을 겁니다.

[캐슬린 스티븐스] 저는 북한과 협상하고 관여하는 노력을 환영합니다. 또 저는 비핵화, 안보를 우선순위로 다루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지만, 북한 주민의 인권도 잊을 수 없습니다. 유엔이 북한 인권에 대한 관심을 불러오기 위해 특별한 활동을 계속해야 하고, 미국도 마찬가지지만, 실질적인 제안을 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와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로버트 킹] 만약 앞으로 장기적으로 관계 진전이 이뤄진다면, 꼭 미국뿐 아니라 한국, 다른 나라와도 관계 개선이 있을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당연히 북한 인권에서 진전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북한의 인권문제를 진전시켜야 합니다. 시작부터 최대한의 요구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 북한 주민에 대한 인권 문제를 압박하는 과정과 노력을 계속 전개야 나가야 합니다.

RFA 자유아시아방송 노정민입니다.


관련 기사
국무부, 북 인권단체 지원금 신청 2차 공고
중국관광객이 북 어린이 학대 조장
오픈도어스 “북, 19년 연속 세계 최악 기독교 박해국”
HRW “북한,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인 국가”
한국 국가인권위, 북한인권특위 운영 연장
HRW “북 인권유린 책임자 처벌 방안 마련에 주력”
북인권단체들, 김정은 생일 맞아 북 체제 비판 기자회견·전시회
자유한국당, 탈북인권운동가 지성호 영입…“북 인권의 산증인”
스위스 NGO “북, 새해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국 중 하나”
한국 내 북 인권단체, 올 한해 USB 2000개 북으로 보내

18 태영호 “북, 김정은 인권유린 책임 회피 위한 외교 펼칠 것”

태영호 “북, 김정은 인권유린 책임 회피 위한 외교 펼칠 것”

태영호 “북, 김정은 인권유린 책임 회피 위한 외교 펼칠 것”
서울-목용재 moky@rfa.org
2018-10-08



태영호 전 주영국 북한대사관 공사가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북한인권법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K100818NE-MY.mp3





00:00/00:00


앵커: 태영호 전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가 북한이 향후 김정은 위원장의 인권유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인권 외교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태영호 전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가 북한 당국도 이제는 국제무대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거론되는 것 자체를 막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태 전 공사는 8일 한국의 김재경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면서 북한 당국이 향후 김정은 위원장의 인권 유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인권 외교활동을 벌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태영호 전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 향후 북한의 인권 외교 방향은 북한 인권 유린 규명이 김정은의 이름과 직접 연계되는 것을 막는 쪽으로 기울어질 겁니다. 결국 북한은 북한인권결의안 상정 저지 외교에서 김정은 책임규명 저지로 방향을 돌릴 겁니다.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 운동이 효력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박했습니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압박으로 국제인권조약들에 가입하고 있고 일부 조약에 따른 이행 보고서도 제출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은 이런 조약들에 따라 북한 내 인권관련 법제들을 새롭게 제정하거나 기존 법들을 수정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습니다.

태 전 공사는 “지난 2013년 북한은 장애인권리협약에 서명하고 평양시에 장애인들을 위한 여러 시설들을 건설했다”며 “또한 유엔 인권이사회에 보편적 정례검토(UPR) 이행보고서를 제출하기 위해 각 정부기관의 인력으로 구성된 상무조가 조직됐다”고 밝혔습니다.

태 전 공사에 따르면 이 상무조에는 북한 외무성,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법제부, 사회과학원, 국가보위성, 인민보안성, 중앙검찰소, 중앙재판소 등의 인력이 투입됐습니다.

태 전 공사는 국제기구들과 인권단체들의 활동으로 세계 각지에 파견되는 북한 노동자들의 인권도 개선되는 추세라고 분석했습니다.

태 전 공사는 “북한은 2016년부터 각 대사관에 현지 근로자들의 작업환경과 노임지불정형 등을 수시로 요해해 당 조직지도부와 외무성에 보고할 담당자들을 임명했다”며 “이런 변화들은 외부에서 북한의 인권문제를 거론하는 것이 주민들의 인권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정부의 북한 인권 정책에 대해서는 당국 간 대화와 인권문제를 분리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북한 인권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은 변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태 전 공사는 “만일 한국 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않으면 북한 실무자들은 유엔 북한인권결의 채택 시 한국 정부를 기권하게 만들 수 있다고 오판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의 확고한 입장이 오히려 북한의 대남관계 실무자들에 대한 비판이나 처벌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에 민간에 대한 통제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명백히 밝힐 필요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향후 북한이 비정부기구(NGO) 등 민간 차원의 북한 인권 활동을 트집 잡아 남북합의 등을 무효화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는 겁니다.

태 전 공사는 “전례를 보면 상호 비난을 중지하자고 한 남북합의가 한국 정부를 곤란하게 했고 이에 따라 최근 대북전단활동 등이 약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조성됐다”며 “상호 비난 중단 합의는 한국 정부기관에 한정된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인권법이 제대로 시행될 수 있도록 보수 야당이 대승적인 차원에서 협조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정치적 주도권 싸움에서 한 발 물러나 우선 북한인권재단 같은 북한인권법 시행의 핵심 기관들을 가동시켜야 한다는 겁니다.

태 전 공사는 “북한인권법의 기존 취지를 살리는 일은 법이 제대로 시행되도록 한 뒤 챙겨봐야 한다”며 “재단이 출범되면 국제사회에 북한 인권 상황의 절박성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관련 기사
국무부, 북 인권단체 지원금 신청 2차 공고
중국관광객이 북 어린이 학대 조장
오픈도어스 “북, 19년 연속 세계 최악 기독교 박해국”
HRW “북한,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인 국가”
한국 국가인권위, 북한인권특위 운영 연장
HRW “북 인권유린 책임자 처벌 방안 마련에 주력”
북인권단체들, 김정은 생일 맞아 북 체제 비판 기자회견·전시회
자유한국당, 탈북인권운동가 지성호 영입…“북 인권의 산증인”
스위스 NGO “북, 새해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국 중 하나”
한국 내 북 인권단체, 올 한해 USB 2000개 북으로 보내

18 EU∙일본, ‘북 인권 책임추궁’ 결의안 초안 제출



EU∙일본, ‘북 인권 책임추궁’ 결의안 초안 제출

EU∙일본, ‘북 인권 책임추궁’ 결의안 초안 제출
워싱턴-양희정 yangh@rfa.org
2018-03-16



사진은 서울 덕수궁 돌담길에서 열린 북한 인권 관련 사진전을 관람하고 있는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제공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하는 북한 내 인권 유린 가해자에 대한 형사 처벌과 북한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결의안 초안이 1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속개되고 있는 제37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됐습니다.

유럽연합과 일본이 주도적으로 작성한 이 초안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북한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자행되고 있는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 침해와 인권 유린을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올해는 북한에 의한(by the DPRK)이라는 문구를 삽입해 북한 이외 지역에서 북한 당국에 의해 자행된 인권 범죄도 포함시켰다는 게 이번 초안의 특징입니다.

초안은 특히 북한인권 책임자 처벌을 위한 독립 전문가단의 권고사항을 이행하기 위한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와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의 역량 강화 조치를 환영했습니다.

지난해 독립전문가단은 북한 인권침해 상황에 대한 감시와 기록, 정보와 증거를 수집하고 보존할 ‘보존소’ 설치, 향후 책임 추궁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정보와 증언을 분석할 관련법 전문가의 필요성을 제안했습니다.

초안은 또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독립 전문가단의 권고 사항에 대한 이행 보고서를 제40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할 것을 명시했습니다.

초안은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상세히 밝혀낸 인권 유린 중 철저한 북한 당국의 정보 독점에 따른 주민의 사상∙양심∙종교의 자유 박탈과 인터넷을 포함한 의견과 표현∙결사의 자유 제한 등에 깊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또 성분에 의한 차별, 북한을 떠날 권리 등 주민의 이동의 자유 침해,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심각한 식량권 박탈 등도 심각히 우려했습니다.

초안에는 이 외에도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지적한 정치범수용소 등 구금시설에서 발생하는 몰살∙살해∙노예화∙고문과 성폭력 그리고 정치∙종교∙성별을 이유로 한 박해도 지적됐습니다. 초안은 또 조직적인 납치와 강제실종 등에 대해서도 우려했습니다.

이번 보고서 초안에는 북한 당국이 이 같은 모든 인권유린 범죄를 인정하고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올해는 특히 북한 주민의 망명을 보장할 것과 영사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Vienna Convention on Consular Relations) 당사국으로서 자국에 억류된 외국인들에게 영사와 접견하고 소통할 자유를 보장하고 다른 필요 조치도 제공해야 한다는 조항이 담겼습니다.

이외에도 북한이 자국과 해외 영토에서 다른 나라 국민에게 자행한 고문과 약식처형(summary execution)∙임의적 구금∙납치 등의 인권 유린에 매우 심각한 우려를 강조한 지난해 9월 채택된 제72차 유엔 총회 대북인권 결의 내용을 상기하는 조항도 새로 포함됐습니다.

결의안 초안은 북한의 인권상황 개선을 위한 회원국들의 협력을 촉구하는 한편, 유엔 사무총장에게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과 서울 유엔인권사무소, 또 인권최고대표사무소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모든 지원을 제공하도록 요청했습니다.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의 임기를 1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습니다.

한편, 결의안 초안은 최근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남북대화가 시작되고 남북한 관계가 진전된 것과 북한 당국이 지난해 장애인 인권 특별보고관의 방북을 허용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북한인권 결의안 초안은 회원국들에 회부된 뒤 제37차 인권이사회가 끝나는 오는 23일을 전후해 표결 혹은 합의에 의해 채택될 전망입니다.

북한인권 결의안은 2003년 유엔 인권이사회 전신인 인권위원회에서 처음 채택되었고, 2005년부터 인권이사회를 통해 매년 채택됐습니다.

18 미 NGO, 대북 인도주의 지원 관련 제재 완화 촉구



미 NGO, 대북 인도주의 지원 관련 제재 완화 촉구


홈페이지 | 뉴스 | 식량/ 경제
미 NGO, 대북 인도주의 지원 관련 제재 완화 촉구
워싱턴-김진국 kimj@rfa.org
2018-06-19






인쇄
공유
댓글
이메일


남측 민간단체인 통일농산사업단에서 지원한 금강산 금천리온실에서 북측 주민들이 일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00:00/00:00


앵커: 북한에 농업 기술 지원을 하고 있는 미국의 비정부 구호단체는 최근 발간한 정책제안 보고서에서 미북관계 발전을 위해 인도주의 지원활동을 제한하는 미국 정부의 행정조치 완화를 촉구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비정부 구호단체인 미국친우봉사단(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은 최근 발간한 정책 제안서 ‘대북 관여(Engaging North Korea)’ 보고서에서 북한 여행금지와 경제제재 조치 중 인도주의 지원과 관련된 예외 조항 적용을 촉구했습니다.

42쪽 분량의 보고서는 미북 정상회담이 진행된 것을 환영하면서 실질적인 미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인적 교류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친우봉사단은 고난의 행군 시절인 1990년대 중반부터 북한을 돕기 시작했으며 새로운 농사 기술을 전수하는 데 매년 약 40만 달러의 예산을 지원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대북인도주의 지원단체 중 하나입니다.

보고서는 미국 정부의 북한 여행 금지 조치와 대북 제재가 북한의 비핵화를 비롯한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했음을 인정하면서도 변화될 미북관계를 위해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보고서는 여행금지 이전 연간 북한을 방문하는 미국인이 1천 명 가량이었으며 일인당 평균 2천 달러의 여행 비용을 감안하면 여행금지 조치가 북한의 외화벌이 차단에 미친 영향은 연간 최대 200만 달러에 불과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인도주의 지원단체 관계자에 대한 여행금지 예외 조항을 신설하길 제안하면서 행정명령 문구의 ‘인도주의 지원’과 ‘국가 이익’에 대한 정의를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2017년 9월에 발표된 여행금지 행정명령은 1) 언론인2) 국제 적십자요원 3) 인도주의 구호 요원 4) 그외 국익을 위해 여행하는 사람들을 예외로 한다는 문구가 있지만, ‘인도 주의적’사업과 ‘국가 이익’에 대한 정의가 미국 법과 일치하지 않아서 지원활동을 제약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농업, 식량지원, 보건 및 안전, 교육, 노인과 여성 그리고 장애인을 위한 보살핌과 관련된 활동들을 인도주의 지원에 명시할 뿐만 아니라 민간(Track2)외교 노력을 포함한 비정부 교류활동과 이산가족 상봉, 미군 유해발굴, 종교 활동 등도 국가 이익에 부합하는 활동에 포함시켜서 북한 여행 금지 대상에서 제외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인도주의 지원 활동과 관련한 대북 경제제재 완화도 즉시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미국친우봉사단이 새로운 농사기법 전수를 위해 아리카라 콩 16상자를 북한에 보내려 했지만 대북수출면허를 받는데 1년 6개월이 걸려서 최적의 파종과 재배 시기를 놓쳤던 사례를 소개하면서 일명 일반면허5호(General License No.5)를 복원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수출허가면허 5호는 가뭄과 홍수 등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비정부기구가 북한의 인도적 필요를 충족하는 지원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보장했지만 트럼프 행정부 들어서 대북제재가 강화되며 사라졌습니다.


관련 기사
유니세프 “코로나바이러스와 관계 없이 대북지원 지속”
대북지원단체 “방북 일정 아직 취소하지 않고 상황 주시”
대북지원단체, 북한 내 ‘우한 폐렴’ 확산추이 주시
IFRC “작년 북 가뭄과 식량부족에 26만 달러 투입”
“한국∙스위스∙독일, 올들어 775만달러 대북지원”
ICRC “북한서 신체재활∙보건∙물 공급 사업 진행”
프랑스 NGO, ‘노인복지’ 등 올해 대북사업 발표
스위스NGO, 올해 북한에 위생농법 지원
국제평화연구소 “대북제재, 인도주의 활동에 큰 제약”
중, 새해 첫날부터 대북지원 식량 운송 개시

18북 주민들, 장애 체육선수 존재 의심



북 주민들, 장애 체육선수 존재 의심



북 주민들, 장애 체육선수 존재 의심
서울-김지은 xallsl@rfa.org
2018-03-10



정현 조선장애자보호연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왼쪽) 등 북한 대표팀 관계자들이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개막일인 9일 오전 강원도 평창 바이애슬론센터를 찾아 노르딕스키에 출전하는 마유철과 김정현의 훈련을 참관하고 있다. 오른쪽은 올해 9세인 북한 김동영 참관선수.
사진-연합뉴스 제공
K031118NE-JE.mp3





00:00/00:00


앵커: 북한이 ‘2018 평창동계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에 참가한 것을 두고 북한주민들 속에서 의혹이 일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장애인에 대한 기초적인 복지도 시행하지 못하면서 언제 장애인 선수를 양성했느냐며 의아해 한다는 것입니다.
관련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7일 “지금까지 여기(북한)에서 장애자체육선수가 존재한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면서 “이번 동계장애자올림픽에 어떤 선수들이 나갔는지 모르겠지만 올림픽을 정치적인 깜빠니아(캠패인)로 이용하기 위해 급조된 선수들일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군복무와 대학시절을 합쳐 10년 넘게 평양에 살았지만 시내에서 장애자를 단 한 번도 보지 못했다”면서 “다른 사람들도 평양에 장애자체육선수들이 있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김정은시대에 들어서면서 부쩍 체육을 대중운동이라며 장려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장애자들을 위한 체육시설이나 체육활동을 하는 것을 보거나 그에 관한 얘기를 들어본 적도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장애인으로 국가체육선수가 되었다면 ‘월미도체육단’이나 ‘압록강 체육단’과 같은 국가체육단 선수로 활약하다가 사고로 장애를 입은 사람들 중에서 장애자 선수로 나섰을 가능성은 있다”면서 “그외 선천적 장애자가 본인의 의지에 따라 국가체육선수가 되는 것은 이 땅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 지난해 한국에 입국한 한 탈북민은 “북한에 장애자선수들이 있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면서 “장애가 있는 사람은 평양시내에 발도 들이지 못하게 하는데 장애자를 국가체육선수로 육성한다는 것은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 소식통은 또 “요즘 평창장애인올림픽을 계기로 북한의 장애자선수들이 화제를 모으고 있는데 대해 의심이 앞선다”면서 “탁구선수로 활동하다 장애가 생겨 크로스컨트리 스키선수가 되었다는데 어떻게 같은 사람이 탁구와 스키라는 전혀 다른 두 가지 종목의 국가선수로 등장할 수 있느냐”고 반문했습니다.

탈북민 소식통은 “북한에 농아학교나 맹인학교가 있지만 그런 학교를 통해 체육인을 개발하지는 않는다” 면서 “이번에 출전한 2명의 장애자선수는 평창장애인올림픽 행사를 위해 북한당국이 대외선전의 차원에서 급조한 선수에 불과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관련 기사
북 체육장비 제재위반 논란… IOC의 입장은?
“북, 패럴림픽서도 지원 장비 모두 반납하고 돌아가”
IPC아기토스 재단 “북 포함 51명 동계올림픽 참가 지원”
북, 평창 패럴림픽 선수촌 공식 입촌
‘천안함 논란’ 김영철, 방남 일정 마치고 귀환
이방카 방한 일정 돌입…“한미 최대압박 노력 효과거둬”
IOC, “북 태권도단 방미설 금시초문”…북 응원단, 인제서 공연 펼쳐
23일 방한 이방카 “탈북자 만날 계획 없어”
설날 환영만찬서 ‘철수 소동’ 벌인 북 응원단
[평창에서] 올림픽 관전한 탈북 청소년들 “자부심 느껴”

93 연변 재활교사로 떠난 홍영희씨


가톨릭신문
연변 재활교사로 떠난 홍영희씨


“연변에 조국의 사랑을 심겠어요”


교포 장애인 재활 “최선”
점자·컴퓨터 교육 담당


발행일1993-08-15 [제1867호, 2면]

“하느님이 내게 무엇인가를 원하고 계신다는 생각을 영세 후 줄곧 해왔습니다. 때마침 중국에 재활센터를 건립하겠다는 나 회장의 얘기를 듣고 중국을 가기로 결심했습니다”

오는 9월10일 개원을 목표로 막바지 준비에 한창인 ‘연변 하상 장애인 재활센터’에 재활교사 자원 근무차 떠난 홍영희(베로니카·39세)씨.

손인숙(카타리나)씨, 이명선(베로니카)씨와 함께 개원 1개월을 앞둔 8월10일 중국으로 건너가 개원준비를 서두르게 될 홍영희씨는 “신앙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였는데 신앙이 결국 용기를 줬다”며 최선을 다해 교포 시각장애인의 재활을 돕겠다고 다짐했다.

“재활교사로 떠나는 재활교사들이 모든 친구들이라 큰 어려움은 없을 것 같습니다. 서로 도와가면서 중국으로 파견된 사명을 완수하고 우리 교포들에게 우리의 얼을 심는데도 노력할 생각입니다”

홍영희씨가 재활교사로 근무할 곳은 중국 길림성 연길시 애단로 175번지, 중국에서 공훈을 세운 유공자들을 선발 보호하고 있는 공훈양로원인 ‘영예원(원장 박동남)’영내로 한국의 하상복지회와 중국 측이 합작으로 설립하는 ‘연변 하상 시각장애인 재활센터’.

우선 6개월간을 교육기간으로 설정, 시각장애인들의 기초생활 훈련과 한글 및 중국어 점자, 직업훈련, 타자와 컴퓨터 등을 담당할 홍영희씨는 이를 위해 지난 6개월간 동료들과 함께 충분한 교육을 받아 왔다.

무엇보다 중국에서 살고 있는 우리 교포들과 사랑을 나누는데 역점을 두겠다는 홍영희씨는 “사랑이 바탕이 되는 신뢰 속에서 자연적인 선교가 싹트게 될 것”이라며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뤄지는 한중 합작 재활센터 운영에 많은 사람들의 동참과 협조를 기대했다.

한편 하상복지회는 8일 복지관 강당에서 북한선교위원회 이동호 아빠스를 비롯한 맹인선교회 관계자가 참가한 가운데 홍영희씨를 비롯한 3명의 재활교사 파견미사를 봉헌했다.

우재철 기자

04 조선불구자지원협회



북한보건의료네트워크






조선불구자지원협회

 연합뉴스 (2004.03.26)  2062



지난 98년 7월 설립된 조선불구자지원협회는 장애인의 재활과권익
을 돕는 단체로 도와 시ㆍ군, 기관에 지부를 두고 있다.

협회는 △장애인 정책에 대한 ‘조언자’의 역할 △장애인에 대한
사회인식 개선△장애인 건강 보호 및 생활 보장, 실태조사 △휠체
어, 보청기 등 재활용품 지원 △재활치료 △치료시설 개선 등의 활
동을 벌이고 있다.

최근 활동 사례로는 국제 장애인단체 협조 아래 함흥교정기구공장
에 플라스틱의한 종류인 폴리프로필렌 교정기구 제작기술 및 생산
공정 도입, 함흥외상정형외과병원에 수술도구와 의료품 전달, ‘장
애자 보호법’ 제정(2003.6) 지원 등이 꼽힌다.

김영철 협회 서기장은 북한 홍보지 ‘금수강산’ 1월호와 회견에
서 ‘회복치료봉사센터’ 설립계획을 수립, 이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센터에는 뇌출혈 등 노인성 질병 및 선천.후천성 질병
에 의한 장애 등의 회복시설과 정신박약, 농아시설, 맹인 직업교육
시설, 교정기구 제작소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협회는 국제회의에도 참석, 외국 장애인단체와 교류의 폭을 넓혀
가고 있다. 2000년과 2001년 태국과 베트남에서 각각 열린 아시아.
태평양지역 장애인단체 회의에참석해 참가국 대표들과 활동경험을
나눴다.

또 2002년에는 중국을 방문, 중국의 장애인 재활시설을 돌아 보기
도 했다.
협회는 영문 홍보지 ‘협회소식’을 발행하고 있다. /연합
2004-03-25

17 비시각장애인 안마사 고용한 업주에 벌금 100만원



비시각장애인 안마사 고용한 업주에 벌금 100만원




비시각장애인 안마사 고용한 업주에 벌금 100만원
법원 "시각장애인, 실질적 평등 위해 우대조치 필요"
업주 신청한 위헌법률심판 제청 기각
(서울=뉴스1) 이균진 기자 | 2017-10-07 09:00 송고



© News1

시각장애인이 아닌 안마사에게 안마시술을 하게 한 마사지업소 대표가 항소심에서도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항소9부(부장판사 이헌숙)는 의료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마사지업소 대표 한모씨(53)에 대한 항소심에서 원심과 같은 벌금 100만원을 선고했다고 7일 밝혔다.


의료법 제82조는 안마사의 자격으로 시·도지사에게 자격인정을 받은 시각장애인으로 정하고 있다.

재판부는 이와 관련해 "의료법은 시각장애인에게 직업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해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실현하는데 목적이 있다"며 "시각장애인에게 안마업을 독점시키는 조치는 입법목적을 달성하는데 적절한 수단"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시각장애인은 일상생활에서 차별을 받아온 소수자로서 실질적인 평등을 구현하기 위해 우대하는 조치가 필요하므로 최소침해성 원칙에 반하지 않는다"며 "해당 조항으로 공익과 사익 사이에 불균형이 발생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재판부는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이미 여러 차례 해당 조항이 헌법을 위반하지 않는다는 취지로 판시했다"며 "이후에도 헌법적 판단을 새롭게 할 시대적 가치관이 변경됐다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씨는 마사지업소를 운영하면서 지난해 8~11월까지 시각장애인이 아닌 종업원에게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안마시술을 하게 한 혐의(의료법 위반)로 재판에 넘겨져 1심에서 벌금 100만원을 선고받았다.

1심 재판 과정에서 한씨는 재판부에 의료법 제82조가 직업의 자유와 평등권을 제한하는 법률이라며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했다.

1심은 "안마업은 시각장애인이 정상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직업이고, 시각장애인 안마사제도는 시각장애인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기각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06 "미국·캐나다 등 시각장애인에게 특정 직업 독점 허용" - 노컷뉴스



"미국·캐나다 등 시각장애인에게 특정 직업 독점 허용" - 노컷뉴스


"미국·캐나다 등 시각장애인에게 특정 직업 독점 허용"
CBS 라디오 '뉴스야 놀자' 이진성PD
2006-06-01 14:52


시각장애 美 교포 전희원 목사 "역차별이라는 이유로 하나 있던 독점 직업 없앤 것 이해 안돼"
시각장애인만 안마사 직업을 가지게 하는 것은 위법이라는 헌법재판소 판결에 대해 시각장애인들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한국보다 시각장애인의 직업 선택 여지가 많은 미국과 캐나다, 스페인 등 선진국에서도 시각장애인에게만 독점적으로 허용하는 직업이 있다''''는 지적이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시각장애인 교포인 미국 코넬한인교회 전희원 담임목사는 6월 1일 CBS 라디오 ''''뉴스야 놀자''''(진행 : 개그맨 노정렬, 낮 12시5분-1시30분)와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캐나다는 공공건물과 고속도로 자동판매기는 오직 시각장애인만 운영할 수 있고 스페인에서도 시각장애인만 복권 장사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 목사는 "미국과 캐나타, 스페인 모두 한국과 달리 시각장애인에게 보통 사람과 함께 하는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며 "맹인 특수 교육을 받는 우리나라와 달리 이들 나라에서는 일반 교육을 처음부터 시키기 때문에 변호사, 프로그래밍, 일반 학교 교사, 유치원 교사 등 시각장애인이 하고 있는 일들이 다양한데도 불구하고 이에 덧붙여 시각장애인들에게만 특정 직업을 허용하고 있다는 점이 눈여겨볼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시각장애인 통합교육도 이뤄지지 않고 특수 안마 직업 교육 위주로 이뤄지기 때문에 미국 등 외국 선진국과 비교할 때 시각장애인의 직업 선택 여지가 아예 없는 실정"이라며 "그나마 한국에 하나 있던 시각장애인 독점 직업을 역차별이라는 이유로 없애버린 것은 이해가 잘 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전 목사는 "한국의 안마사 전체 직업 수에 비해 시각장애 안마사 수가 크게 모자라 일반인의 안마사 직업 진출을 합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 걸로 안다"며 "그렇다면 대체 입법을 통해 기존의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이 직업을 잃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미국과 캐나다, 스페인 등과 같이 다른 독점 직업을 시각장애인에게 주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장기적으로 한국 시각장애인들이 통합 교육을 통해 비장애인과 같은 다양한 직업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전 목사는 "기업체들이 능력 있는 시각장애인 고용 등 장애인 채용 비율을 지키지 않고 아예 대놓고 벌금을 내는 것이 한국의 상황이라고 들었다"며 "한국의 시각장애인에게 당분간은 희망이 없다고 말하는 게 정직한 일"이라고 말했다.


CBS 라디오 '뉴스야 놀자' 이진성PD

19 北, 농인축구단 적극 지원…해외서 시합하고 국대 출신 감독 - 매일경제



北, 농인축구단 적극 지원…해외서 시합하고 국대 출신 감독 - 매일경제

北, 농인축구단 적극 지원…해외서 시합하고 국대 출신 감독

입력 2019.03.05 18:14




북한이 청각장애인 축구팀의 국제무대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조선중앙통신은 5일 "조선(북한)에서 장애자들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날로 높아가고 있는 가운데, 주체103(2014)년 5월 29일에 발족된 조선 농인(청각장애인) 축구단이 국제무대에 적극 진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농인 축구단은 2014년 호주에서 열린 국제농인친선축구경기에 참가해 호주 농인 축구단과 시합을 했으며 브라질 등에서 친선경기와 공동훈련도 했다.

홍정철 조선농맹경제문화교류사 과장은 중앙통신과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이 과정에서 선수들의 능력과 기술 수준이 크게 향상됐다"고 소개했다.

조선농맹경제문화교류사는 북한이 청각·언어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의 직업교육을 지원하고, 관련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만든 조직이다.





북한은 농인축구단 감독으로 국가대표선수 출신을 임명했으며 전국 농아학교 졸업생과 대학생 중에서 선수를 선발해 새로운 훈련방법과 전술을 도입해 양성하고 있다.

중앙통신은 "현재 축구단에서는 앞으로 있게 될 아시아농인축구경기대회를 비롯한 지역별 경기대회에 참가하여 높은 성적을 쟁취하기 위한 목표를 세우고 훈련을 맹렬히 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김정은 체제 들어 장애인 복지에 힘을 쏟고 있으며 농인축구단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된다.

특히 단순히 국내적으로뿐 아니라 농인축구단의 국제교류를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북한은 인권불모지라는 외부의 인식을 바꾸려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앙통신은 이날 기사에서 "조선장애자보호연맹에서는 장애자들의 신체단련을 위해 맹인 3종, 맹인육상을 비롯한 체육 종목들의 발전에 힘을 넣고 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18 국제앰네스티 “북 인권, 실질적 개선 안 돼”



국제앰네스티 “북 인권, 실질적 개선 안 돼”

국제앰네스티 “북 인권, 실질적 개선 안 돼”
워싱턴-이경하 rheek@rfa.org
2018-02-22


블라디보스토크 시내의 한 공사장에서 북한 노무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K022218NE-KH1.mp3





00:00/00:00


앵커: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AI)가 북한 당국이 지난해 유엔 장애인 인권 특별보고관을 방문시키는 등의 형식적인 노력을 보였지만, 여전히 극심한 억압과 조직적 인권 유린이 북한 주민 생활 전역에 걸쳐 자행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제앰네스티가 22일 발표한 전 세계 159개국에 대한 연례 인권보고서(the State of the World’s Human Rights 2017/2018)는 북한 정부가 인권 개선을 위한 일부 긍정적인 움직임을 보이긴 했으나, 실질적인 북한 내 인권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단체는 지난해 5월 유엔 장애인 인권 특별보고관이 북한을 방문한 것을 지적하며 이는 유엔 인권이사회가 임명한 독립 전문가가 최초로 방북한 것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와 유엔 아동권리위원회가 2017년 북한 인권상황에 대한 심사를 진행해, 북한이 각각 해당 위원회에14년, 또 9년만에 국가보고서를 제출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아동권리보장법상 16세와 17세 아동의 법 적용이 배제돼 일부 아동은 장시간 고된 노동을 요구받는다는 상황을 지목하며 형식적인 노력과는 달리 북한 내 인권문제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국제앰네스티는 북한은 ‘자의적 체포와 구금’, ‘노동자 권리-이주노동자’, ‘이동의 자유’, ‘표현의 자유’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여전히 주민의 삶과 인권을 부인하고 침해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 암살사건과 북한에서 억류됐다 사망한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 2년이상 구금됐다 석방된 캐나다 국적의 임현수 목사 등 구체적인 사례를 들며 북한의 인권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또 지난해 9월 제6차 핵실험과 수차례의 중장거리 미사일 발사 도발 등으로 인해 핵실험장 인근에서 산사태가 발생하고, 주민들의 피폭 징후가 포착되는 등 핵실험의 안정상 위험에 대한 우려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정치범수용소 4곳에서 12만 명에 달하는 주민들이 수감돼 연좌제와 강제노동, 고문 및 부당 대우를 당하는 등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가 지속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습니다.

이어 북한 당국은 주민은 물론 한국인과 미국인까지도 공정한 재판이나 변호인 접견권 없이 임의로 체포하거나 구금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북한에 현재 억류 중인 미국인은 모두 한국계로 2015년 체포된 김동철 목사와 평양과학기술대학에서 활동하다 체포된 김상덕, 김학송 씨 등 모두 3명입니다.

보고서는 또 북한 정권은 추산하기도 어려운 노동자를 중국, 쿠웨이트, 폴란드, 카타르, 스리랑카 등지에 송출하고 이들의 임금을 고용주로부터 직접 받아 상당 부분을 착취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특히 2만 명에 달하는 북한 노동자가 있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월드컵경기장 건설 과정에서 북한 노동자들의 사망 사례도 발생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특히 나라를 불문하고 외국과 정보를 주고 받는 주민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심각한 제약이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지난 한 해 동안 북한 주민 1천127명이 한국에 재정착했지만 이는 2002년이래 가장 낮은 수치로, 북중접경지대 경비 강화가 원인으로 작용됐다고 분석했습니다.


관련 기사
국무부, 북 인권단체 지원금 신청 2차 공고
중국관광객이 북 어린이 학대 조장
오픈도어스 “북, 19년 연속 세계 최악 기독교 박해국”
HRW “북한,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인 국가”
한국 국가인권위, 북한인권특위 운영 연장
HRW “북 인권유린 책임자 처벌 방안 마련에 주력”
북인권단체들, 김정은 생일 맞아 북 체제 비판 기자회견·전시회
자유한국당, 탈북인권운동가 지성호 영입…“북 인권의 산증인”
스위스 NGO “북, 새해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국 중 하나”
한국 내 북 인권단체, 올 한해 USB 2000개 북으로 보내

17 북한 인권단체들의 새해 계획은?



북한 인권단체들의 새해 계획은?



북한 인권단체들의 새해 계획은?
서울-목용재 moky@rfa.org
2017-12-29


북한인권시민연합이 지난 2014년 4월에 인도네시아에서 개최한 북한인권주간 개막행사에서 북한인권 실상을 보여주는 그림을 전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K122917NE-MY.mp3





00:00/00:00


앵커: 2018년 새해를 앞두고 한국의 북한인권단체들은 신년 사업 계획을 세우느라 분주한데요. 이들 단체들은 중국 내 탈북자 구출,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국제 활동 등 다양한 사업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북한 인권 단체들의 새해 계획을 들어봤습니다.

한국의 북한인권단체들 가운데에서도 역사가 오래된 ‘북한인권시민연합’은 내년에도 중국에 있는 탈북자 구출 활동에 힘을 기울일 예정입니다.

북한인권시민연합에 따르면 올해 단체가 구출한 중국 내 탈북자의 수는 총 90명. 이들을 구출하는데 사용된 비용은 약 18만 7000달러(2억여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 비용은 대부분 해외 동포와 한국 국민들의 후원금으로 마련됐습니다.

김영자 북한인권시민연합 사무국장: 중국에 있는 난민들을 구출할 겁니다. 이것을 지속적으로 하면서 알리지만 생각보다 힘듭니다. 내년에도 구출할 수 있는 데까지 하고 알리자는 것이 목표입니다.

유엔을 활용한 북한 인권 개선 활동을 강화하려는 단체들도 있습니다.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유엔이 회원국 전체를 대상으로 인권 상황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개선책을 권고하는 ‘국가별 정례인권검토(UPR)’와 ‘장애인권리협약(CRPD)’을 북한 인권 개선 방안으로 어떻게 활용할지 검토 중입니다.

권은경 ICNK사무국장은 “내년에 CRPD에 북한이 관련 보고서를 제출할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연구사업을 구상 중”이라면서 “2019년 초에 있을 예정인 UPR에 제출할 보고서도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반인도범죄 행위를 조사하는 ‘전환기정의워킹그룹’도 2019년 초에 있을 예정인 UPR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는 UPR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 간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 2018년, 2019년에는 여러 북한인권단체들의 힘을 모으는 데 우리 단체가 기여하고 싶습니다. 2019년 UPR이 예정돼 있어 단체들이 유엔에 북한 인권 보고서를 제출할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단체들이 이 기회를 잘 활용할 수 있을지 여부가 관심사입니다.

북한 내 종교 활동 실태를 조사하고 있는 ‘북한정의연대’는 내년에 북한 지하 교인들의 실태 조사 보고서를 내놓을 계획입니다. 정베드로 북한정의연대 대표는 “북한 내 종교인들의 자유에 대한 보고서를 만들 예정이며 북한의 반인도 범죄를 고발하는 국제 깜빠니아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단체들은 올 한 해 동안 한국 정부와 정치권이 북한인권법에 대한 후속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해서도 한목소리로 비판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제정된 북한인권법에 의해 설립돼야 하는 북한인권재단이 여전히 문을 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꼬집었습니다.

문동희 북한인권학생연대 대표: 북한인권법과 관련한 후속 조치들이 잘 이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 국회는 여야를 떠나서 내년에는 북한인권이 개선될 수 있도록 문제를 잘 풀었으면 좋겠습니다.

북한인권재단은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현재 한국 여야 정치권의 분쟁으로 재단 이사진 구성이 완료되지 않아 문을 열지 못하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
국무부, 북 인권단체 지원금 신청 2차 공고
중국관광객이 북 어린이 학대 조장
오픈도어스 “북, 19년 연속 세계 최악 기독교 박해국”
HRW “북한,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인 국가”
한국 국가인권위, 북한인권특위 운영 연장
HRW “북 인권유린 책임자 처벌 방안 마련에 주력”
북인권단체들, 김정은 생일 맞아 북 체제 비판 기자회견·전시회
자유한국당, 탈북인권운동가 지성호 영입…“북 인권의 산증인”
스위스 NGO “북, 새해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국 중 하나”

한국 내 북 인권단체, 올 한해 USB 2000개 북으로 보내

17 [스칼라튜] 북한 국제 장애인의 날 개최는 선전일 뿐



[스칼라튜] 북한 국제 장애인의 날 개최는 선전일 뿐



[스칼라튜] 북한 국제 장애인의 날 개최는 선전일 뿐
그렉 스칼라튜 ∙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사무총장
2017-12-05

00:00/04:12


12월 3일은 국제 장애인의 날입니다. 12월 3일은 유엔이 전 세계 장애인들을 위해 지정한 기념일 중에 하나인 것입니다. 국제 장애인의 날 뿐 만 아니라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IPC)가 4년마다 동계 패럴림픽, 즉 장애인 올림픽과 하계 패럴림픽을 개최 하기도 합니다.

북한도 2012년 영국 런던하계패럴림픽을 시작으로 선수 1명을 출전시켰으며 이어201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하계패럴림픽에는 두 명의 선수를 출전시켰습니다. 또한 북한은 2018년 한국 평창에서 개최하는 동계패럴림픽에도 참가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까지 장애인들의 노출을 꺼려했던 북한이 적극적으로 장애인들에게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이유는 유엔에서 북한이 장애인들을 수용소에 가두고 인간 이하의 취급을 한다는 보고서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유엔 보고서의 고발 이후 세계 보건기구 (WHO)가 개입을 하면서 북한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대우를 바꾸는 방식으로 변해갔습니다. 이후 북한에서는 ‘조선장애자보호련맹’이란 단체가 생겨났고 국제장애인의 날 행사를 진행하기도 하면서 국제 교류를 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2016년에 카타리나 데반다스 아길라 유엔 장애인인권 특별보고관의 방북을 처음으로 허용했습니다. 또한 북한은 1년전인 2016년 12월 6일 유엔 장애인인권협약을 비준했습니다.

북한이 장애인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또 다른 이유는 장애인 인권 문제는 대외적으로는 인권 존중이라는 선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김정은 정권에 대한 체제유지에도 좋은 효과를 불러온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북한 사회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권존중이라고는 찾아 보기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탈북자들의 진술에 의하면 장애인에 대한 인권침해는 일상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북한의 대도시 길거리에서 장애인들을 보기 어렵다고 합니다.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따로 격리를 시켜놓기 때문에 보통의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살지 못합니다.

장애인이라고 지칭하는 명칭조차도 실제 북한사람들은 많이 다르게 불렀습니다. 북한에서는 장애인을 ‘영예군인,’ ‘불구자’ 또는 ‘병신’이라고 지칭합니다. 북한사회나 최고 지도자 개인숭배를 위해 헌신을 하다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국가적 차원에서 대우를 해주며 ‘영예의 군인’ 이라고 부릅니다. 선천적으로 장애를 입거나 사고를 당한 사람들은 장애인이라고 부르는 대신 ‘병신’이나 ‘불구자’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을 다친 장애인에게는 ‘조막손’이라는 표현을 쓰며, 특히 여성 절름발이를 보면 사람들은 침을 뱉거나 하루 종일 운수가 사납다고 생각합니다. 청각 장애인에게는 ‘귀머거리’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시각 장애인에게는 ‘소경’이라는 낮잡아 보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북한이 지금까지 장애인에 대한 인권을 존중하지 않고 집단구타, 언어폭력과 무시를 거리낌 없이 했던 것은 북한이 주민들에게 장애인 인권에 대한 교육을 시키지 않았으며, 다른 이유는 장애인들은 당에 대한 충성을 할 수 없는 그러니까 한 사회에 쓸모 없는 집단이라고 생각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북한이 전 세계를 향해 자신들의 장애인 인권에 대한 선전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지만 실제 북한내부의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이 올바르게 바뀌기 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관련 기사
[스칼라튜] 코로나비루스와 전염병의 교훈
[스칼라튜] 북한 관광의 허와 실
[스칼라튜] 미북외교가 지속될 가능성
[스칼라튜] 북한 지도자의 생일
[스칼라튜] 북한 사회주의헌법과 정권에 의한 기본적 모순
[스칼라튜] 로므니아 반공산주의 혁명 30주년 기념과 북한
[스칼라튜] 김정일 사망 8년 후
[스칼라튜] 독재자 부인들의 유산
[스칼라튜] 북한의 화폐개혁과 시장경제 탄압
[스칼라튜] 오토 웜비어를 기억하며




Greg Scarlatoiu 
Greg Scarlatoiu is Executive Director of the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HRNK) in Washington, D.C. At
HRNK, he has directed the publication of 24 reports and books
and leads public, media,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outreach to highlight North Korean human rights abuses. 

A
seasoned lecturer and media commentator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political security and economic issues on the
Korean peninsula, Scarlatoiu has appeared as an expert witness
at several Congressional hearings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Scarlatoiu’s recent publications include journal articles and book chapters authored for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Korean Studies (ICKS),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and the
Hanns Seidel Foundation as well as Washington Post and Washington Times op-eds. 

Scarlatoiu
is an experienced social audit consultant, having conducted eleven annual surveys of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core Conventions in South Korea. 

Prior
to HRNK, he was with Korea Economic Institute (KEI) in Washington, D.C. Scarlatoiu has worked
with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s Department for the Activity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ILO-MULTI) in Geneva, Switzerland. 

He has over six years’ experience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having delivered technical assistance under missions funded by
USAID, the World Bank and the Asian Development Bank. 

For fourteen years, he has been
authoring and broadcasting the weekly Scarlatoiu Column to North Korea, for Radio Free Asia
(RFA).
 

A visiting professor a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UFS) in Seoul, Scarlatoiu
teaches and coordinates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class at the State Department’s
Foreign Service Institute (FSI). 

He holds a Master of Arts in Law and Diplomacy (MALD) from the
Fletcher School, Tufts University; and an MA and BA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Scarlatoiu was awarded the title of Citizen of Honor, City
of Seoul, in January 1999. He is fluent in Korean, French and Romanian.



[칼럼] [스칼라튜] ‘건국아버지들’이 좋아한 맥주
/출처 - 자유아시아방송 그렉 스칼라튜 ∙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사무총장덥고 습기 많은 여름 초복, 중복, 말복을 겪으면서 남북한 사람들은 이 시기에 항상 시원한 맥주를 떠올립니다. 북한 텔레비전에서는 약 5년 전부터 ‘대동강 맥주’를 선전하
NK조선   2014-08-07

[칼럼] [스칼라튜] 독재 붕괴시킨 정보의 힘
/출처 - 자유아시아방송 그렉 스칼라튜 ∙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사무총장
 독재자들은 그들의 국민들이 너무 많은 것을 알기를 두려워합니다. 사람들이 많이 알게 되면 알수록 그 불공평한 제도를 무너뜨릴 힘을 모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냉전 시대에
NK조선   2014-07-30

[칼럼] [스칼라튜] 인간의 달 착륙 45주년
/출처 - 자유아시아방송 그렉 스칼라튜 ∙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사무총장 1969년 7월 20일은 인류의 역사에 있어 뜻 깊은 날이었습니다. 45년 전 인간이 처음으로 달을 밟았기 때문입니다. 우주인을 달로 보낸 미국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
NK조선   2014-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