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January 31, 2020
15 사회적 약자, 살기 힘든 북 노인들
사회적 약자, 살기 힘든 북 노인들
홈페이지 | 특집프로
사회적 약자, 살기 힘든 북 노인들
2015-11-20
K112015VP-JN.mp3
00:00/00:00
살기 힘든 북한의 노인들
북한 당국이 선전매체를 통해 소개하는 북한의 모습에는 웅장함과 화려함만이 가득합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감추고 싶은 북한의 참모습이 있습니다. RFA, 자유아시아방송은 ‘2분 영상, 북한을 보다’시간에서 실제로 북한에서 촬영한 동영상을 통해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오늘날 북한의 실상을 꼬집어봅니다.
- 빈곤 탓에 자식에게 쫓겨난 할머니
- 부양해주는 사람 없어 생활전선에 뛰어든 노인들
- 배급도 없고, 양로보험․노인연금 등도 무너진 지 오래
- 개인도 국가도 노인 부양 어려워, 결국 길거리로...
일본의 언론매체인 ‘아시아프레스’가 2011년 1월 평양 시 교외를 촬영한 영상입니다.
눈이 쌓인 추운 겨울, 황량해 보이는 길 저편에서 할머니 한 명이 걸어옵니다. 추위를 피하기 위해 몸을 꽁꽁 싸매고, 나뭇가지로 만든 지팡이에 의지해 힘겨운 발걸음을 옮기는데요, 애석하게도 이 할머니는 자식에게 쫓겨났습니다.
- 어디 가요? 연세가 어떻게 되세요?
[할머니 1] 80세.
- 자식들은 다 있어요?
[할머니 1] 3년 전에 강냉이 700kg 갖다 주고서 쫓겨났어.
- 자식에게 쫓겨났어요?
[할머니 1] 가라는데 뭐...(다리가 아파서) 걸어가질 못 해서. 세상에 이렇게 될지 누가 알았을까?
자식에게 쫓겨난 이 할머니는 어디로 가야 할지 모릅니다.
2013년 6월의 한 지방도시.
할아버지 한 분이 길거리에 앉아 플라스틱 제품을 수리해주고 돈을 받습니다. 이 할아버지도 자식이 자신을 부양하지 못해 스스로 돈을 벌 수 밖에 없는데요,
배급을 얼마나 받는지 물어보니, 배급 갖고는 살 수 없다며 고개를 젓습니다.
- 이렇게 하면 하루에 얼마 법니까?
[할아버지] 어찌 벌겠소?
- 배급 타니까 조금 낫지 않습니까?
[할아버지] 아이고, 배급은 무슨...
- 한 달 배급은 얼마나 탑니까?
[할아버지] 모르오, 그런 거
- 그것 가지고 아니 되지? 배급가지고,
[할아버지] 배급만 갖고 어떻게 사오.
‘아시아프레스’에 따르면 북한에서 양로 복지제도는 이미 1990년대에 무너졌습니다. 형식상 양로보험이나 연금제도가 있지만, 이것으로는 쌀 1kg도 살 수 없는데요,
젊은 사람도 살기 힘들어지면서 부모의 부양을 포기하고, 북한 당국도 책임지지 못하다 보니 노인들이 직접 생활 전선에 뛰어들거나 꼬제비로 전락해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아시아프레스’ 오사카 사무소의 이시마루 지로 대표의 설명입니다.
[Ishumaru Jiro] 나이 많은 사람․어린이․장애인 등 혼자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은 결국 주변 사람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또 도움을 못 줄 경우에는 국가와 사회가 삶을 보장하는 제도가 필요하잖아요. 북한은 원래 양로보험․연금제도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유명무실화됐죠. 지금도 양로보험이나 연금을 일반 노인에게 주는 제도가 있지만, 한 달에 7~800원부터 몇 천원 사이로 쌀 1kg도 못 살 정도의 금액에 불과하니까 국가가 보장하는 사회복지․ 양로 제도는 무너진 지 오래입니다. 결국 집에서 봐주지 못하고, 국가도 복지를 책임지지 못하면 본인이 돈을 벌어 먹고살아야 하고, 현금을 벌어야 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나이가 많은 사람도 장사에 나서거나 힘든 노동을 해야 하고 이마저도 안 되면 꼬제비가 될 수밖에 없는 거죠.
2013년 3월, 평안남도 평성시
할머니 한 분이 산에서 모은 땔감을 메고 걸어갑니다. 자신의 체격보다 2~3배나 많은 양인데요, 이 할머니는 돈을 벌기 위해 풀과 땔감을 뜯어 온 겁니다. 잠시 쉬는 할머니에게 말을 걸어봤는데요,
[할머니 2] 산에 못 들어오게 해. 산이 벌판인데.
또 다른 할머니 한 분. 이 할머니도 집이 없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배급도 없이 밤에 인민반 경비를 서고, 경비초소에서 잠을 잡니다.
추운 겨울 불도 안 때 주는 경비초소에서 어떻게 자냐고 묻자, 할머니도 할 말이 없는지 말을 잇지 못하는데요,
- 할머니는 집이 어디 있습니까?
[할머니 3] 살기는 여기서 사는데 집은 없어.
- 집이 없으면 어떻게 삽니까?
[할머니 3] 밤에 인민반 경비 서고...
- 할머니는 배급을 못 탑니까?
[할머니 3] 글쎄 왜 배급을 주지 않니...
- 겨울에 어떻게 삽니까? 집이 없으면...
[할머니 4] 밤에 경비 서 주면...
[Ishumaru Jiro] (처음 등장한 할머니 사례를 봐도) 누가 부모 버리는 것을 원합니까? 당연히 원치 않잖아요? 그래도 늙은 부모를 부양하지 못하는 것은 그만큼 본인의 생활이 얼마나 힘든지 상상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 양로 제도가 없으면 개인이 모두 부담해야 하는데, 그럴 수 없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북한 경제가 무너지고 북한 주민의 삶이 궁핍해지면서 노인과 어린이, 장애인 등 상대적 약자의 삶은 더 피폐해졌습니다.
또 이들을 돌봐야 할 부모와 자식, 가족 등이 부양을 거부하고, 국가도 배급이나 노인복지 등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해주지 못하면서 결국 노인과 어린이 등은 길거리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 소개한 북한의 노인들도 장사를 하거나 땔감을 모으고, 파철을 수집해 돈을 벌어 겨우겨우 하루하루의 삶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Ishimaru Jiro] 노인․아이들․장애인 등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어렵게 산다는 것은 결국 이것을 봐줘야 하는 주변의 젊은 사람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고요, 북한 당국이 퇴역군인들, 즉 노병을 돌봐줘야 한다고 선전하지만, 제도적으로 돌봐주는 제도가 마비 상태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물론 미국이나 한국 등에도 어렵게 사는 노인, 즉 경제적 빈곤층이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과 다른 점은 국가가 어려운 상황에 놓인 노인과 어린이, 장애인에 대해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 있다는 점입니다.
북한과 달리 개인의 어려움을 국가가 책임질 수 있는 사회적 환경과 경제적 능력이 있다는 건데요, 이것을 복지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북한에서는 노인복지는 전무하다고 말할 수 있는데요, 오늘날에도 북한의 노인과 어린이 등은 여전히 북한이 처한 경제적 빈곤의 가장 큰 희생자가 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
북 중 국경지방 20년을 보다
북한 군대의 실상, 전면전은 불가능하다
북한의 아파트 생활
북한 주민이 알고 있는 김정남
7년 복무하는 북한의 여성 병사들
김정은 시대에도 여전한 어린 꽃제비
주민통제와 독재정치의 기본, 조직생활
‘외모도 경쟁력’ 화장하는 여자 상인들
성적 범죄에 노출된 소녀 꼬제비들
공출 강요당하는 북한 학생들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No comments:
Post a Comment